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스틸바이트의 압력전달매개체에 따른 체적탄성률 비교 연구

        황희정,이용문,이현승,이수진,정재우 한국광물학회 2022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5 No.3

        본 연구는 섭입대 환경에서 다양한 액체들과 제올라이트와의 반응을 이해하기 위한 선행단계로, 섭입대 내 대표 제올라이트 중 하나인 스틸바이트(NaCa4(Al9Si27)O72·28(H2O))의 압축거동을 관찰하였다. 물과 NaHCO3 용액을 매개체로 사용하였으며, 상압에서 최대 2.5 GPa까지 가압하였다. 1.0 GPa 이하에서는 두 실험 모두 0.001~0.004 GPa-1 범위의 낮은 선형압축률과 220(1) GPa의 높은 체적탄성률을 보였다. 이는 물분자 또는 양이온이 스틸바이트의 채널 내부로 유입되면서 구조가 매우 치밀해졌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반면, 1.0 GPa 이상에서는 두 실험의 경향이 다르게 관찰되었다. 물의 실험에서는 c축, NaHCO3의 실험에서는 b, c축의 선형압축률이 모두 0.006(1) GPa-1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체적탄성률은 물과 NaHCO3의 실험에서 각각 40(1), 52(7) GPa의 값을 보여, 1.0 GPa 이전과 비교했을 때 압축률이 4배 이상 높아졌다. 이는 1.0 GPa 이상의 압력에서 압력매개체 내 물이 얼기 시작하면서 스틸바이트 내부로 유입이 멈추었고, 단지 채널 내에서 양이온 및 물분자가 이동함에 따라서 생기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특히 NaHCO3의 실험에서는 소듐 양이온이 치환됨에 따라 구조 내부의 분포가 달라졌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는 (001)과 (020)피크의 상대강도 비율이 물의 실험과 다른 경향으로 나타난 것을 근거로 예상해볼 수 있다.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ep to understand the reaction between various liquids and zeolite in the subduction zone environment. Stilbite, NaCa4(Al9Si27)O72·28(H2O), was selected and high pressure study was conducted on compressional behavior by the pressure-transmitting medium (PTM). Water and NaHCO3 solution that can exist in the subduction zone was used as PTM, and samples were pressurized from ambient to a maximum of 2.5 GPa. Below 1.0 GPa, both experiments show a low linear compressibility in the range of 0.001 to 0.004 GPa-1 and a high bulk modulus of 220(1) GPa. This is presumably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stilbite becomes very dense due to insertion of water molecules or cations into the channel. On the other hand, at 1.0 GPa or higher, the trends of the two experiments are different. In the water run, the linear compressibility of the c-axis is increased to 0.006(1) GPa-1. In the NaHCO3 run, the linear compressibility of the b- and c-axis is increased to 0.006(1) GPa-1. The bulk modulus after 1.0 GPa shows values of 40(1) and 52(7) GPa in water and NaHCO3 run, respectively, confirming that stilbite becomes more compressible than that before 1.0 GPa. It is caused by the migration of cations and water molecules inside the channel, as the water molecules in the PTM start to freeze and stop to insert toward the channel at 1.0 GPa or more. In the NaHCO3 run, it is assumed that the distribution of extra-framework species inside the structure is changed by substitution of the Na+ cation. It can be expected from tendency of the relative intensity ratio of the (001) and (020) peaks which show a different from that of the water run.

      • 자바 신기술의 세계로 '출발'

        황희정,Hwang, Hui-Jeong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1997 디지털콘텐츠 Vol.7 No.-

        이번에는 자바와 관련된 신기술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면서 자바의 무한한 가능성과 미래를 엿보기로 한다. 한가지 주의할 것은 적어도 이글을 읽는 동안에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나, 운영체제 등에 가지고 있는 편견을 버리고 순수하고, 객관적인 시각에서 자바를 바라 보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 KCI등재

        과정 중심 글쓰기 활동 중 동료피드백이 학습자의 영작문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과 인식에 관한 연구

        황희정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6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and perception of peer feedback on the improvement of learners’ English writing proficiency in process-based writing activities. 56 student participants were formed into two groups: 30 experimental group (PG) with peer feedback on their writing, and 26 control group (CG) without peer feedback. All students completed a process-based writing task and pre/post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ognitive and affective areas and consisted of 30 questions including questions 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fter they performed a 1st draft of writing, the students in each group were randomly divided into groups of three members. The students in PG rotated the drafts of each group members and exchanged peer feedback, and the students in CG read the drafts of each group members. They revised and completed the final draft. The study found that PG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final draft, which proved that peer feedback affected the improvement of learners’ English writing proficiency.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students generally perceived peer feedback as helpful and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attitude toward it. The findings imply that peer feedback should be valuable in process-based writing classes. Based on th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정 중심 글쓰기 활동 중 동료피드백이 학습자의 영작문 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56명의 대학생으로 동료피드백을 교환한 실험집단 30명과 동료피드백 교환하지 않은 통제집단 26명이었다. 모든 학생들은 과정 중심의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였고 사전·사후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설문 항목은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누고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관련 질문을 포함하여 3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초안 작성 후, 집단별로 무작위로 3인 1조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자신의 조에 속한 동료의 초안을 읽고 피드백을 교환하였고, 통제집단은 동료의 초안을 돌려 읽기만 하였다. 두 집단 모두 초안을 수정하여 최종안을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이 작성한 최종안이 훨씬 향상되었으며 이를 통해 동료피드백이 학생들의 영작문 실력향상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 동료피드백이 글쓰기에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인식하였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동료피드백이 과정 중심의 작문 수업에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함의한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제2 언어 습득의 언어입력(input)과 출력(output)의 역할에 대한 고찰

