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 選擇 呼出 裝置의 遭難信號 處理 技術에 關한 硏究

        유형(Hyung-Yul You),이동식(Dong-Sig LEe),최재혁(Jae-Hyok Choi),이흥기(Hung-Gi Lee),김기문(Ki-Moon Kim)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연구소 1996 海事産業硏究所論文集 Vol.5 No.-

        This study is on the technique to process the distress signal of the DSC message. In this study, we analyzed recommendations which prescribed the frequencies, operational procedures and technical sequence of the DSC, RR, amendments to the 1974 SOLAS convention also domestic Radio Regulation fur the development, suggested the basic circuit to be materialize the function of a distress alert on the DSC equipment using Microprocessor(uPD70325), constructed the algorithm of processing a message, programmed and compiled it in C language. With adopted the additional functions and connected with peripheral circuits, it could be applied to development of real equipment.

      • KCI등재

        DDS를 이용한 중단파대 국ㆍ영문용 DSC/NBDP 개발에 관한 연구

        유형,김기문 한국정보통신학회 199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3 No.4

        In this paper, the needs for introduction and adoption of MㆍHF DSC/NBDP system and for developments of its circuits and call sequences for use in the maritime mobile services for small-ships, leisure-ships and fishing ships are analyzed, discussed. Also design and implement for MㆍHF(1.6-4MHz) DSC/NBDP system is discussed. Most of casualties have been arisen from small-ships and fishing ships during last 5 years. So, the SAR schematic plans should been prepared to prevent casualties and facilitate the activities of SAR for those ships. DSC/NBDP for MㆍHF system is able to fulfill the roles of efficient SAR communication functions, and to advance the SAR system to small ships and fishing ship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techniques of processing the DSC call sequences and the ARQ sequences of NBDP system. Especially ARQ sequences are expanded into processing of Korean letters, designed the call sequences and code conversion algorithm for Korean-code. It will be evaluated the availability of Korean-NBDP system. In designing the Transmitting circuits and Receiving circuits, for the carrier generation, DDS(Direct Digital Synthesizer) is used in stead of the Phase Locked Loop and frequency conversion by the mixer, BPF. And PSK modulation signals are directly generated by the controls of DDS, which show the characteristics of Spurious Free Dynamic Range are below -62dBc. Also, the monolithic U subsystem IC which provides various functional components, AD608 is used for designing the receiving circuitsㆍAnd the algorithm of Phasing methode for FSK demodulation are devised to process IF frequency 455kHz in the IF circuits.

      • 更生院在院者의 社會醫學的調査

        柳荊烈 서울大學校 保建大學院 1976 公衆保健雜誌 Vol.13 No.1

        Seoul City has operated a municipal shelter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emporary housing and job training for men aged 18-64. These men were not capable of earning their living and are forced to live on the streets because they have nobody to care for them. The magnitude of the problem of people moving to the City who are unskilled and unable to earn a living has recently beenacknowledged by City authorities who are trying to remedy the situation. Seoul City operates such a shelter with a capacity of 800. The data is supplied from individual interviews of 805 of the men who were accomdated at the shelter as of June 20, 1975. 1. Interms of age, 72% were less then 50 years old, and 18% were 50 or over. 2. As for the length of stay, 69% had been at the service for less than one. Year, while 27% stayed longer than one year. Older men tended to stay larger than younger men. 3. 70% of the men entered the shelter because the police referred them there. 4. 4% of them didn't know admissional motivation. 5. 37% of the men had jobs before centering the shelter. 6. 21% had already finished their military service before contering the shelter. 7. 22% had no formal education, 30% had an education of six years or more. 8. 20% had physical defects or disorder, and 29% sufficulties. 9. Of those who stayed more than one year, 24% had physical problems and 42% had mental problems.

      • KCI등재

        디지털 선택호출 기술을 이용한 VHF EPIRB의 구현

        유형,이헌택,황운택,김기문 한국정보통신학회 199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 No.2

