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극인의 유교적 대동공동체의 삶의 추구

        육례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7 동방학 Vol.36 No.-

        정극인은 자기수양과 덕을 함양하여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살아가는 유교의 대동공동체를 지향하였다. 그는 태인 향약을 설치하여 자연과 더불 어 살아가고 주변의 사람들과 형제애를 갖고 살아가는 삶을 일생동안 추구 한 시인이고 유학자이었다. 그는 향음주례인 향약을 고현동에 설치하여 후 학들에게 유교의 근본원리와 사상을 교육시키고, 일반사람들에게는 더불어 살아가는 유교적 대동 공동체의 중요성을 자각하도록 만들어 인간의 근원적 인 삶이 무엇인지를 실제 생활에서 체득하도록 강조하였다. 그는 이렇게 살 아가는 사람들을 ‘붕우’(朋友)라고 칭하면서 유교의 인의예지(仁義禮智)를 몸 소 실천하였다. 그의 이러한 삶은 오늘날까지 우리에게 유교의 대동학적 공 동체의 삶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주고 있다. 정극인은 자연과 타자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실천하기 위하여 태인 향약을 만들었다. 이 향약은 사람들이 자연이나 타자와 조화를 이루며 살아 가는 이상세계를 건설하고자 하는 그의 꿈이 발현이었다. 그는 태인의 무성 리에서 벗과 이웃을 사랑하고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면서 유교이념에 기초를 둔 대동 공동체를 만들어 이웃들과 공동체의식을 직접 실천하였다. 그는 이 공동체에서 타자를 배려하고 돌보면서 더불어 살아가는 아름다운 사회를 추구하였다. Jeong Geuk-In pursued a confucian dadongcal community based on Confucianism where humans worked in harmony with nature through self-training and the cultivation of merit. He was a poet and confucian scholar who published Tain Hyangyak through which he had a life of brotherhood with the common people in nature. He created Dongjunghyangeumjoorye and Hyangyak to educate junior scholars and common people in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ideals of Confucianism and encourage them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an dadongcal community. Therefore, the people could acquire what a basic life of humans is for themselves. He called the people who lived such a life 'Bungwoo' and lived a life based on benevolence, justice, manners and wisdom. His life as such has made us become aware of how important a confucian dadongcal community life is.

      • KCI등재

        황진이의 연정시 연구

        육례 ( Yuk Rye Yu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41

        황진이는 조선시대 최고의 여류시인이다. 황진이는 연인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을 예술로 승화시켜 현재까지도 많은 독자층을 매료시키고 있다. 이는 황진이가 자신만의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연정시를 창안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황진이는 님에 대한 보고픔과 그리움을 시에 있는 그대로 투영시켜 독자로 하여금 감정과 정서를 자각한 이후에 시의 화자와의 일체화, 혹은 동조화되는 공간구조를 만들었다. 이러한 황진이만의 독특한 시의 내재적 구조는 우리가 그녀를 우리나라 최고의 여성시인으로 평가되는 근본적인 이유가 아닌가 한다. 이에 필자는 황진이의 연정시의 특징을 요약하고자 한다. 1) 황진이의 연정시는 남녀간의 사랑만을 노래한 시가 아니라 이별을 노래하면서, 더 나아가 이별한 후에 님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을 노래한 시이다. 2) 황진이의 연정시는 한시와 시조로 구별되는 시의 외재적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시의 내재적 형식에 독특한 이미지와 자연의 객관적 대상을 자신의 자아정체성에 통합하는 시의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3) 황진이의 연정시는 님에 대한 사무친 그리움과 보고픔을 객관화한 이후에 다시 자신의 자아와 일체시키는 자아와 객관적 대상의 완전한 통합을 노래한다. 4) 황진이의 연정시는 연인에 대한 그리움을 독창적인 이미지로 승화시켜 자신의 애절한 감정을 보편성으로 확립하고 있다. 요컨대 황진이의 연정시는 바로 그 자신의 삶의 노래이며, 또한 그녀의 몸과 마음의 영혼을 시의 애절한 이미지로 형상화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황진이의 시는 님에 대한 통렬한 사랑과 사무친 그리움이 그녀의 정신과 육체의 자아 정체성으로 인식되게 한다. This study is to discuss Jini Hwang`s romantic love and yearning feeling poems. Jini Hwang is, in the Chosun dynasty, one of the best woman writers who sang the feeling of male and female love in her poetry. Despite of gisang, she is spoken in the highest praise by a common person, because it came from creativity that she developed heartbreaking yearning of lovers in art. Her encounter is situated at receiving the restriction of her social position in contrast with other persons`s meeting. However, she experiences meeting and parting with many lovers to try to leap over her social position in her long life. She was not frustrated the pain and torture of this meeting and parting, knew how to sublimate her love and yearning of lover into especial beautiful love. When she wrote her poetry, Jini Hwang had specific character not to restrict her feeling but to express her feeling freely to her lover. And she largely contributed to make the gentry realize the emotion of exalted and temperate love at that time. She is an artist who is many-talented person about poetry, writings, a komungo, a Korean harp with six strings, and singing and dancing etc. So, in those days, the gentry fell in love with her in adoration. Among these persons, there are Byeog Gyesu who lived free life from worldly cares, and So Seyang who “was not a man if he fell a victim to the charms of a woman.” And She sublimed Seo Gyeongdeog of respectable and spiritual love into wonderful platonic love through interchanging him. She created her unique sweet sensible romantic love poem through love with these many lovers. In short, Gini Hwang`s romantic love poems have some of following characteristic. First, she express the free feeling of love to lover in her poems as it is, sang to sublime her feeling into poetry in using metaphor and a metaphorical expression. Second, she indicated her inner isolation frankly, set up overcome space in her mind. Third, she showed lament feeling for lover into universal validity to sublime yearning for lovers into personal emotion. Fourth, she always was situated at present time to emblematize man and woman`s yearning into the image of transcendency of time and space. Fifth, after she manifested yearning of lover in common words, she used specific image to unite to the lover. So, her romantic love poem is certainly the expression of her life. Therefore, her poems showed universal emotion of man and woman`s grief love.