        황희정 새한영어영문학회 2005 새한영어영문학 Vol.47 No.3

        제2 언어 습득의 언어입력(input)과 출력(output)의 역할에 대한 고찰황 희 정제2 언어 습득에서 언어 입력(input)과 출력(output)의 역할에 관해 지속적인 논쟁이 이어져 오고 있다. Krashen의 언어 입력에 관한 가설(input hypothesis)이 주요 쟁점으로 논의되고 있는 반면에, Krashen의 가설에 상반된 Swain의 언어 출력에 관한 가설(output hypothesis)은 소홀히 여겨져 왔다. Krashen의 가설은, 제2 언어 학습자가 목표 언어(target language)를 습득하는 과정은 그 학습자의 언어 능력이 현재 i 단계(at the current stage i)에서 문맥(context) 안에서 의미(meaning)를 이해할 수 있는 언어 입력(comprehensible input)을 통해 자동적(automatically)으로 다음 단계 i + 1 (the next stage i + 1)로 나아가는 것이고, 그러한 습득을 통하여 의사소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이론이다. 한편, Swain의 가설은 제2 언어 습득은 구두(spoken)나 문자(written) 언어를 표현(produce)함으로써 이루어진다는 이론이다. 이 가설에는 연습(practice)을 통한 언어의 유창성향상 기능(enhancing fluency) 외 3가지 기능이 있는데, 인지 기능 (noticing), 가설검증 기능(hypothesis-testing), 메타 언어적 기능(metalinguistic)이다. 본 연구는 Krashen의 가설과 그와 관련된 이론들 (input processing, incidental learning)에 대한 쟁점들을 검토하고, Swain의 가설과 그 가설의 기능들을 살펴본 후, 기존 연구들을 근거로 언어 출력의 역할과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제2 언어 교수에 있어 바람직한 언어형태중심 지도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Association Between Plaque Thickness of the Thoracic Aorta and Recurrence of Atrial Fibrillation After Ablation

        황희정,이만영,윤호중,오용석,노태호,정욱성,박철수,최윤석,정우백,이재범,박현근,임근준,이재학 대한심장학회 2011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41 No.4

        Background and Objectives: Several predictors of recurrence of atrial fibrillation (AF) after ablation have been identified, including age, type of AF, hypertension, left atrial diameter and impaire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therosclerotic plaque thickness of the thoracic aorta is associated with a recurrence of AF after circumferential pulmonary vein ablation (CPVA). Subjects and Methods: Among patients with drug-refractory paroxysmal or persistent AF, 105 consecutive (mean age 58±11 years, male : female=76 : 29) patients who underwent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and CPVA were stud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currence of AF and variables, including clinical characteristics, plaque thickness of the thoracic aorta, laboratory findings and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were evaluated. Results: A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presence of diabetes {hazard ratio (HR)=3.425; 95% confidence interval (CI), 1.422-8.249, p=0.006}, ischemic heart disease (HR=4.549; 95% CI, 1.679-12.322, p=0.003), duration of AF (HR=1.010; 95% CI, 1.001-1.018, p=0.025), type of AF (HR=2.412, 95% CI=1.042-5.584, p=0.040) and aortic plaque thickness with ≥4 mm (HR=9.514; 95% CI, 3.419-26.105, p<0.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ecurrence of AF after ablation. In Cox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only the aortic plaque thickness (with ≥4 mm)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recurrence of AF after ablation (HR=7.250, 95% CI=1.906-27.580, p=0.004). Conclusion: Significantly increased aortic plaque thickness can be a predictable marker of recurrence of AF after CPVA.

