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질투심의 성차: 진화론적 가설에 대한 사회인지적 연구

        황재원,한성열,허태균 한국여성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9 No.2

        Some previous research has found that a man is more likely to be distressed by imagining his mate's sexual infidelity than her emotional infidelity, whereas the opposite pattern is true for a woman. Theories in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interpreted the findings as results of human generic sexual-differences in mating strategies. However,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has argued that the sexual differences possibly represents artifacts of measurement - especially, artificial effects from the forced-choice methodology - and the findings are based on effortful cognitive processes rather than spontaneous responses reflecting generically-automatic processes. The present research tested the evolutionary versus sociocultural hypotheses by using both forced-choice and continuous measures of jealousy and reaction times(RTs) for imaging sexual infidelity vs. emotional infidelity. As results, the sexual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participants' response on the forced-choice measure of jealousy but not on the continuous measures. Also, there was no sexual difference in the reaction time in imagining sexual versus emotional infidelity. The result also revealed that participants' previous sexual experiences play a moderating role on jealousy experiences. These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the sociocultural explanation of the sexual differences in jealousy.

      • KCI등재
      • KCI등재

        자기조절을 통한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시간 단축과정과 영향요인

        황재원,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5

        This study investigated variation patterns of Internet use time by monitoring adolescent's Internet use time everyday for 4 weeks and analyzed factors which influenced on the variation patterns in order to find how adolescents reduce their Internet use time through self-regulation. 923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introduced to the program but 75 students of these actually took part in the program.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variation pattern in Internet use time was not linear. By the end of the first week, Internet use time had decreased rapidly; afterward, the decreasing rate was moderat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variation pattern between the Internet addiction type. In the first week, high self-efficacy, high volition levels, low goal levels, and high positive affectivity influenced the decreasing rate of Internet use time. In the other weeks, only efforts focused on goal achievement affected a decreasing rate of Internet use time. Next, the goal achievement effort increased as time passed. In the beginning, low independency levels, high outcome expectations, high self-efficacy, and high positive affectivity influenced the goal achievement effort, but afterward, decreased Internet use time and goal monitoring levels influenced the goal achievement effort. This study found that regardless of individual variables, environmental variables, and physiological variables, the Internet use time can be reduced through self-regulation.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자기조절을 통해서 인터넷 사용시간을 어떻게 줄여나가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 4주간 매일 인터넷사용시간을 관찰 기록하여 변화패턴을 조사하였고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고등학생 남녀 923명을 대상으로 모집하여 최종적으로 75명이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참가자들의 인터넷 사용시간의 변화패턴은 첫 주까지는 사용시간이 급속히 줄어들다가 첫 주 이후부터는 완만히 직선적으로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으며 중독 수준별로 차이 없이 동일한 변화패턴을 보였다. 사용시간 감소에 영향을 미친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첫 주 동안에는 높은 자기효능감, 높은 의지수준, 낮은 목표수준, 높은 긍정정서가 유의미하였으며 첫 주 이후의 변화에는 목표달성노력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목표달성노력의 변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서서히 증가하였는데,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초기에는 낮은 도움추구수준, 높은 성과기대, 높은 자기효능감 및 높은 긍정정서가 영향을 미쳤으며, 지속적인 목표달성노력의 증가에는 인터넷 사용시간감소와 목표관찰수준이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은 개인 및 환경변인에 상관없이 자기조절을 통해서 인터넷사용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변화단계별로 유의미한 영향요인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학년변화에 따른 청소년 학교폭력 경험유형의 변화패턴 탐색

        황재원,고홍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1 청소년상담연구 Vol.29 No.1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students' experiences related to school violence would change as they go higher in grade levels. For this purpose, some of the longitudinal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by the Seoul Metropolitan Education Policy Research Institute were selected and analyzed. Specifically, the data from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years 3-8), for which grades a school violence-relat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irst time, were used. The patterns of change in the types of school violence that the students experienced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no experience, victim experience, bully experience, and victim/bully experience. Results showed that the type of no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teadily increased with grade-level increase. In addition, the period when the percentage of victim/bully experience and no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ntersected was between the second grade and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he type of bully experience gradually increased to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and then decreased after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hile the type of victim experience gradually decreased to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and then fluctuated repeating slight increase and decrease after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Overall, the critical period of change was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of middle school. Also, when two groups were analyzed separately (i.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second grade of high school), most students experienced being a victim and bully but had no experience in the end. There are two major patterns of change in student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One is the pattern of bully→victim/bully→no experience, and the other is the pattern of victim→victim/bully→no experience. This would mean that when students experienced school violence, whether they were a bully or victim, they tended not to escape from bullying immediately rather they gradually escaped experiencing both being a victim and/or bull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dentified specific types and patterns of school violence student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experienced longitudinally. It is hoped that based on these findings, future researchers, educators, and helping professionals would consider the timing and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s in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교폭력 관련 경험이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로 변화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변화추이를 알아보기 위해 연속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울특별시 교육정책연구소에서 주관하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자료 중에 일부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초등학생패널 중 학교폭력 관련 설문을 처음 실시한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3차~8차 연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초6에서 고2까지의 학교폭력 가담여부, 가담형태를 중심으로 학교폭력 무경험, 피해경험, 가해경험, 피해/가해 경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변화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폭력 무경험유형이 학년변화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해/가해경험유형과 무경험유형의 퍼센트가 교차하는 시기는 중2와 중3 사이로 나타났다. 가해경험유형은 중2까지 완만히 증가하다가 중3 이후부터 감소추세로 바뀌었으며, 피해경험유형은 중2까지 완만히 감소하다가 중3 이후에 미세하게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변화의 중요한 시점은 중2-중3 시기이며, 초6-중2 구간과 중3-고2 구간을 각각 나눠 분석한 결과 대부분 학생은 가해, 피해 경험이 있었지만, 최종적으로는 무경험으로 변화하였고, 학교폭력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변화패턴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가해→피해/가해→무경험, 또 하나는 피해→피해/가해→무경험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결국, 가해만 하던 피해만 보던 학교폭력에서 벗어나는 과정은 바로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피해/가해를 동시에 경험하면서 점차 벗어나는 추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초6에서 고2까지의 학교폭력 전체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교폭력 대처를 위해 본 연구에서 얻는 결과를 근거하여 개입 시점과 특성을 고려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행복추구경향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황재원,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university students pursue the way to happiness and how this pursuit influences their subjective well-being.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are 166 students in six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South Chungchong and Gangwon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s. First, the pursuit of pleasure scored most, the pursuit of meaning scored second, and the pursuit of engagement scored least. Females pursued pleasure more than males, and upper-class students pursued meaning more than lower-class students. Second, the pursuit of pleasure didn't in any way predict life satisfaction or subjective happiness. The pursuit of meaning only predicted both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orientation to happiness variable predicted both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more than demographic variables. After discussion, we concluded that pursuing pleasure was no guarantee of subjective well-being, although it is a human basic instinct. We also concluded there were cultural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the orientation to happiness on subjective well-being.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행복추구경향의 특성을 파악하고 행복추구경향과 주관적 안녕감(삶의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그들이 추구하는 행복추구방식이 어떤 것이고, 그러한 추구방식이 실제로 얼마나 많이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을 설명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 강원 소재 여섯 개 대학교에 다니는 재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행복추구경향은 즐거움추구경향, 의미추구경향, 몰입추구경향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즐거움추구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의미추구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행복추구경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즐거움추구경향은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 모두에 대해서 유의미하지 않았고 의미추구경향만이 모두에 대해서 유의미하였다. 또한 행복추구경향은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 모두에 대해서 삶의 상황변인보다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이 밝혀졌다. 논의를 통해서,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성향이지만 그것이 행복을 담보하고 있지 않으며, 행복추구경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동서양간의 문화적 차이가 개입될 수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 KCI등재