        406MHz 및 INMARSAT-E EPIRB장치는 위성을 통해 조난위치를 전송하므로 수색구조가 가능하지만, 극궤도 위성을 사용하므로 조난통보의 전송에 있어서 지연시간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A1해역에서 의 소형선박에 의무적인 탑재가 불가능하므로 디지털 선택호출 기술을 이용하여 VHF대의 지상파를 사용한EPIRB가 적합하다. 디지털선택호출(DSC)은 GMDSS시스템에서 중요한 통신기능이며, 지상계 통신에 있어서 신뢰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통신수단이다. 본 연구에서는 DSC기술을 이용하여 A1해역에서의 선박 및 소형선박에게 적합한 DSC VHF EPMB의 기술특성을 분석하여 신호처리를 위한 호출시퀀스 알고리즘을 설계하였으며, FSK변조신호와 RF신호발생을 위한 주파수합성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406MHz and INMARSAT-E EPIRB facility transmits the distress alerts by the relay of the polar-satellites and INTELSAT, but may cause the probability of delayed transmission because of the orbital period and not compli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GMDSS rules for small ships in A1 area.. Digital Selective Calling forms a critical part of the terrestrial elements of the GMDSS system and ensures the reliability and the efficiency in the system. In this paper, we suggests that new DSC EPIRB in the VHF band to overcome this defect for small ships in A1 area, and analyze the ITU-R recommendations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design and implement the algorithm of calling sequences, frequency synthesizer for the RF signal and FSK moulation signals.

      • KCI등재

        NBDP시스템의 한글코드 및 처리 알고리즘 연구

        유형,조형래,김기문 한국정보통신학회 199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 No.1

        해상 이동 통신은 무선전신과 무선전화에 의한 기존의 통신 체계에서 GMDSS협약의 발효로 인해 무선텔렉스 및 디지털 선택호출과 위성통신을 위주로 하는 새로운 통신 체계로 변화되고 있다. ITA No.2코드를 사용하는 선박용 통신시스템은 해상 이동 통신의 중요한 통신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들 시스템은 IMO 영어 및 숫자, 기호를 사용하여 Telex용어에 의해 운용되므로 제한된 통신 기능만이 가능하므로 한글에 의한 통신 운용을 구현함으로써 무선전신을 대체하고, 증대되는 통신수요 및 효율적인 통신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BDP시스템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한글코드의 제안과 운용 소프트웨어의 한글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보드를 이용하여 이를 구현하였다. The maritim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changing to the new system that is facilitated by the radio telex, digital selective calling and maritime satellite communications from the old system by the radio telegraphy and telephone according to the GMDSS. The NBDP using the ITA No.2 code is a useful media in the maritime communications and provides the procedures of telex. Also it can provide the efficient and more useful functions and the solutions for the incremental traffic requirements by adopting the Hangul code. So,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new Korean NBDP code for the ITA No.2 cod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algorithm which is the processing of the Hangul NBDP code using the microprocessor.

      • SCOPUSSCIEKCI등재

        제 Ⅲ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후 골격적 재발 양상에 관한 연구 : COMPARISON BETWEEN SSRO AND IVRO 구내 시상 분할 골절단술과 구내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의 비교

        이장,유형,유영규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3

        하악 전돌증의 치료를 위해 외과적인 술식이 교정임상분야에 도입된 이래로 많은 임상적인 성공사례가 보고되어왔으며 최근에 와서는 하악골 후퇴술의 대표적 술식으로 구내 시상 분할 골절단술(SSRO)과 구내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IVRO)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물론 이 두가지 술식 모두 만족스러운 술후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술후 안정성과 재발의 양상과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하악 후퇴술후 시간경과에 따른 재발의 정도에 관한 국내의 연구는 국외에 비해 다소 부족한 상황이며, 특히 시상 분할 골절단술과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후의 재발양상에 관한 비교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후 수술방법에 따른 재발 양상과 장기적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구내 시상 분할 골절단술로 시행받은 24명(남자 10명, 여자 14명)과 구내 상행지 수직골절단술로 시행받은 26명(남자 10명, 여자 16명)의 수술 직전(T1), 수술 직후 48시간 이내(T2), 수술 후 4-8주(T3), 수술후 6개월 이상(T4)등 4장의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계측하여 두 군간의 기간별 재발 양상과 각 군내의 타 변수들과의 상관성에 관해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골의 수평적인 초기 재발은 시상 분할 골절단술군에서는 전방 이동,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군에서는 후방 이동양상을 보였다. 2. 두 군 모두에서 하악골의 수직적인 초기 재발과 후기 재발은 전안면고정이 감소하는 쪽으로 일어났으며 두 군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3. 시상 분할 골절단술군에서 수술시 근심절편의 후방회전이 많을수록 하악골의 수평적인 후기 재발이 더 전방으로 일어났다. 4. 두 군 모두에서 수술시 하악골 후퇴량이 많을수록 하악골의 수평적인 초기 재발이 더 전방으로 일어났다. To evaluate the relapse pattern and long-term stabilities depanding on surgical methods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of C1 III patients, the author selected 24 subjects(10 male, 14 female) operated by SSRO and 26 subjects (10 male, 16 female) operated by IVRO. Each subject took four lateral cephalograms : just before surgery (T1), within 48hrs after surgery(T2), 4-8 wks after surgery(T3), 6 month or more after surgery(T4), and the landmarks were digitized. The differences of relapse patterns in each interval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the significance of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 of each group was tested.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 1. Horizontal early relapse was forward movement of mandible in SSRO group, as compared to the backward movement in IVRO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2. Vertical early and late relapses were decreases in anterior facial height in both group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wo groups. 3.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ndibular horizontal late relapse and surgical change of articular angle in SSRO group. 4.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mount of mandibular set-back and mandibular horizontal early relapse in both groups.