      • SCOPUSKCI등재

        인공호흡기를 부착한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서 페병변 부위에 따른 체위적용이 동맥혈 가스분압 및 폐포동맥간 산소 분압차에 미치는 영향

        황희정,박혜자 성인간호학회 2000 성인간호학회지 Vol.12 No.2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manipulation of body position takes advantage of the influences of gravity for improving oxygenation. The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ositioning(supine, prone, right lateral decubitus and left lateral decubitus positions) applied to the mechanically ventilatory acute respiratory failure patients on arterial oxygen partial pressure(PaO2) , alveolar arterial oxygen tension difference(AaDO2) , mean aterial pressure, peak inspiratory pressure and plateau pressure. Thirty two acute respiratory failure patients admitted to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from March 1997 to January 1998,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radiographic evidence of unilateral or bilateral lung disease. In group 1 with dominant right lung disease were twelve subjects, group 2 with dominant left lung disease had eight subjects and group 3 had twelve subjects with bilateral lung disease. The variables were measured in 30 minutes after each position of supine, prone, good lung down lateral decubitus and sick lung down lateral decubitus position. The position order was done at random by Latin squre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ith group 1 patients, the PaO2 in the left lateral decubitus and prone position were 126.8±30.8 mmHg and 106.7±36.8 mmHg, respectively (p = 0.0001). 2) With group 2 patients, the PaO2 in the prone and the right lateral decubitus position were 121.7±44.7 mmHg and 118.5±31.7 mmHg, respectively (p = 0.0018). 3) With group 3 patients, the PaO2 was 143.6±36.6 mmHg in the prone position (p =0.0001). 4) With group 1 patients, the AaDO2 in the left lateral decubitus and the right lateral decubitus position were 178.1 ±29.7 mmHg and 233.1±24.4 mmHg, respectively(p = 0.0001). 5) With group 2 patients, the AaDO2 in the prone and the left lateral decubitus postion were 184.0±39.5 mmHg and 231.0±23.9 mmHg, respectively(p = 0.0019). 6) With group 3 patients, the AaDO2 in the prone and the supine postion were 377.1±35.6 mmHg and 435.7±13.1 mmHg, respectively (p = 0.0001). 7)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mean arterial pressure, peak inspiratory pressure and plateau pressure for each of the supine, prone, left lateral decubitus and right lateral decubitus pos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oxygenation may improve in mechanically ventilatory patients with unilateral lung disease when the position is good lung dependent and prone, and patients with bilateral lung disease when the position is prone without any effects on the mean arterial pressure and airway pressure. It is suggested that body positions improve ventilation/perfusion matching and oxygenation need to be specified in patient care plan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및 가족적응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황희정,이주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icidal ideation and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A total of 424 5th and 6th grade students from 3 schools in Seoul and Daegu participated in the study.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3 subscales of resilience, and suicidal ideation. In path analysis, only positiveness, one of the 3 subscales of resilience,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family cohesion on suicidal ideation. Self-regul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ability did not show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while family-cohesion directly affected suicidal ideation. In conclusion, family cohesion is a meaningful predictor of children’s suicidal ideation and resilience and, positiveness, serves as an important mediating factor between vulnerable family function and suicidal ideation.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및 가족적응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대구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 5, 6학년 42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가족응집성 및 가족적응성,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은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응집성 및 가족적응성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3개를 각각 검증한 결과, 긍정성만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가족응집성만이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긍정성 모형에서는 가족응집성이 긍정성을 통해서만 자살생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응집성이 초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 변인임을 보여주며, 회복탄력성을 구성하는 개념 중 긍정성이 가족응집성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긍정성에 초점을 맞춘 회복탄력성의 증진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높은 회복탄력성은 취약한 가족체계 하에 있는 아동들을 자살생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주는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The Clinical Impact of Bedside Contrast Echocardiography in Intensive Care Settings: A Korean Multicenter Study

        황희정,손일석,김우식,홍그루,최의영,임세중,이상철,정욱진,최정현,서혜선,윤세정,조경임,김형섭,윤현주 대한심장학회 2015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45 No.6

        Background and Objectives: We assessed the ability of portable echocardiography (with contrasts) to clearly delineate the cardiacstructure, and evaluated the impact of its use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ritically ill patients in Korea. Subjects and Methods: We prospectively enrolled 123 patients (mean age 66±16 years), who underwent portable transthoracicechocardiography (with contrast) for image enhancement at 12 medical centers. The quality of the global left ventricular (LV) images, thenumber of the regional LV segments visualized, the ability to visualize the LV apex and the right ventricle (RV), and any changes in thediagnostic procedure and treatment strategy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contrast. Results: Of the 123 patients, 52 (42%) were using mechanical ventilators. The amount of poor or uninterpretable images decreased from48% to 5% (p<0.001), after the contrast. Before the contrast, 15.6±1.1 of 16 LV segments were seen, which improved to 15.9±0.6segments (p=0.001) after the contrast. The ability to visualize the LV apex increased from 47% to 94% (p<0.001), while the inability toclearly visualize the RV decreased from 46% to 19% (p<0.001). Changes in the diagnostic procedure (for example, not requiring othertypes of imaging studies) were observed in 18% of the patients, and the treatment plan (medication) was altered in 26% of patients afterthe contrast echocardiography. Conclusion: The use of a contrast agent during the portable echocardiography, in intensive care settings, can improve the image qualityand impact the diagnostic procedures and treatment for Korean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