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사 카츠에의 『노도의 보 (怒濤の譜)』론 : 『나의 자서전(私の自敍傳)』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私の自敍傳』との比較を中心に

        노영희 韓國比較文學會 2002 比較文學 Vol.29 No.-

        世界的な舞踊家崔承喜の生涯を描いた湯淺克衛の『怒濤の譜』を、崔承喜が25歲になった1936年日本語で書いた『私の自敍傳』と比較檢討してみた.湯淺は崔承喜の『私の自敍傳』が出刊されてから4年後『怒濤の譜』という作品を發表し、當時崔承喜という存在の意味を小說を通じて見せている.『怒濤の譜』は時代的な背景が崔承喜の『私の自敍傳』とほぼ同じであり、また登場人物も、モデルがだれであるかすぐ分かるぐらい『私の自敍傳』の中の人物たちと類似している.しかし湯淺が主人公の白聖姬を描寫する觀点は主人公の舞踊に對する自覺と韓國民族としての苦悶が稀薄な感じがする.小說の最初の部分で「胡茄歌」という漢詩を通じてあたかも當時の韓國人の立場が詩の中に登場する胡國人と同じ立場であることを暗示していた.しかし主人公が自から獨創的な踊りの世界を開發するために苦悶する樣子よりは師匠の死と社會的な狀況の變化によって踊りが變化することとなっている. しかし自敍傳の中で崔承喜は幼い時より父親の踊りを見ながら育ち、自然に身にしみていた韓國人の傳統的な踊りを通じて獨創的な舞踊世界に次第に眼覺めつつあったことを『私の自敍傳』ではっきりしていた.作家湯淺が主人公の舞踊の世界よりは彼女が當面した民族的な狀況に重点を置いている点は主人公の生涯を時代の中に稀釋してしまったような感じさえする.『私の自敍傳』が自敍傳という性格上、崔承喜の實際的な話しが主になっているが、『怒濤の譜』は湯淺が夢見た小說世界であったろう.その小說の世界の中には主人公の怒濤のように燃え上がる踊りの世界は描かれているが、そのような踊りが生じるまでの過程が稀釋されているのはこの作品の獨創性が問題視される結果を生じたと思われる.

      • KCI우수등재

        대학생들의 학술정보 포털에 대한 이용 및 수요분석 - ScienceON을 중심으로 -

        노영희,왕동호 한국문헌정보학회 202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6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술정보 포털에 대한 수요를 조사하고 ScienceON이 대학생들의 친화적 포털이 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 도출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ScienceON과 유사한 학술정보 포털을 조사하여 ScienceON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FGI 면담을 실시하여 대학생이 느끼는 ScienceON의 문제점을 기반으로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하는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검색 기능을 강화하고 대학생들이 원하는 정보를 모두 ScienceON에서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을 심어주어야 한다. 둘째,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구글 및 네이버와 같은 UI를 갖출 필요가 있으며, 현재의 딱딱한 디자인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교 저학년을 타겟으로 홍보를 진행하여 ScienceON을 익숙하게 만들어야 한다. 현재 대학생들은 MZ세대에 속하는 연령층으로 MZ세대는 향후 사회적 핵심을 이루는 세대가 될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MZ세대에 대한 관련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Z세대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MZ세대의 정보검색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에 대해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도서관 기부문화 정착을 위한 기업기부 사례분석 연구

        노영희 한국문헌정보학회 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No.2

        Library is a social institution that satisfies the intellectual needs of the community and provides information, cultural enjoyment, and continuing education to the community. However, it is true that a library may face with difficulties in satisfying the diverse and advanced needs of its users and performing its newly acquired roles because of the limited financial resources of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corporate donations as one of the options for library funding, both for expansion of critical library infrastructure and for the internal stability of library oper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determined corporate donation goals, donation targets, campaign donations, the number of libraries being built and renovated, and the effects on libraries that obtained corporate donation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known corporate donation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by libraries hoping to attract corporate donations. 도서관은 지역사회의 지적요구에 부응하고 정보제공, 문화향유, 평생교육 제공 등의 역할을 하는 사회적 기반 시설로서 그 중요성과 역할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한정된 재원으로 다양화․고급화된 도서관 이용자의 요구 및 새로이 부여받은 도서관의 역할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핵심인프라 확충과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재원확보의 한 방안으로 도서관 기부문화 정착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도서관에의 기업기부사례를 조사․분석함으로써 기업의 기부목적, 기부내용, 기부대상, 기부캠페인 여부, 건립 및 리모델링된 도서관 수, 그리고 기업기부로 인해 도서관이 얻은 효과 등을 밝혔다. 본 연구결과는 이후 도서관이 기부기업을 유치하는데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의 사회문제 대응과 기술영향평가