      • KCI등재

        임윤지당의 <잠언>에 제시된 군자의 미덕

        육례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2 동양문화연구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 Yunjidang’s aphoristic virtue. She attained a state of sages, by discovering Taoism and wise life from aphorisms. She was interested in Taoism as well as Sung Confucianism. She also practiced the aphoristic wisdom in her life. She was never biased and got enlightenment for her life, likethe aphoristic life. Among aphorisms, Simjam(心箴) is to manage the mind; Injamg(忍箴) is to calmly assure the mind; Siseupjam(時習箴) is to first behave before learning to write; Gwonhakjam(勸學箴) is to earnestly learn, while knowing how to learn and the pleasure of learning. Im Yunjidang used the aphorism the a motto of her life, and encouraged and practiced Gunja(君子)’s way of discriminating between right and wrong and the life of practicing the aphoristic wisdom. She understood what is the life of Seonbi or Gunja and discovered the basic factors and the completion of scholarship from aphorisms. She acquired and practiced the wisdom of life by reading many book about the Sung Confucian thought and the contemporary Confucianism. She made efforts to do practice, after refining her scholarship, and therefore, becoming a perfect person. According to her, the aphoristic life is to make efforts to foster scholarship, reading books and living the life of self-cultivating and people-governing and it would be able to acquire an ultimate state, if one makes efforts without negligence day and night. This is the life of Gunja who values justice, and she also attempted to life in line with the nature, by pursuing the righteous life and disciplining herself, indicating that she pursued the life in which she behaviorally practiced God’s will, by realizing it. 이 연구의 목적은 임윤지당이 쓴 “잠언”에 서술된 군자의 삶의 미덕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임윤지당은 성리학의 도와 삶의 지혜를 잠언(箴)으로 기록하였다. 이 잠언은 임윤지당의 자기 수양으로 성취한 것이며, 군자의 경지에 이르는 길을 제시한 것이었다. 임윤지당은 성리학의 도에 관심을 가져서 이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임윤지당의 잠언(箴)은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심잠(心箴)은 마음을 다스리는 일을 기록한 글이고, 인잠(忍箴)은 심성을 평정하게 다짐하는 글이다. 시습잠(時習箴)은 학습과 글을 배우기보다는 먼저 행함을 실천하는 것을 권면하고, 권학잠(勸學箴)은 학문을 하면서 얻는 삶의 즐거움과 부지런히 학문에 전념할 것을 권하는 글이다. 이처럼, 임윤지당은 잠언으로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군자(君子)의 삶과 지혜를 실천하는 삶을 살도록 권면했다. 임윤지당은 조선시대의 여류 작가로서 남자들처럼 선비와 군자의 삶을 추구한 여성이었다. 임윤지당은 성리학에 토대를 둔 사유로 삶의 지혜를 얻어 현실의 삶에 실천하였다. 이는 임윤지당이 수기와 치인의 경지를 이해하고 여성으로서 수기의 삶을 생활화한 것이다. 여성으로서 치인의 삶을 살 수 없었던 임윤지당은 자신의 삶의 철학을 잠언으로 기록하여 가족뿐만 아니라 후학들에게 군자의 삶이 무엇인지, 어떻게 군자의 경지에 이르게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여성이었다.

