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유치원에서의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 연구

        황윤세(Yun Se Hwang),양옥승(Ok Seung Yang) 한국아동학회 2001 兒童學會誌 Vol.22 No.1

        This in-depth study of portfolio method centered on efficient methods of application, including teacher educat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2 public kindergartens in Taegu. The efficient portfolio assessment method was developed by revisions after successive applications, observations, and discussions with the teachers of both kindergartens. The resulting efficient portfolio method is composed of step 1: portfolio conference and planning; step 2: development of the portfolio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step 3: selection of the materials for the portfolio; step 4: analysis of the portfolio; and step 5: use of the portfolio metho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ortfolio assessment is included in the forms used for teachers` observations of children`s play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Teachers` interventions include verbal interaction, presentation of materials, and participating as partners. This teaching-learning method consists of teaching and assessment by sensitive and instant responses to children`s needs.

      • KCI등재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황윤세(Hwang Yoon-S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5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정서조절 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강원도에 위치한 보육시설에 재원 중인 유아 28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창의적 놀이행동에 대해서는 또래와의 관계, 자기통제, 그리고 자기정서의 이용이 첨가되므로 그 영향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ubjects in this study of young children's play of creative disposition in relation to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286 3- to 5-year-old children in Kangwon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using the SPSS Computer program, The major of th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young children's play of creative disposi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xplained by "relationship skill with peers",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teacher", "appraisal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 in sub 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trol" and "self-assertion" in sub areas of behavioral self-regulation.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play of creative disposition of young childre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의 기질과 인성발달 간의 관계에서 교사와의 친밀성과 또래유능성의 순차 매개효과

        황윤세 ( Hwang Yoon-s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3 인성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과 인성발달 간의 관계에서 교사와의 친밀성과 또래유능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충청 지역 유치원 만 5세 유아 357명있다. 교사와 부모의 평정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한 후 이에 대한 순차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연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유아의 기질과 인성발달 간의 관계에서 교사와의 친밀성과 또래유능성 간에는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인성발달에는 교사와의 관계 및 또래와의 관계가 주요한 변인이라는 점과 더불어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과정에서 유아개인변인에 대한 고려 역시 중요함을 시사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on young children’s personalities. Specifically, the dual mediating role of by teacher-children close relationships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observed. A total of 300 children aged 4-5, and 15 teachers working at a kindergarten in Seoul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correlation,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analyses, employing SPSS 27.0 and AMO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temperament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personality. Second, young children’s temperament increased teacher-children close relationships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as well as young children’s personality.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ren close relationships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These findings indicate the critical role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on young children’s personality, dual mediated by teacher-children close relationships and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유아의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창의적 성향의 놀이와 행동적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황윤세(Hwang, Yoon-S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성향의 놀이행동과 행동적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유아 33명이고, 실험집단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8주간에 걸쳐 ‘놀이계획-실행-평가’활동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창의적 성향의 놀이에서는 다양한 흥미와 도전에서 변화가 있었다. 둘째,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은 행동적 자기조절력 전체 및 그 하위요인인 자기통제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놀이계획-실행-평가 활동은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을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놀이계획-실행-평가활동이 유아교육의 실제에서 의미있는 교육활동임과 동시에 추후 놀이 교수법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from young children"s play of creative disposition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Fifty-six subjects of five-year-old children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8 week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lay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free choice activitie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a pretest and posttest. ANCOVA results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ttest on the behavioral self-regulation.

      • KCI등재

        유아의 기질과 교사- 유아관계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황윤세 ( Yoon Se Hwa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0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및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강원도와 경상북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유아 286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변인에 대한 교사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기질 및 교사-유아관계 및 또래유능성의 하위요인들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 및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과의 관계에서, 기질과 교사-유아관계는 또래유능성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또래유능성 및 하위 구성요소들 전체를 예측하는 기질 및 교사-유아관계의 하위변인들은 기질의 적응성, 활동성, 반응성이며, 교사-유아관계의 전 영역-친밀감, 갈등, 의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질의 하위요소인 적응성은 또래유능성에 대해 관련 변인 중 가장 많을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subjects were 286 Day care Center children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r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PC Computer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Second, temperament and peer competence was positive factor in predicting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r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recurrently being discussed.

      • KCI등재

        어머니와 자녀의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초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황윤세 ( Hwang¸ Yoons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회복탄력성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아동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초등학교 학부모 278명과 아동의 담임교사 13명이 참여하였으며,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붓스트래핑을 적용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회복탄력성과 아동의 회복탄력성 및 자아존중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회복탄력성은 아동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발달을 위해 어머니의 회복탄력성과 아동의 회복탄력성을 높여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mother’s resilience and first grade children’s self-esteem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elf-esteem.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argeted 278 mother and 13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mother’s resilience, first grade children’s self-esteem, and examine these factors’ effects on the children’s resili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ade children’s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silience and the children’s resilience. In addition to having direct effect on the first grade children’s resilience, mother’s resilience had indirect effects on it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children’s self-esteem.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mother’s resilience and first grade children’s self-esteem were related to their resilienc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황윤세(Yoon-se Hwang),신재한(Jae-han Shin),김언진(Eon-jin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발행된 40편의 논문으로 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본 연구의 자료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자료로부터 유아 예술교육활동에서 중재변인에 따라 종속변인인 창의성 효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별 평균 효과 크기와 변인 간 평균효과 크기의 차이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확률효과모형에 의한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 크기는 1.32로서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유아 예술교육활동에서 중재변인 별로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출간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출간시기, 활동 영역, 연구 대상 연령, 프로그램 적용 기간, 실험 집단 인원에 따른 효과크기는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유아 예술교육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효과 크기를 고려하여 유아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전략 및 도구를 개발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Towards this, a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papers that sought to verify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on creativity. Forty papers published from 2001 to 2015 were selected which met the selection criteria for acceptance as a master’s or doctoral thesis or for publication in a peer-reviewed journal. The moderating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creativity effect are dependent variables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so the study aimed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verage effect size of each variable and the average effect size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size was found between publication types. Secondly, the size of the effect on creativity was found to differ according to region. Thirdly, the effect size was found to depend on the test tool used to measure creativity, so when choosing a measurement tool, researchers must take the nature of the target into consideration. Taken togethe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has a great impact on early childhood creativity.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