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Function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in the Choice of Information Sources for Product Purchase Decision-Making

        황장선 한국광고홍보학회 2005 한국광고홍보학보 Vol.7 No.1

        The current study dealt with the collectivism-individualism, which has been widely known for its explanatory power of different cultures. The study employed this cultural construct, instead of conducting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for a homogeneous consumer market and examined whether the collectivism-individualism personality can influence consumers' external search behavior, especially preference of various information sources. Basic assumptions based on the literature was the fact that collectivistic consumers would prefer the personal sources, since they are expected to value others' thoughts. On the contrary, individualistic consumers are supposed to prefer nonpersonal information sources including ads, the Internet, and commercials. Additionally, time pressure (short-term v. long-term) was predicted to moderate this major relationship. The study employed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ith 382 valid samples from a large southwestern university in the US. A self-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and two different types of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o manipulate the levels of time pressure. The finding supports this hypothetical relationships roughly. Especially, collectivistic consumers preferred personal sources such as friends, family, and neighbors, while individualistic consumers preferred nonpersonal sources including commercials. Under the strong time pressure, this difference of source preference did not revealed, while the relationship remained under the weak time pressure (long-term). The study suggests that marketing communication practitioners need to consider how collectivistic (or individualistic) their target consumers are and to apply their findings to the media planning and message strategy. Following studies need to enlarge the current findings with more various consumers, cultures, and product categories. 본 연구는 비교 문화 연구에서 지난 20여 년 간 문화간 행동의 차이에 대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다루어져 온 집단주의-개인주의 (Collectivism-Individualism)에 대해 초점을 두었다. 현재까지의 대부분 연구들이 둘 이상의 다른 문화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 집단주의-개인주의 변인을 다루어 온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이것을 한 국가내의 동질적인 소비자들이 다양한 제품과 관련된 정보원들 (Information sources)을 선호하는 현상의 설명 요인으로 규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소비자 행동의 과정에서 정보 탐색은 지난 50여 년간 수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루어져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정보 탐색의 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고 검증하는 데에 치우쳐 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정보원들을 제시하고 어떤 정보원을 더욱 선호하는 지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집단주의-개인주의 변인은 독립변인으로 처리되었다. 덧붙여, 시간상의 제약 (Time pressure)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즉, 구매 결정까지 허락된 시간이 매우 짧다면, 집단주의 및 개인주의적 소비자들의 성향이 각 정보원에 대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 않을 것이며, 시간의 제약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는 집단주의적 소비자들이 개인적 정보원 (personal sources)을 선호할 것이며, 개인주의적 소비자들은 광고와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비개인적 정보원 (nonpersonal sources)을 선호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집단주의적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의견과 생각을 중시하는 반면, 개인주의적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더욱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는 이론에 근거한 것이다.실험은 미국의 남서부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n=382), 시간의 제약을 시나리오로 조작하기 위해 두 개의 다른 실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최초 480의 샘플 중 집단주의적 집단과 개인주의적 집단을 나누기 위해 중앙치를 중심으로 가까지 분포한 20%의 샘플을 무효화하고 나머지 집단주의적으로 평가된 40% 샘플과 개인주의적으로 평가된 40%의 샘플이 분석되었으며, 유효하지 않은 샘플들은 일부 제외되었다. 주요 실험 가설들은 대부분 지지되었다. 즉, 집단주의적 소비자들은 개인주의적 소비자들보다 개인적 정보원을 더욱 선호하였으며, 대표적으로 친구와 가족에서 두 집단간의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반면, 개인주의적 소비자들의 TV 및 라디오 광고물들을 참고하겠다는 의견은 집단주의적 소비자들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시간의 제약이 매우 강하게 주어진 경우에 있어서, 두 집단간의 차이가 거의 드러나지 않았지만, 시간의 제약이 상대적으로 없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정보원에 대한 차별적 선호가 잘 드러났다. 향후 실무자들은 해당 타겟 집단에 대한 매체 전략과 메시지 전략 등을 수립할 때에 이러한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을 고려하여 참고하여야 할 것이며, 추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샘플과 기타 변인들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저작권 침해 웹사이트 내 광고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황장선,김운한,지원배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3