        노영희,이상엽,박민수 한국비교정부학회 2020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4 No.3

        (Purpose) Active use of Technology Assessment for convergence research is needed to diagnose social benefits and social problems caused by convergence research and seek solutions.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implications of humanistic and social-based convergence research by participating in the Technology Assessment in solving social problems. (Design/methodology/approach) We analyzed the reasons why TA is needed for convergence research and what implications can be expected through overseas case studies and framework analysis. (Findings) The TA carried out by KISTEP is that of combined methodology of participatory (discussive)TA since 2006, which originally started with the original method NBIT Convergence Study in 2003. Comparing with the TA cases conducted abroad, the problems of TA in our country were the conflict of methodologies, the limitation of the function of practical policy proposals due to TA demanders' problems, etc..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o solve these problems, diversification, independence, and upgrading of the methodology of the institutions carrying out TA are required, and these problems are expected to be sufficiently positive and uplifting synergies if the specificity and expertise of the researchers carrying out the humanities and social-based convergence research are utilized.

      • KCI우수등재

        폐교 시설의 효과적인 도서관 활용을 위한 폐교 발생 지역 주민의 인식 및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노영희,노지윤 한국문헌정보학회 201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는 폐교의 성공적인 도서관 활용을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폐교 운영 및 관리 현황, 향후 폐교 활용 방향, 그리고 도서관의 폐교 활용 등에 대한 요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제 폐교 발생지역의 주민들은 향후 폐교 활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도서관을 새로 신축하는 것보다 폐교를 리모델링하는 것이 비용 측면에서 경제적이라는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는 점에서 지역 내 도서관 수가 부족할 때 또는 지역주민들이 폐교를 도서관으로 리모델링하는 것을 희망할 때 폐교의 도서관으로서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폐교 활용 및 운영에 대한 인식은 보통 수준에 머물러 있어, 폐교 운영 및 관리의 장애요인을 그룹핑하여 홍보적․운영적․물리적 측면 순으로 폐교 운영과 재활용 활성화 방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폐교 시설의 활용 유형에 있어서도 문화시설에 대한 현황과 지역주민의 요구가 맞아들고 있고, 폐교가 해당 지역을 기준으로 비교적 접근이 용이한 곳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이를 중심으로 생활 밀착형․친화경 공간으로서 충분히 사용 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도서관 또한 지역주민들의 기초적인 문화시설 공간으로서 기존의 공공도서관과는 다른 복합문화공간, 전시관을 활용한 도서관, 친환경 도서관 등을 추구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요구를 충족․보완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demand analysis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closed schools, the direction of future use of closed schools, and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among local resident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the successful use of closed libraries. According to the study, residents in areas where schools actually occur may actively consider the use of closed schools when they are lacking in the number of libraries in the region or when they hope to remodel their schools as libraries, given that they are positive about future use of closed schools and that remodeling them is more economical in terms of cost than building new libraries. The current awareness of the use and operation of closed schools remains at a normal level,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improve the direction of the promotion, operation and recycling of closed schools in the order of promotion, operation and physical aspects by grouping obstacles to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closed schools.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facilities and the demands of local residents are met in terms of the types of use of closed school facilities, and it means that closed schools can be used in a relatively easy-to-access location based on their location, while libraries can be used as a space for cultural faciliti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ublic libraries, exhibition halls, and eco-friendly libraries.