      • KCI등재

        문학 : 허난설헌의 애정시 연구

        육례 ( Yukrye Yu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4

        허난설헌은 조선시대 애달픈 사랑과 그리움을 노래한 여류시인이다. 그녀는 사랑과 그리움의 애환을 용광로에 집어넣어 고도로 정제된 감정을 시로 엮어내는 연금술사와 같은 재질을 발휘하였다. 그녀는 닫힌 공간속에서 열린 공간으로 벗어나고자 선계라는 이상적 세계를 시에 정갈스럽게 이미지화하였다. 그녀는 자신을 선계의 신선에 비유함으로 그녀만의 공간을 우주공간까지 확장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녀는 자녀들과 형제들의 죽음과 같은 고통스런 현실을 이상적인 신선세계의 삶으로 시세계를 미화하는 애정시를 창작했다. 허난설헌의 애정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허난설헌의 애정시는 자녀뿐만 아니라 형제간의 사랑과 이별을 애절한 그리움으로 노래하였다. 2) 허난설헌은 사랑하는 대상에 대한 감정을 극도로 정제하여 시의 매개물에게 자기의 뜻을 말하는 기탁의 표현기교를 사용하고 있다. 3) 허난설헌은 자신의 내면의 고독을 시에 그대로 드러내면서 이를 극복할 공간을 시에 설정하여 현실세계에서 완성하지 못한 사랑의 완성을 선계까지 확장시켜 노래하였다. 4) 허난설헌은 시에 사랑하는 대상에 대한 그리움을 이미지로 사용하여 이별의 서러움을 애절하고 절절하게 그려냈다. 5) 허난설헌은 현실에서의 비통함을 시의 매개물로 비유하거나 상징적으로 묘사한 다음에 그 사물에 자신의 자아를 투영시키는 그녀만의 시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요컨대 허난설헌의 애정시는 그 자신의 고독과 비극적 삶의 노래이며, 그녀만의 삶을 애절하고 절절하게 비극적 이미지로 형상화했다고볼 수 있다. 그래서 허난설헌의 시에는 가족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을 선계로까지 확장시켜 그 감정을 시에 투영시켜 문학으로 형상화 했다. Heo, Nanseolhun(許蘭雪軒1563~1589) was a female poet of the middle Joseon Period. She sang tragic love by subliming her love of her family into poetic images in her poems. She sang sorrowful songs of pain in life through suffering of her little children’s deaths. As she endured such a painful time, she sublimed the purpose of her life and sad stories of her family leaving her into her love and yearning poetry. She describes images of an ideal Taoist hermit world to leave closed spaces for open spaces in her poetry. Heo, Nanseolhun expanded her own space to be greater world by comparing herself to the Taoist hermit world. During this process, she created love and yearning poetry which beautified the painful real world where her children and brothers died and where she was isolated by her husband. She pioneered challenging life herself rather than following her destiny to expand her open space into the world of poetry. She used her sorrow and longing as material for her poetry to elaborate the image of love to the status of Taoist hermit, which is her distinctive writing technique.

      • KCI등재
      • KCI등재

        유희경의 연정시 연구

        육례 ( Yukrye Y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이 글은 유희경의 연정시를 분석한다. 유희경은 조선시대 최고의 연정시를 창작한 시인들 중에 한 사람이다. 유희경은 평민이었으나, 사회적 제약을 극복하고 남녀의 사랑을 시로 노래한 연정시를 창작한다. 유희경의 연정시는 사랑하는 임에 대한 그리움을 이미지로 제시하여 독자의 마음을 매료시키면서 임과의 사랑이 저 하늘 끝까지 이어지게 한다. 유희경의 연정시는 오동나무, 달 등의 자연의 경물에 심상을 투영하고, 증(贈), 희증(戲贈), 기(寄) 등 다층적 공간을 사용하여 조선시대 최고의 위항시인의 반열에 올랐다. 그래서 유희경의 연정시는 많은 독자에게 큰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analyses Yu Huigyeong’s romantic love poems. He was one of the most poets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Being the lower class, he overcame his social restrictions and created romantic love poems describing love between males and females. His romantic love poems propose to yearning for the loved one as images, fascinate the hearts of the readers, and lead to extend the love with lover to the end of sky. He amounted to the rank of top Wihang poets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by projecting his mental images on natural scenery of paulownia tree, the moon, etc. and using the multi-layered space of Jeung, Huijeung, Gi, etc. in his romantic love poems. Therefore Ye Huigyeong’s romantic love poems will enable many readers to give a respectable love in the future.

