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태조대왕 태실(胎室)의 형식과 특성

        유기원,김기주 한국건축역사학회 2017 건축역사연구 Vol.26 No.6

        Ordinary people generally bury or burn placenta when the baby was born. But, Joseon royal family put placenta in pot and then buried it in propitious site praying for good health and long life. After that baby had become the king of Joseon, people built stone figures formed fixed type at that place. It is called gabong-taesil(加封胎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King Taejo’s taesil in Joseon Dynasty. The King Taejo’s taesil had built first as soon as Joseon was established circa 1393, and repaired largely in 1689. Since then, this was damaged by the Japanese Empire and assembled in recent days at near place from the original place. Center piece of taesil remains the original form, and the rest of stone figures is assumed to be rebuilt in 1689. But, some materials like sangseok(裳石) and jeonseok(磚石) are assumed that are original stone figures or were made, assembled by the style of then. Considering most of remained taesil is a relic of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the King Taejo’ taesil has high cultural value as the first gabong-taesil of Joseon Dynasty inheriting Goryeo Dynasty type. 조선시대 왕의 자녀로 태어난 아기의 태(胎)는 일정한 형식과 절차에 따라 아기태실(阿只胎室)을 만들었고, 후일 이 중에서 왕위에 오른 아기태실은 특별히 지상에 석물을 더하여 새로 조성하고 이를 가봉태실(加封胎室)이라 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을 개국하였던 태조 이성계의 가봉태실의 형식과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1393년 함경도 영흥의 용연에 묻혀 있던 태조의 태를 금산으로 옮겨 태실을 조성한 후 가봉비를 세웠고, 1689년에는 대대적인 개수 작업을 통하여 새로 표석을 세우는 등 주변을 정비하였다. 이후 일제에 의하여 크게 훼손되었던 태실은 1993년 원래 자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다시 조성되었다. 태실은 크게 태실부와 표석부로 나뉘는데, 본 연구에서는 태실부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태실부는 기단부, 태석부, 난간부 등으로 다시 구분되며, 각 부분은 시기와 특성에 따라 각각 3개의 형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태조 태실의 태석부는 개첨석과 중동석이 한 몸으로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형식으로 1393년 가봉 당시의 형식으로 추정되며, 난간부는 동자석 없이 주석과 횡죽석으로 구성된 초기의 형식을 유지하되, 이후의 형식이 가미되어 있어 주로 1689년 개수 작업 당시의 것들이 남아 있다. 기단부의 경우는 각각 8개의 전석과 상석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초기 형식으로, 이곳에만 남아 있는 것으로 그 의미가 크다. 이상에서와 같이 태조태실은 17세기 말에 크게 중수되었음에도 일부 부재를 제외하고 조선 초기의 형식을 대부분 유지하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 조선 건국 직후 최초로 가봉된 태실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앞으로 태실을 연구하는 데 있어 태조태실의 형식과 특징은 편년 설정의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Optimization of the Synthesis of Low-cobalt Li[Ni0.6Co0.1Mn0.3]O2 for Use as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유기원,박태준,김정,장병찬,양수빈,손종태 한국물리학회 2015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6 No.1

        Low-cobalt Li[Ni0.6Co0.1Mn0.3]O2 cathode materials were synthesized by using a hydroxide coprecipitationmethod. Because we wanted to optimize the synthesis conditions, we studied theeffects of different lithium contents and calcination temperature on the structural and the electrochemicalproperties of this unfamiliar cathode material. All as-prepared materials were indexedin the R-3m space group, and all samples showed different structur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for different synthesis condition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NCM-4 (lithium content: 1.09,calcination temperature: 850 C), the sample showed excellent electrochemical properties with a reversiblespecific capacity of 175.00 mAhg−1 [cut-off voltage: 3.0 4.3 V, 0.1 C (current density: 17mAhg−1)] and a good capacity retention of 91.7% after 50 charge/discharge cycles [cut-off voltage:3.0 4.3 V, 1 C (current density: 170 mAhg−1)].