        The research is aimed at finding solution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advertisements on copyright violation websi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many advertisements harmful to teenagers, such as casinos, betting, games, adult products, and adult meeting, which is necessary to deal with. Secondly, advertisements from large companies and famous brands are also being executed continuously, which can create trust in illegal sites. Therefore, the government, advertisers, citizens, and academia should participate in a campaign to root out the use of illegal website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eradicate them by crackdown alone. 본 연구는 저작권 침해 웹사이트 내 광고현황을 내용분석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문제점을 찾아내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저작권 침해 웹사이트 내 광고 업종으로 카지노, 베팅, 게임, 성인용품, 성인만남 등 청소년에게 유해한 광고물이 많이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대기업, 유명 브랜드의 광고물도 지속적으로 집행되고 있어 불법 사이트에 대한 신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속만으로는 근절이 불가능하여 정부, 광고주, 시민, 학계가 참여하는 ‘불법 사이트 이용 근절 캠페인’이 필요하다.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광고 분야의 연구 방법론에 대한 고찰과 새로운 접근에의 제언

        황장선,도선재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광고연구 Vol.0 No.115

        The current study begins with investigating the changes and current state of arts of research methodology and methods in the digital media advertising field. In order to yield the meaningful suggestions for specific approaches and methods in this field, a total of 249 papers from domestic major journals in advertising area. A content anlaysis and SNA(Social Network Analysis) were employed. Each of medium, platforms, types of advertising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associations with their research trends. Recent studies in critical journals were also reviewed to find newer and valuable approaches which are fairly new. Some insightful suggestions were yield: maximization of generalizability, systematic analysis of consumers’ languages, and realisticqualitative research.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광고 분야의 연구가 모바일 환경의 도래 이후 최근까지 어떤 내용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그 접근법과 연구 방법은 어떤 양상으로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현 시점에서 디지털 미디어 광고 분야에서 어떤 접근법과 연구 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주요 광고학 학술지에 2010년 이후로 발표된 총 249편의 디지털 미디어 분야의 연구들에 대해 내용 분석과 사회연결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을 통해 각 매체, 플랫폼, 광고 유형 등에 따라 어떤 양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연구 방법론과 연구 방법은 연구 주제와 어떤 매체 및 플랫폼에 따라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보완적 관점을 얻기 위하여 본 연구가 진행한 추가적 소연구는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발표된 관련 논문들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여 새로운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지향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주요 학술지의 최근 발표 논문들을 검토하여 일반화 가능성의 극대화, 현실성이 높은 소비자 언어에의 분석 체계화, 질적 연구의 적극적 활성화 등을 주요 제안점으로 도출하였다. 끝으로 현재 국내 관련 분야의 연구가 갖는 문제점과 극복해야 할 과제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포함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Synthesis of Beta-glucan Nanoparticles for the Delivery of Single Strand DNA

        황장선,이경우,Assaf A. Gilad,최종훈 한국생물공학회 2018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3 No.2

        The polysaccharide and biopolymer, beta-glucan, has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immunity and its use as a drug delivery system has been diversified. Betaglucan, a triple helix structure, is unstructured to single strands by heat, DMSO or NaOH. Synthesis of beta-glucan nanoparticles using DMSO and water is easy and fast, but its size is limited. In this study, beta-glucan nanoparticles (GluNPs) were prepared by slicing beta-glucan into low molecular weight us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Trifluoroacetic acid (TFA). TFA-treated GluNPs showed a minimum size of 250 nm. In addition,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functional groups of the nanoparticle surface after the acid treatment allowing GluNPs use in immune cell activation. Also, the efficiency of GluNPs as a drug or DNA carrier was confirmed by inserting ssDNA into the glucan triple helix structure. Beta-glucan nanoparticles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be used for genetic material delivery and immune response enhancement.

      • KCI등재

        Mechanisms of Salinity Control in Sea Bass

        황장선,김상수,서영민,이경우,박찬휘,최용현,김다솜,Assaf A. Gilad,최종훈 한국생물공학회 2018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3 No.3

        Sea bass can regulate the concentration of Na+, K+, and Cl-, among other ions, in their blood, skin, gills, and kidney. Therefore, the salinity of the water does no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ir metabolism, and sea bass can live in both sea and freshwater in accordance with the salt concentration. Most salinity control occurs in the gills, primarily through the control of chloride cells present there. The concentration of ions in the blood is controlled by the cotransporter Na+ / K+ / 2Cl- (NKCC) in the chloride cell, and the subunits of Na+ / K+ ATPase (NKA) function to maintain homeostasis. The expression of NKA is regulated by subunits of the protein FXYD, allowing the sea bass to survive in compliance with the salinity. In this way, it is possible for sea bass to live in sea and freshwater by controlling the salinity of its body using functions of various channels, proteins, and genes present in the chloride cells of sea bas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recent studies of salt control mechanisms in sea bass and their appli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