      • KCI등재

        강정일당의 중용적 삶의 추구

        육례 ( Yu Yuk-ry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1 동양문화연구 Vol.35 No.-

        이 연구의 목적는 강정일당의 중용의 미덕을 분석한다. 강정일당은 도(道)와 수신(修身)의 삶을 중용에서 찾아서 중화(中和)의 경지에 이른다. 강정일당은 자기 수양을 통해서 평생 추구한 도인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강정일당은 도(道)뿐만 아니라 성리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강정일당은 그녀의 삶에 중용의 지혜를 실천했다. 강정일당은 『중용(中庸)』에서의 삶처럼 치우침이 없이 중도(中道)을 지키며 평생 살았다. 『중용(中庸)』에서 삼덕(三德)은 사람을 공경하는 일, 다른 사람의 처지를 이해해 주는 것, 백성을 친자식처럼 아껴주는 것이다. 강정일당은 삼덕을 삶의 좌우명으로 삼고, 그것을 올바르게 갈고 닦아서 여성이었으나 군자(君子)의 길과 중용의 지혜를 실천했다. 강정일당은 선비와 군자의 바른 마음가짐이 무엇인지 알았으며 학문과 수기(修己)의 기본적인 요소를 중용에서 찾았다. 강정일당은 자사의 『중용(中庸)』을 읽고 삶의 지혜를 얻어서 참된 선(善)을 행한다. 그리고 강정일당은 모든 일에 치우침이 없이 바르게 행동하는 도덕적으로 완전한 여성이 되려고 노력했다. 우리는 지(知), 인(仁), 용(勇)을 갖춰야만 이러한 중용의 삶을 실천할 수 있다. 강정일당은 지(知)를 어린이와 어른이 배움을 좋아하는 것이고, 인(仁)을 배운 지식을 행하는 것이며, 용(勇)을 이 두 가지를 익히고 행하지 않은 것에서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 세 가지를 알고 행하는 것이 곧 그녀의 수양(修養)이다. 강정일당은 지, 인, 용을 실천하여 중용을 지키는 삶을 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s the virtue of Kang Jeongildang’s middle path. She searched for Tao and the life of self-discipline in the middle path, and arrived at the stage of neutralization. With her self-discipline, she amounted to a rank of Taoist in her life, who she pursued. She was interested in Tao as well as Neo-Confucianism. And she practiced the wisdom of middle path to her life. Kang Jeongildang lived her life by keeping to the middle way without being one-sided as the life in Golden Mean. In Golden Mean, three virtues are to respect other people, to understand other person’s positions, and to love the people like his children. She made three virtues her motto, and cultivated them rightly. Though being a woman, she fulfilled the way of novel man and the wisdom of middle way. Kang Jeongildang knew what the states of mind of a true classical scholar and a noble man were, and searched for fundamental elements of her learning and her self-discipline. She got wisdom of a life after reading Jasa’s Golden Mean, and practiced true virtue. And she tried to be a morally complete woman by behaving correctly without being biased in everything. We can practice this middle way as we possess wisdom, benevolence and valor. She suggested wisdom as children and adults liked learning, benevolence as they practiced their knowledge, and valor as they felt shame when they did not perform wisdom and benevolence after learning them. To know and practice wisdom, benevolence and valor is her self-discipline. She searched for a human life kept the middle way by performing wisdom, benevolence and valor.

