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량용 LiDAR 센서 물리적 신호교란 공격 중심의 실험적 분석과 대응방안 제안

        황지웅,윤요섭,오인수,임강빈 한국정보보호학회 2024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4 No.2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sensors, which play a pivotal role among cameras, RADAR(RAdio Detection And Ranging), and ultrasonic sensors for the safe operation of autonomous vehicles, can recognize and detect objects in 360 degrees. However, since LiDAR sensors use lasers to measure distance, they are vulnerable to attackers and face various security threats. In this paper, we examine several security threats against LiDAR sensors: relay, spoofing, and replay attacks, analyze the possibility and impact of physical jamming attacks, and analyze the risk these attacks pose to the reliability of autonomous driving systems. Through experiments, we show that jamming attacks can cause errors in the ranging ability of LiDAR sensors. With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 multi-sensor fusion under development and LiDAR anomaly data detection, this work aims to provide a basic direction for countermeasures against these threats enhancing the security of autonomous vehicles, and verify the practical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untermeasures in future research. 자율주행 자동차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 카메라, RADAR(RAdio Detection And Ranging), 초음파 센서 중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는 360도에서 사물을 인식하고 탐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LiDAR 센서는 레이저를 통해서 거리를 측정하기 때문에 공격자에 노출되기 쉬우며 다양한 보안 위협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iDAR 센서를 대상으로 한 여러 가지 보안 위협인 Relay, Spoofing, Replay 공격을 살펴보고 물리적 신호교란(Jamming) 공격의 가능성과 그 영향을 분석하며, 이러한 공격이 자율주행 시스템의 안정성에 미치는 위험을 분석한다. 실험을 통해, 물리적 신호교란 공격이 LiDAR 센서의 거리 측정 능력에 오류를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개발이 진행 중인 차량 간 통신(Vehicle-to-Vehicle, V2V), 다중 센서 융합과 LiDAR 비정상 데이터 탐지를 통해 이러한 위협에 대한 대응방안과 자율주행 차량의 보안 강화를 위한 기초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서 제안된 대응방안의 실제 적용 가능성과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KCI등재

        ADCP와 EFDC를 이용한 아라천 유역의 수리특성과 수질변화의 분석

        황지웅(Ji-Wong Hwang),조우성(Woo-Sung Cho),변성준(Seong-Joon Byeon) 융복합지식학회 2015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3 No.2

        경인 아라뱃길은 기 운영된 사례가 없는 기수역 운하로서 유량 및 수환경 관리 등을 포함한 수질관리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순간 유속을 측정하는 장비(ADCP), 전자파 표면유속계(ADV)와 수질모의가 가능한 EFDC를 사용하였다. 이는 첨단기술과 정보기술을 바탕으로 마련된 융복합 기술력으로서 굴포천이 아라천 유역에 미치는 수질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ADCP와 ADV를 통해 유량 값을 산정하였으며, EFDC를 통해 수질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굴포천이 아라천 유역에 미치는 영향과 굴포천으로 유입하는 지천의 수질변화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귤현보의 운영에 따른 오염원에 대한 수질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Gyeongin Ara Waterway in Korea is an artificial canal recently built and being operated with brackish water. Artificial canals with brackish water are not commonly operated throughout the world thus the management of a flow regime and an aquatic environment is compulsory. This study used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ADCP) and Acoustic Doppler Velocimetry (ADV) for investig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used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 for computer based modeling of aquatic environment. Within those tools, it has been possibl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flow from the Gulpo stream as the major branch of the Ara Waterway, and this study also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ments for management of inflow from branche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proposed improvement plan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through weir structure installed in the Ara Waterway.

      • MOUSE Model을 이용한 인천시 서구지역의 빈도별 대피로 선정

        조우성,이경수,황지웅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최근 10년(‘99~‘08년)간 재해로 인한 피해가 과거 10년(‘89~‘98년)에 비해 3년 이상 증가하는 등 피해 규모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또한 상습침수지역에 반 지하주택의 건설 및 전기·가스시설 등으로 인하여 침수피해로 대피하는 주민들이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급속한 경제 성장 과정에서 재해위험을 크게 고려하지 않고 도시계획 및 개발을 주요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침수위험지역에서 일어나는 잠재위험성을 예측하고, 위험성에 따른 영역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빈도에 따른 도시침수 영역을 분석하여 안전한 주민대피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MIKE URBAN의 모형 중 도심지 배수시스템의 복잡한 수리학 및 유체역학적 모의가 가능한 MOUSE Model을 선정하였으며, 경사가 급하고 우수관로가 노후하여 침수피해가 빈번한 인천시 서구 지역을 대상으로 모의를 실시하였다. 입력 자료는 인천광역시 서구의 유출계수, 지반고, 우수 관망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의 결과는 강우빈도 10년부터 200년까지 조건으로 모의하였을 때, 발생되는 침수의 지역은 대체로 비슷하나 강우빈도가 높아질수록 수위와 침수범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빈도에 따른 모의결과 비교검증을 통해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것이며, 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강우빈도별 침수지역 및 범위에 따라 재난시 국가에서 지정된 대피소(학교, 공원 등)에 연령대별 자유보행속도를 고려하여 최단거리의 대피로를 산정 본 연구의 결과로 강우빈도에 맞는 시나리오 구성을 지역적 특성에 맞게 적용하여 주변 도시의 재해 위험성을 사전에 예측하고 재해 취약지점에 대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Global Renal Cell Carcinoma Research Trends Over 30 Years: A PRISMA-Compliant Bibliometric Analysis