        학령기 아동경험과 부모 및 주변환경이 향후 청소년기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황재원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childhood experiences, parents, and school-age environment on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ce. This study used the SPSC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1st year data and 7th year data, and 1367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s' education, the parents' employment, parents' economic level, whether the parents were the biological parents or not all influenced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ce. As for the effects of individual childhood variables, the lack of atten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duration of daily Internet usage, and acts of violence at school influenced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ce. As for the effect of parental variables, parental depression, parental conflict,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and parental monitoring influenced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ce. The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influenced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ce included, perceived school environment, friend's soundness, and neighborhood security. This study showed important factors that we may monitor for school age children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the probability of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ce. In particular, parents' mental health, timely rearing attitudes, and monitoring were very influential factors.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시절의 아동경험과 부모 및 주변환경이 향후 청소년기의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아동패널조사에 참가한 아동 1367명의 초등학교 4학년 자료(1차년도)와 그 아동의 고등학교 1학년 자료(7차년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변인으로는 부모의 학력, 근로유무, 경제수준, 친자여부가 향후 청소년기의 인터넷중독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아동 개인변인으로는 주의집중부족, 건강상태, 하루 인터넷사용시간, 학교폭력가해경험이 향후 청소년기의 인터넷중독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변인으로는 부모우울, 부모갈등, 부모의 양육방식, 부모의 지도감독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주변환경변인으로는 지각된 학교환경, 또래건전성, 이웃환경 건전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청소년기의 인터넷중독 가능성을 사전에 줄이고 예방하기 위하여 학령기 때에 관심을 가져야할 주요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부모의 정신적 건강과 시기적절한 양육태도 및 지도감독이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치근 및 치주조직 형성과정 동안 Sonic Hedgehog signaling의 역할

        황재원,조의식,양연미,Hwang, Jaewon,Cho, Eui-sic,Yang, Yeonmi 대한소아치과학회 201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5 No.2

        본 연구는 치근 및 치주조직의 형성과정동안 Sonic Hedgehog (SHH) signaling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치성간엽에서 조직특이적으로 Smoothened (Smo)가 활성화 또는 차단되는 mouse를 제작하여 분석하였다. 생후 28일경 Smo 활성화모델에서는 H-E 염색 시 얇은 두께의 치근상아질, 넓어진 치수강, 치주인대공간에 느슨하게 배열되어있는 섬유들이 관찰되었다. 면역조직화학염색 시 Smo 활성화모델은 wild type mouse와 비교하여 백악질, 치주인대 그리고/또는 백악모세포의 표식자인 Bsp, Dmp1, Periostin, Ank 같은 기질 단백질들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Smo 차단모델은 wild type mouse와 비교하여 이러한 기질 단백질들의 발현에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치근 및 치주조직의 정상적인 형성과정에 낮은 수준으로 조절되는 SHH signaling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oles of Sonic Hedgehog (SHH) signaling during tooth root and periodontium formation. In this study, we generated the dental mesenchyme-specific Smoothened (Smo) activated/inactivated mice with the activity of Cre recombinase under the control of osteocalcin promoter. In the Smo activated mutant molar sections at the postnatal 28 days, we found extremely thin root dentin and widened pulp chamber. Picrosirius red staining showed loosely arranged fibers in the periodontal space and decreased cellular cementum with some root resorpti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showed less localization of matrix proteins such as Bsp, Dmp1, Pstn, and Ank in the cementum, periodontal ligament, and/or cementoblast. In the Smo inactivated mutant mouse, there was not any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localization of these matrix proteins compared with the wild typ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dequate suppressing regulation of SHH signaling is required in the development of tooth root and periodont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