      • KCI등재

        도서관 무한창조공간 구축 및 운영모형 제안에 관한 연구

        노영희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 정보관리학회지 Vol.31 No.1

        무한창조공간을 도서관서비스와 결합시키는 것은 도서관 이용자의 삶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라 생각된다.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은 이용자들이 세상을 다르게 볼 수 있게 하고 그들이 창조할 미래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고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와 선행연구논문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의 무한한 활용가능성을 제안했다.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을 위해 도출된 역할개념은 총 12가지로 사회소통공간으로서의 무한창조공간, 학습공간, 창조자원 공유공간, 관심주제탐색공간, 직업탐색 및 창업지원공간, 작가발굴 및 양성공간, 자가출판공간, 인큐베이터로서의 공간, 창조를 위한 협력공간, 창조를 위한 장비체험 및 활용공간, 이야기가 있는 스토리텔링공간, 전문가멘토링 및 컨설팅이 있는 공간 등이다. 하지만 여기에 그치지 않고 보다 많은 연구자들 및 관련자들이 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보다 많은 활용가능성 및 역할을 제안해야 하며, 이를 통해 획기적인 개념의 도서관 역할모색을 통해 도서관의 발전과 확대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Combining makerspaces and library services is an innovative idea that could positively and radically change the library user experience. The Library Makerspace is able to offer users a different view of the world, and give them the opportunity to explore and imagine new possibilities which they can then creat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real-world makerspace examples to create suggests for utilizing this trend. The roles and concepts of library makerspaces deriv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space for infinite creativity as social communication space, study areas, job searches, self-publishing, idea incubation, collaboration, equipment and utilization, storytelling, expert mentoring and consulting, and so on. The possibilities are endless, and allow fo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library.

      • KCI등재

        건강정보원 평가기준에 대한 공공도서관 및 의학도서관 사서간 인식비교 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5 No.1

        신뢰성 있고 품질 높은 검증된 정보원을 제공하는 것은 앞으로 사서의 기본 능력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관련 정보원의 평가기준을 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21개의 평가항목이 선정되었으며, 그 중 건강/의학 관련 정보내용 그룹에는 정보의 정확성, 정보의 최신성, 정보의 의학 전문성, 정기적 업데이트, 이용자의 입장을 고려한 정보, 정보의 객관성, 이해하기 쉬운 정보, 평이한 언어로 제공되는 정보, 정보의 완전성, 주제와의 관련성, 정보의 검증 가능성, 정보 출처 명시, 주의사항 및 경고를 명시 등 총 13개의 항목이 선정되었다. 건강/의학정보 제공원 그룹에는 건강정보 제공목적의 명확성, 건강정보에 대한 책임성 명시, 개인정보 보호정책 준수, 건강정보 제공기관의 공정성, 건강정보 제공기관의 윤리성 등 5개의 항목이 선정되었으며, 건강/의학정보 웹사이트 디자인 그룹에는 건강정보 접근의 용이성, 건강정보 검색기능 제공, 웹사이트 사용의 편리성, 질의 응답 서비스 제공 등 4개의 항목이 선정되었다. Providing reliable and high quality information sources will be one of the basic skills of librarians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evaluation criteria for health-related information sources based on a survey of public and medical librarians. As a result, a total of 21 items were selected as evaluation items, in three groups. The first, the health information content group, had 13 evaluation items, including accuracy, recency, medical expertise, regular updates, consideration of audience, objectivity, ease of understanding, plain (non-scientific or technical) language, completeness, relevance to the topic, verifiability, citation of information sources, and specification of precautions or warnings. The second group, the health-information sources group, had 5 evaluation items including clarity of health information for achieving its purpose, clarification of the responsibility of health information, compliance to the privacy policy, fairness of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and ethics of health information providers. The third group was the health-information website design group, and featured 4 evaluation criteria: ease of access, search capabilities, website ease of use, and query-response services.

      • KCI등재

        도서관의 문화적 가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노영희,Noh, Young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3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문화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도서관의 가치에 대해 연구한 국내외 논문들을 총체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예비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예비 평가지표는 10명의 전문가를 선정하여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종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최종 평가지표는 지역문화발전, 문화유산 계승 및 홍보, 지역주민의 문화향유에 기여, 지역공동체문화형성 등의 4가지 평가영역, 10개 평가항목, 50개의 세부평가지표로 구성된다. The present study develops an evaluation indicator for cultural value of library. First, a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 was developed based on analysis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the value of library. The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 was used for three rounds of Delphi survey conducted by 10 experts for development of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 consists of four evaluation areas community cultural development, succession - and promotion of cultural heritage, contribution to local residents' enjoyment of culture, and establishment of community culture and 10 evaluation items, and 50 specific evaluation indic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