      • KCI등재

        「연오랑 세오녀」 설화의 구조와 상징성 연구

        육례 ( Yukrye Y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이 글은 삼국유사 의 「연오랑 세오녀」 설화의 상징성을 분석한다. 이 작품은 우리나라 문헌으로는 최초의 일월신화로 신비와 성스러움을 이미지로 제시한다. 「연오랑 세오녀」 설화의 달과 해의 이미지는 우주기원과 문화기원 등을 담고 있으며, 신화적 세계를 상징을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해와 달이 신라에서 일본으로 넘어간 것은 신라의 문화가 일본으로 전파된 것을 상징적으로 제시한다. 「연오랑 세오녀」의 성스러운 이미지는 바위와 영일현이다. 바위와 영일현은 종교적 장소로 볼 수 있다. 이 장소는 신라인들에게 성스러운 공간으로, 신라인들이 성스러운 공간을 경험하고, 존재의 의미와 일본으로의 문화의 전파와 같은 함축성을 갖는다. 성과 속의 이분법적 구분과 속을 초월하는 성스러움의 구조는 성스러움이 속에서 현현되는 것이다. 돌이나 바위와 같은 평범한 사물에 성스러움이 있다는 것은 영일현 바위가 성스러움이 깃들어 있으며 다른 바위와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우리 민족 설화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지방문화의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자료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symbolism of Yeonorang and Seonyeo in Samgukyusa. This work, which is the first sun and moon mythology in Korean literature, suggests the images of mystery and sanctity. The images of the sun and the moon in Yeonorang and Seonyeo incorporate the origin of culture, and represent a mythological world. That the sun and the moon went over from Silla to Japan, symbolize that our culture was delivered there. Holy images in Yeonorang and Seonyeo are rock and Yeongil-hyeon. The rock and Yeongil-hyeon may be viewed as religious places. The dichotomous division between the religious and the secular represents the manifestation of sanctity in the secular. It may be viewed that sanctity in an ordinary object like the rock implies that the rock in Yeongil-hyeon represented sanctity.

      • KCI등재후보

        <흥부전>의 인간의 변이양상

        육례 ( Yu Yuk-ry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5 No.-

        <흥부전>은 판소리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현재까지 국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그동안 <흥부전>의 흥부는 긍정적 인물로 놀부는 부정적인 인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이 연구는 <흥부전>의 흥부와 놀부를 현 시대의 관점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드려다 볼 것이다. <흥부전>은 박을 통해 흥부와 놀부의 욕망을 적나라하게 그려내고 있다. <흥부전>은 다른 소설들과 달리 가난한 백성들에게 신분상승이라는 꿈이 실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려고 시도한 작품이다. 복과 횡재, 공짜로 생긴 노다지는 신화적 요소를 가미시켜 우리에게 꿈과 희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복과 횡재는 현실에서 실현될 가능성이 아주 낮음에도 불구하고 백성들은 작가의 상상력에 동화되어 실제로 가능한 일처럼 몰입한다. 이는 작가가 의도적으로 고안한 창작기법의 진수이다. 실제로 이것의 영향은 요술방망이로 권선징악을 표상하는 광고물의 한 패러디처럼 간주 될 수도 있다. 우리는 색안경을 끼고 <흥부전>에서 권선징악을 찾을 것이 아니라 작중인물들의 생각과 이념이 <흥부전>의 소설구조에 어떻게 대립되어 흥미진진한 작품으로 거듭나는지를 눈여겨 봐야한다. <흥부전>의 역학적 해석은 변증법으로 치환이 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놀부의 못된 심상이 음이라면 흥부의 아름다움 심상은 양으로 정반합의 구성을 이룬다. 이 음양은 서로 대립하면서 순환을 한 이후에 결과적으로 동기간의 우애라는 선(善)으로 합일된다. 그래서 <흥부전>에서 놀부는 악인의 면모를 독자에게 전달하는 매개체가 아니라 선, 다시 말해 우애를 이행하도록 자극하는 매개물이다. 놀부는 악의 상징이 아니라 흥부의 선의 세계로 수용되어 두 형제가 선의 영역에서 화합을 이뤄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결론지어진다. 이는 흥부와 놀부라는 두 주인공이 서로 상반되는 대립, 즉 선악의 대립, 신분의 대립, 갑을의 대립과 같은 부조화가 종국에서는 조화를 이뤄 조화로운 세계에서 삶을 살아가는 한 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 Heungboojeon > has been loved by many people as a representative Pansori novel. This study speculates on the meaning of Heungboo and Nolboo seen from a new perspective. < Heungboojeon > stimulates the desires of the privileged through a gourd. The writer hides certain aspects of the two characters through a trick. < Heungboojeon > tries to help commoners realize their dream of social success unlike other novels. Although luck, windfall and bonanza could not occur in this miraculous narrative, commoners who had a dream of social success were tricked into being in favor of Heungboo rather than Nolboo. This misunderstanding derives from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It is presented in < Heungboojeon > where Nolboo is opposed to Heungboo. A dynamic interpretation of < Heungboojeon > can be replaced by a dialectic. It is a thesis-antithesis-synthesis. The good image of Heungboo is yang while the bad image of Nolboo is yin. As these two images pursue goodness as an original motivation, they return to the beginning of their friendship in < Heungboojeon >. So Heungboo in this story is a messenger of goodness who performs good deeds and raises our status, not a messenger who delivers evil to the readers. In conclusion, the novel was intended as follows: as the evil image of Nolboo is accommodated by Heungboo`s world of goodness, the two brothers are in happy harmonies with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