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웃도어 웨어 회사의 프로모션 전략에 관한 연구

        진숙(Jin Sook Yang),이성이(Sung Yi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현대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과 5일제 근무로 인하여 많은 레저와 스포츠를 즐기게 되었다. 본 연구는 아웃도어 브랜드 A사(K2)와 B사(코오롱스포츠)의 직접, 간접적 프로모션 전략 분석 및 제시로 범위를 한정하였고, A사와 B사에 대한 다양한 프로모션 전략을 비교분석하여 각 브랜드에서 향후 예상되는 프로모션 전략을 제시하고 향후 각 브랜드가 취해야 할 프로모션 전략을 제안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프로모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A사와 B사에 대한 다양한 프로모션 전략을 조사, 연구하여, STP 전략, SWOT 분석 등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로 다른 타겟 층을 두고 직접, 간접프로모션을 통하여 많은 매출을 올리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째, 두 회사의 프로모션 전략을 비교 분석해 보면, 브랜드 분석을 통하여 각사의 경영철학, 컨셉 등을 모태로 각종 캠페인과 판매사원 교육 강화, TV광고를 통한 프로모션 전략을 세우고 있었다. 둘째, 현재 프로모션 전략을 보면, STP전략을 통해 비교 분석한 결과 A사는 20-30대의 젊은 층을 타겟으로 한소비성향과 라이프스타일을 알 수 있었고, 남성적 이미지로 남성에게 인기가 많았으며, B사는 레포츠를 즐기는 20-30대, 중장년층을 타겟으로 전략을 세우고 있었다. 셋째, 위의 SWOT분석을 이용하여 향후 프로모션 전략을 수립한다면 강점과 기회는 부각시키고 약점과 위험요소는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향후 각 사의 성공적인 프로모션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extension of life due to the improvement of modern medical science, the concern of health and the 5-day-work brought us to enjoy many leisure sports these day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various promotion strategies of brand A and B, then present predictable promotion strategies of each brand in the future, and furthermore, to suggest some promotion strategies that each brand should take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above, research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romotion was taken first, and secondly, we researched and studied about various promotion strategies in brand A and B, then compared and analysed them through STP strategy, SWOT analysis etc. As a result, we have got to know not only that much of the sales was caused by direct/indirect promotion putting some different targeting class, but also as follows. Promotion, through campaigns, training salespeople, and TV advertisement based on their management philosophy and concept etc, was being built by themselves. Through STP strategy, on brand A, the consuming and life style of youths of 20s and 30s were discovered and the mannish image helped it for its popularity on men. However, brand B was taking 20s-30s and middle-age-targeted strategies. Through SWOT analysis, Strength and opportunity become emphasized, weaknesses and threats are maximized. As a result of this study, further more study for a successful promotion is necessary for building up their own promotion strategies based on the analysis above.

      • KCI등재

        텐셀소재의 fibrillation 에 관한 연구 (제2보) : 피브릴발생 및 평가방법을 중심으로 Based on Fibril Occurrence and Evaluation Method