      • SCOPUSSCIEKCI등재

        Y 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 내원환자의 지역분포와 부정교합 분류에 관한 연구

        유형,유영규,이장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1992년부터 1997년까지 6년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진단을 받은 부정교합환자중에서 진단용 석고모형과 진료기록부가 잘 보존되고 지역 거주지가 확실한 9159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내원 환자의 성별 분포, 연령별 내원 환자의 분포, Angle씨 부정교합 분류, 제 I급 부정교합 양상의 분류 및 지역적 분포 특성들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의 수가 1992년에 비해 1997년 86%가 증가하였으며 1995년 이후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 연령별 내원 분포에서 19세 이상군의 비율이 39.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춘기전 아동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성인 교정환자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Angle씨 부정교합 분류에 의한 내원 환자 분포에서 제Ⅲ급 부정교합자가 38.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제Ⅰ급 부정교합이 33.3%, 제 II급 부정교합은 28.6%의 빈도를 보였다. 4. 제 I급 부정교합자중 총생(crowding)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가 3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 변화에서는 돌출(protrusion)환자는 점차 증가 양상을 보여 96년에는 33.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개교합과 반대교합 환자는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5. 내원 환자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서울시 환자가 전체 내원 환자의 70%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서울시내원환자중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을 중심으로 반경 3-6km의 거주자가 32.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경 9km이내에서 전체의 69%를 차지하였다. Distribution trends were examined in 9159 malocclusion patients who had been examined and diagnosed at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sity, Yonsei University over a 6 year-period from 1992 to 199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orthodontic patients in 1997 increased in comparing with that of 1992(86%) and after 1995, the number of annual patients showed an increase. 2. Age distribution had shown over-19 year-old group being the largest(39.9%) but percentages of pre-adolescent patients had been decreasing while that of adult patient had gradually increased. 3. Distributions in the types of malocclusion, the Angle`s Classification had shown : 33.3% for Class I, 28.6% for Class II and the largest 38.1% for Class Ⅲ. 4. Among Class I patients, crowding showed the largest(32.6%) and protrusion group had gradually increased to 33.9% in 1996.Otherwise openbite and crossbite groups tend to decrease, annually. 5. Geographic distribution showed a majority of patients from Seoul(above 70%). Among the patients from Seoul, group within the distance 3-6Km from Yonsei dental hospital was the largest(32.3%) and group within 9Km showed 69% of total patients.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MF/HF DSC controller의 송신신호처리 구현

        이홍기,유형,조형래 한국정보통신학회 199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 No.1

        본 논문은 전세계 해상 조난 및 안전 시스템(GMDSS)의 의무 비치 장비인 MF/HF DSC Controller의 송신 기능인 조난호출 및 일반호출의 신호처리 구현에 관한 내용이다 구현을 위하여 필수적인 전파규칙(RR), SOLAS협약을 중심으로 ITU-R, SOLAS의정서, 기술기준 등 DSC관련 국내외 규정을 비교 검토하여, DSC설비의 신호처리 기술 및 송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본회로를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개발과정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uPD70320)를 이용하였고, 알고리즘을 정립하여 운용 프로그램을 C언어로 작성하였다. This study is implementation of transmitter signal processing of MF/HF DSC Controller, obliligation system of GMDSS, focused on the technique of processing to encode the distress and general signal of the DSC message. We analyzed recommendation which prescribed frequencies, operational procedures and technical sequence of the DSC and suggested the basic circuit to be materialize the function of a distress alert and general calf of the DSC equipment using Microprocessor, constructed the algorithm of processing a message, programmed it using C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