        김정훈,황지웅 대한비뇨기종양학회 2024 대한비뇨기종양학회지 Vol.22 No.1

        Purpose: Renal cell carcinoma (RCC) is a relatively common malignancy of the urinary tract. Over the past few decades, methodologies for diagnosing and managing patients with RCC have shown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insights into RCC research trends over that period. Materials and Methods: To understand RCC research trends over the past 30 years, we conducted a bibliometric analysis, an appropriate method for evaluating scholarly output. Data were acquired by searching the Web of Science for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1 and 2020. Bibliometric analysis and VOSviewer were used to visualize and statistically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sults: A total of 18,172 articles were identified. The most productive country was the United States (n=4,461, 26.5%), followed by China (n=3,503, 19.9%), and Japan (n=1,950, 11.9%). During keyword analysis, 3 clusters were identified, relating to gene expression, surgical outcomes, and immunotherapy. Over the last 10 years, research has mostly focused on emerging immunotherapy-related drugs. Conclusions: Our bibliometric analysis has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RCC research trends over the past 30 years.

      • KCI등재후보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 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 고찰: 계량서지학적 분석 및 시각화된 분석

        박재근,황지웅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4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JDCR) Vol.12 No.1

        췌장암(pancreatic cancer, PC)은 진단과 치료가 가장 어렵고 까다로운 암이다. 그중에서도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BRPC)은 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종양으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절제 가능한 췌장암과 질병이 너무 광범위하게 진행되어 수술이 불가능한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 사이의 중간 단계에 해당한다[1]. 일반적으로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BRPC)은 종양이 주변 혈관을 약간 침범했지만 적절한 수술 전 치료 후 수술로 제거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를 말하며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 환자(BRPC)의 치료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수술만 아니라 다양한 의학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5]. 서지학(bibliometric analysis)은 특정 연구 분야의 출판물의 성과와 영향력을 양적, 질적 관점에서 조사하는 문헌 분석 방법으로써 주요 연구 동향, 새로운 주제 및 해당 분야의 진화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며, 과학 분야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를 제공한다[6]. 또한 서지학은 과학 및 학술 커뮤니티에서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과 전략적 계획을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의학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7-10]. 그러나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에 대한 서지학적 분석은 아직 발표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지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최근 10년간의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주요 특징을 평가함으로써 해당 연구의 현황과 동향을 더 잘 이해하는 것이다.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an intermediate stage between a completely resectable state and an unresectable state, requires a multidisciplinary treatment approach.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recent research trends regarding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to gain further insights into them. Data from published papers about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were collected from Web of Science (2014–2023) for the analysis. This study included 355 papers; data on major countries, publishing organizations, and keyword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urthermore, R studio and VOSviewer were used fo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keywords. Publication of papers on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was observed to be increasing annually by 12.8%, with the United States and Japan being the main publishing countries. In 2014, keywords related to surgery and chemotherapy were dominant; however, a shift toward more integrative approaches, such as neoadjuvant therapy, was observed over time. This study demonstrates rapidly evolving trends and paradigm changes in the research and management of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future research strategies and improving patient treatment outcomes.

      • KCI등재후보

        췌장중앙절제에 있어서 복강경 수술과 개복 수술의 비교: 단일기관 95예의 경험

        강민창,김송철,송기병,박광민,이재훈,황지웅,김영환,남정수,윤종희,이영주 대한내시경복강경외과학회 2012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Vol.15 No.4

        Purpose: Despite recent advances in laparoscopic pancreatic surgery, few studies have compared laparoscopic central pancreatectomy (LCP) with open central pancreatectomy (OCP).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outcomes between LCP and OCP as a single institutional study. Methods: During the study period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10), we performed central pancreatectomy in 95 cases. Among them, 26 cases of totally LCP and 55 cases of OCP were compared retrospectively. Results: Benign pancreatic neoplasm was the main indication. The mean operation time for the LCP group (350.2 min) was longer than that for the OCP group (283.4 mi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actual blood loss (477ml versus 714 ml, p=0.083) between the LCP and OCP groups. Return to a normal bowel movement and resumption of aliquid diet were achieved 5.5±2.6 days after the operation in the LCP group and 6.6±2.0 days after the operation in the OCP group (p=0.039). The mean duration of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13.8 days for the LCP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22.5 days for the OCP group (p=0.015). The overall complication rate was 42.3% (11 cases) in the LCP group and 45.5% (25 cases) in the OCP group (p=0.790). Conclusion: Use of LCP for benign or low grade malignant lesions of the pancreatic neck portion is feasible and safe. Compared to the open method, the laparoscopic approach to central pancreatectomy appears to provide advantages of early resumption of a normal diet and reduction of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ithout further co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