        진숙,정영희,송경헌 한국의류학회 2001 한국의류학회지 Vol.25 No.4

        Fibrillation is caused by wet abrasion and occurs during scouring treatments, domestic laundering and wet finishing. So, for clean fabrics, fibrillation must either be prevented or removed after it has occurred. In this study, we researched the influence thickness of tencel on fibrillation occurrence. And the three methods of SEM photograph, reflectance values and gray level values were used in order to present proper evaluation method for fibril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hickness of tencel was high affected with occurrence of fibrillation, that is, as the thickness of fabrics thicker, the fibrillation occurer. And all method applicated as fibrillation evaluation method very effected without big difference, but they come into be a little question in the side of exactnes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Visual Merchandising 전략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의류 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진숙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at an influence of VMD factors on purchase behavior of consum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marketing strategy of enterprise. This research method are studies on precedent thesis and survey on purchase behavior of consumer, research limits are window display and interior display as VMD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expend about ₩100,000∼200,000 as clothes expending amount, the visit on cloth store is about one time for a month. The majority of respondents believe that window display and interior display represent a brand or image of goods, they have entered a store because of nice widow display, and have purchased a window displayed exhibit. This means that window display have an effect on the purchase behavior. The result data represent which the store display also affect the purchase behavior, because they have bought some clothes caused by favorite store display. In merchandising presentation(MP), they believe that MP also affect the purchase behavior(the preference of IP is a little high as compared with VP and PP). It showed the 62% of the respondents want to accompany someone when they go shopping each time, follow their opinion. In the purchase behavior, the companion also can be important factor. This result show that the store VMD is important and have to be studied continuously. 본 연구의 목적은 의류업체의 VMD 전략을 조사한 후 이들 변인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데 있다. 또한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기업의 VMD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VMD 동향과 학문적 배경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고, 실제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은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VMD요소와 구매행동 간 상관성에 대하여 조사한 내용을 분석, 고찰하여 결과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소비자 대상 설문에 있어 VMD전략시의 VMD요소로서 윈도우 디스플레이와 인테리어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제한하여 조사, 연구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응답자 표본은 의류를 구매하는데 사용하는 금액은 1개월에 10-20만원, 의류 매장 방문 횟수는 1개월에 한 번 정도 방문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윈도우 디스플레이와 구매행동에 대한 상관성에 있어서는, 윈도우 디스플레이와 브랜드 이미지 간에 상관성이 있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윈도우 디스플레이가 마음에 들어 매장에 들어가거나, 상품을 산 적이 있는 응답자가 많아 윈도우 디스플레이는 구매행동과 큰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테리어 디스플레이가 브랜드나 상품의 이미지를 나타낸다고 생각하는 사람과 인테리어 디스플레이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준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 인테리어 디스플레이와 구매행동 간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토어 디스플레이와 구매행동 간 상관성에 있어서는, 매장 의류 디스플레이가 마음에 들어 상품을 구입한 적이 있는 사람이 많아 상관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머천다이징 프레젠테이션(MP)에 있어서는, MP 모두 소비자의 의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VP와 PP 보다는 IP방식을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매 시 62%의 응답자가 동반자와 항상 같이 쇼핑을 하고 있으며 동반자의 의견을 따르는 사람이 많아 의류 구매행동에 있어 동반자의 의견 또한 중요한 변수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가진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아 매장 실적을 올리기 위해서는 매장VMD 연구가 더 깊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패브릭 소파 패턴디자인 해외사례분석

        진숙(Yang, Jin Sook),권혜진(Kwon, Hye J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거주공간의 기능 및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거실 공간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소파 중에서 패브릭 소파의 해외 패턴디자인 사례연구를 통해, 현존하고 있는 국내시장의 패브릭 소파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국내외 선행연구 논문 및 학술 발표 논문, 가구 잡지 국내외 전문 서적등의 문헌 연구와 가구 박람회 자료, 관련 기사 및 인터넷 사이트 등을 통해 대표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패브릭 패턴 소파를 소파의 유형, 패브릭 의장방식에 따른 유형, 모티프 구성에 따른 유형, 모티프 제작기법에 따른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해외브랜드 소파는 우리나라의 패브릭 패턴 소파에 비해 화려하면서 독창적인 패턴이 많았으며, 유행의 흐름보다는 자신만의 홈인테리어에 어울릴 수 있는 디자인을 소비자들이 다양한 각도에서 찾고 적용시킬수 있도록 패턴을 활용한 패브릭패턴 소파 시장이 잘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해외 패브릭 패턴 소파의 심도 있는 사례분석을 통한 디자인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아직까지는 사례가 미비하여 패턴 연구가 거의 되고 있지 않은 국내 패브릭 패턴 소파 시장에 앞으로 다양한 적용 가능성의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As the function and perception of living space changes, it is to se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fabric sofa in the domestic market in the future through a case study of overseas pattern design of fabric sofa, which is a large part of living room space.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y classifying the types of sofa, type of fabric design, type of motif, type of motif, type of motif, and type of motif, and type of motif, research papers, academic presentation papers, furniture exhibition material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ecialized books. Overall, overseas brand sofa had more colorful and original patterns than Korean fabric pattern sofa, and the fabric pattern sofa market using patterns was well formed so that consumers could find and apply designs that could fit their home interior from various angles rather than trend. Through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by identifying design properties through in-depth case analysis of overseas fabric pattern sofa, it can help various applications in the future on domestic fabric pattern sofa, which has been little pattern study due to lack of cas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텐셀소재의 fibrillation에 관한 연구 (제1보) : 셀룰라제로 처리한 텐셀의 물성변화를 중심으로 Based on Change of Properties of Tencel by Cellulase