      • KCI등재

        KCl을 사용한 LiNi<sub>0.6</sub>Co<sub>0.2</sub>Mn<sub>0.2</sub>O<sub>2</sub>계 양극활물질의 잔류리튬 저감 및 전기화학특성 개선

        유기원,신미라,신태명,홍태환,김홍경,Yoo, Gi-Won,Shin, Mi-Ra,Shin, Tae-Myung,Hong, Tae-Whan,Kim, Hong-kyeong 한국전기화학회 2017 한국전기화학회지 Vol.20 No.1

        $LiNi_{0.6}Co_{0.2}Mn_{0.2}O_2$의 전구체 물질에 KCl을 첨가함으로써, 리튬카보네이트($Li_2CO_3$)와 리튬수산화물(LiOH)의 양을 감소시켰을 때 전기화학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KCl을 1 질량 %로 전구체에 첨가하여 $800^{\circ}C$에서 열처리 한 샘플의 경우, 첨가하지 않은 재료와 대비하여 잔류하는 리튬카보네이트($Li_2CO_3$)는 8,464 ppm에서 1,639 ppm으로 리튬수산화물(LiOH)은 8,088 ppm에서 6,287 ppm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XRD 분석결과 KCl의 첨가는 모상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층상구조 결정성이 약간 개선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전하전달 저항($R_{ct}$)은 $255{\Omega}$에서 KCl 첨가 시 $99{\Omega}$으로 감소하였다. 초기 방전 용량은 171.04 mAh/g에서 182.73 mAh/g으로 증가하였으며 싸이클 특성도 개선되었다. 특히, AFM 분석을 통하여 표면적이 50%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잔류리튬의 산화반응으로 인한 열 때문일 것으로 해석되고, 전해질과의 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잔류리튬 제거를 위해 KCl을 첨가한 연구는, 아직까지 발표된 바가 없으며, $LiNi_{0.6}Co_{0.2}Mn_{0.2}O_2$계 양극활물질의 전기화학특성을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Using a precursor of $LiNi_{0.6}Co_{0.2}Mn_{0.2}O_2$ as a starting material, a surface-modified cathode material was obtained by coating with KCl, where the added KCl reduces residual Li compounds such as $Li_2CO_3$ and LiOH, on the surface. The resulting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amounts of $Li_2CO_3$ and LiOH decreased from 8,464 ppm to 1,639 ppm and from 8,088 ppm to 6,287 ppm, respectively, with 1 wt% KCl added $LiNi_{0.6}Co_{0.2}Mn_{0.2}O_2$ that had been calcined at $800^{\circ}C$. X-ray diffraction results revealed that 1 wt% of KCl added $LiNi_{0.6}Co_{0.2}Mn_{0.2}O_2$ did not affect the parent structure but enhanced the development of hexagonal crystallites. Additionally,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R_{ct}$) decreased dramatically from $225{\Omega}$ to $99{\Omega}$, and the discharge capacity increased to 182.73mAh/g.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we observed that the surface area decreased by half because of the exothermic heat released by the Li residues. The reduced surface area protects the cathode material from reacting with the electrolyte and hinders the development of a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SEI) film on the surface of the oxide particles. Finally, we found that the introduction of KCl into $LiNi_{0.6}Co_{0.2}Mn_{0.2}O_2$ is a very effective method of enhancing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is active material by reducing the residual Li.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report is the first to demonstrate this phenomenon.

      • KCI등재

        노년기 요추간판 탈출증

        유기원,강용구,이한용,고해석,최진화 대한척추외과학회 1996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3 No.2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lumbar disc herniations over the age of 60 years old, we reviewed 13 patients. The mean age was 63.8 years old. We excluded the patients with degenerative spinal deformities or spinal stenosis. The mean duration of symptoms was 6.8 months. Sciatica was the predominant symptom and was present in all patients. Positive nerve root tension sign was seen in 85% of the patients. Motor weakness and sensory deficits were found in more than half of the patients. The lumbar disc herniations in elderly patients showed typical clinical symptoms of disc herniation with short duration of severe back pain and sciatica rather than those of spinal stenosis or other degenerative spinal diseases. The one third of the patients showed multi-segment involvement in preoperative CT and MRI. In the type of disc herniation, the destruction of posterior annulus fibrosus (extruded or sequestrated) was predominant. All of the patients was treated with partial hemilaminectomy and disc excision without further lateral or foraminal decompression for the all involoved segments. Mean follow-up was 28 months. About seventy percent of the patients had excellent or good final results. The surgery for the lumbar disc herniation in elderly patients will yield satisfctory results if a proper investigation and correct diagnosis are ob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