        진숙,송경헌,정영희 한국의류학회 2001 한국의류학회지 Vol.25 No.3

        Tencel is a high quality cellulosic fiber, which is controlled and processed by an environmentally sound route. But, the point about tencel and the reason why it achieves its unique touch in its finished state is that it is a fibrillating fiber. That means it can take a great deal of punishment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which raise the fiber to produce the characteristics handle, without destroying the cloth. The aim of cellulase treatment is to improve appearence of tencel, plus the fiber ends protruding from the fabric surface. But enzymatic hydrolysis can weakens the fiber ends and changes the properties of fabrics. This study examined about the changes of properties according to several conditions and effect of cellulase to fibril of tenc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weight loss was occurred, tensile strength was decreased, softness was increased. And cellulase treatment reduced amount of fibril.

      • KCI등재

        SPA브랜드 H&M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사례 연구

        진숙(Jin Sook Y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199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은 패션 프로모션의 하나로서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콜라보레이션은 타 브랜드 또는 유명 디자이너가 함께 기획하고 상품을 제작하여 판매하는 전략으로 패션 프로모션에서 종종 사용되는 마케팅 전략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성공적인 프로모션 전략을 알아 보고자 SPA 브랜드 중 하나인 H&M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조사, 연구하여 분석함으로써 향후 콜라보레이션 마케팅의 나아갈 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H&M의 콜라보레이션이 2004년부터 시작되어 2014년까지 나타난 사례를 분석하였다. H&M은 10여 년간 총 17회 이상의 콜라보레이션이 진행되었으며 유명 디자이너와의 협업 9회, 브랜드와의 협업 6회, 스타일아이콘 콜라보레이션 2회 등 매년 1-3회씩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매년 H&M의 콜라보레이션은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가격으로 명품을 갖고 싶던 소비자들에게 유명 디자이너의 상품 또는 명품 브랜드의 상품을 쉽게 접할 수 있게 함으로서 성공적인 프로모션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모든 콜라보레이션이 다 성공적이지는 않았으며 개성이 강한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은 소비자의 이목을 끌거나 매출 확대로 끌고 가기에는 어려웠다. 앞으로 SPA 시장은 점점 더 커지고 브랜드들이 늘어나면서 프로모션 경쟁 또한 심화될 것이다. H&M프로모션의 콜라보레이션 사례 분석은 학문적인 면에서 그리고, 앞으로 프로모션의 한 도구로서 콜라보레 이션을 활용하고자 하는 업체에 기초적인 자료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marketing as one factor of fashion promotion continues to grow since 1990. The collaboration marketing is strategy that plan and produce new products with famous designer or another brand, this strategy is often used in for fashion promo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ollaboration marketing through the case studies of collaboration marketing of H&M as successful company. This research combined a literature research and an empirical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llaboration cases of H&M to 2014 from 2004. The collaboration marketing of H&M the last ten years was done total 16 times in progress, including 9 times with famous designer, 6 times with another brand and 2 times style-icon collaboration and etc.. The collaboration marketing of H&M was used as successful promotion by giving a chance to consumer who want to have luxury goods with resonable prices. But all collaboration have been quite successful, the collaboration with a designer who have a vigorous personality ended in failure. For some years ahead, SPA market will much greater by increasing of many new brands, the competition will be strong. So, this research hope will help companies and researchers in many ways about collaboration marketing.

      • KCI등재

        영어회화전문강사가 중학생의 제 2 언어 자아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구조방정식 접근

        진숙 현대영어교육학회 2013 현대영어교육 Vol.14 No.2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ways in which Conversational English Instructors (CEI)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L2 selves and motivation. Grounded in Dörnyei's (2005, 2009)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 model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IE, students' L2 selves, and other submotivational constructs was developed. A total number of 367 data were used to analyze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s confirmed the validity of predicted relationships among the constructs.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CEI positively affected the students' interest in L2 learning as well as L2 class involvement, which in turn influenced the creation of possible L2 selves. Further analysis indicates that the students' L2 learning interest demonstrates siginificant causal-effect relationships with ideal L2 self, promotion- and prevention-focused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L2class involvement, mediated by CIE, only affected the students' prevention-focused motivation. Along with the call for professional support for CIE, this study recommends CIE to deploy diverse L2 motivational strategies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balanced L2 self development.

      • KCI등재

        섬유예술에 나타난 개념미술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진숙(Jin Sook Yang),이성이(Sung Yi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개념미술은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개념미술에 대하여 연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개념미술의 역사와 개념미술에 있어서의 표현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특히 섬유예술에서 나타난 개념미술 작품을 조사, 연구하여 표현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섬유예술 또한 개념미술가들이 제시한 다섯 가지의 표현방법으로 구분되어 표현 되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섬유예술에 나타난 개념미술의 표현연구에 있어서 첫째, ``레디메이드``를 활용한 표현에 있어서는 평소 생활에서 사용하던 물건들을 전시장에 옮겨다 놓음으로써 우리가 사용하던 물건에 담겨있는 의미를 내면적 상징성으로 표현하고자 하며, 하찮은 일상적 물건도 작품이 될 수 있음을 보인다. 둘째, ``개입``을 활용한 표현에서는 자기가 경험한 세계를 천으로 만들어 어떤 공간에 개입시켜 놓음으로써 작가의 경험이 관람자의 간접경험에 의해 재해석되는 시각적 전환을 불러일으킨다. 셋째, ``자료 형식``을 활용한 표현에 있어서는, 사람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혹은 이미 잊혀진 자료들을 통해 사회적 고발이나 경고, 종교적 메시지 등을 전달함으로써 자료까지도 섬유예술을 표현하는 자료로 확장시키고 있다. 넷째, ``언어 매체``를 활용한 표현에서는. 의복이나 가방 등에 의도된 글을 사용함으로써 일상복을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키거나, 작가의 의미를 일상에 내재시킨다. 다섯째, ``행위과정``을 활용한 표현에 있어서는 천을 건물의 일부에 설치하거나, 천으로 공공건물을 포장, 설치하는 등의 행위 과정을 통하여 개념적 작가 의식 및 상징성을 표현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여러 작품을 통하여 논쟁이 되고 있는 개념미술 작업들은 현 시대에도 계속해서 더욱 더 충격적이고 이해하기 힘든 모습들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특히 섬유예술 분야에서도 사회에 대한 인식의 재발견과 내면에 흐르고 있는 의식의 발현을 개념미술이라는 형식을 빌어 견인하는 역할을 상당부분 하고 있음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가 섬유예술에서의 개념미술 확장을 위하여 기초적 연구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Conceptual Art inspired many of artists and it became a reason to start researching about the Conceptual Art. I will firstly researched about history of the Conceptual Art and presenting method of it. I especially researched Conceptual Art pieces in textiles and analyzed by the expression methods. As a result, I realized that it can be divided into five presenting methods to express the Conceptual Art and I concluded as followings. The five methods are, firstly, using ready-made, it tries to present realization that is far away from our consciousness. For example, it expresses by placing old clothes, uniform or chairs used daily in an exhibition hall. Secondly, using intervention, it moves our visual perspectives from other people`s places reconstituted by audiences` experiences or to outside of the exhibition place which is an institutionalinstallation through exhibiting a house with textiles. The third method is the expression using materials. It conveys religious messages with material ``Map`` or warning messages about global warming. Especially,it presents violence of wars through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miliary uniforms or flags from real wars. Next, in expression using language, it sublimatesletters written in clothes in art or it inheres hurt of souls and shock in art pieces using languages. Lastly, using action process, it tries to express symbolism of the Conceptual Art, for instance by the action installing textiles on a door or wrapping public building with textiles. Conceptual Art works which are controversial, have been continued and developed to more shocking and incomprehensive. Especially in textiles, the Conceptual Art seems to contribute to awareness about our society and revelations of inner sense. Therefore, I want this research to be useful as a basic reference for growth of Conceptual Art in texti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