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항공안전감독 품질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남승주,황유신,변해윤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항공산업은 산업의 안전성이 훼손될 때, 사고의 거대성, 전소성 등 발생가능한 피해와 부정적 영향이 크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감소시키고 비정상적인 상황을 예방 및 통제하기 위해서는 항공산업 활동의 결과물에 대해 일정한 수준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는 각 체약국에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State Safety Programs, SSP)을 운영하도록 요구하고 있고, 최근 항공산업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의 효과적인 감독기능을 강조하며, 항공당국의 행정기능 확대와 관리능력의 향상을 요구하고 있다. 즉, 항공당국의 안전에 대한 책임과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항공당국이 일정한 수준으로 행정을 제공하고 점검 및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품질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산업에서 전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품질관리 현황과 타 산업에서 수행되어온 품질관리 사례를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안전관리에 대한 품질관리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우리나라 항공안전감독에 대한 품질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에 의의가 있다. 첫째, 국가 항공안전감독시스템의 지속적인 품질평가의 필요성 및 평가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가 항공안전관리시스템에 대한 객관적인 신뢰성을 확보하고, 확보한 신뢰성을 기반으로 급변하는 항공 산업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구축된 항공산업 전반의 품질관리 현황 뿐 아니라, 건설, 특허, 행정 등 다양한 분야의 품질관리 실태를 확인하고 분석하여 항공안전감독에 적합한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안전한 항공산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국내 항공안전감독 품질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남승주,황유신,변혜윤,송운경 한국항공운항학회 2022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30 No.2

        This paper analyzes quality management of aviation safety services in Korea and propos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We look into how quality management is conducted in the Korean aviation industry and confirm aviation authority’s efforts for a quality management system. We also compare and analyze international standard ISO 9001 and aviation safety oversight system quality management cases of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and U.S.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with a Korean case. Results find the difference in defining the scope of ISO 9001 management between ICAO/FAA and the Korean authority which causes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in oversight perception. The Korean aviation authority strives to provide a high level of safety oversight services by educating aviation safety inspectors as well as establishing a quality management system. We believe that our proposals can help Korean aviation safety oversight system secure objective credibility and seek a saf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 KCI등재

        드론 운영 기반 신규 정비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남승주,황유신,송운경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2

        After the coronavirus disease-2019 (COVID-19) pandemic, the aviation industry has been facing a labor shortage including a lack of pilots, controllers, and mechanics. The aviation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MRO) industry is, therefore, focusing on improv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by outsourcing and expanding the use of cutting-edge technology. Europe and Singapore have already started using inspection drones in maintenance to shorten time and reduce costs. This study analyzed the domestic and foreign legal framework to suggest systematic improvements for the use of inspection drones for maintenance. The analysis found that the current classes and ratings of the Korean Flight Safety Regulations do not have a clear classification for inspection drones. In addition, there is a legal restriction on using inspection drones in MRO by outsourced companies under the Standard for 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 (AMO) Process Manual and Quality Management Manual. This study suggests the creation of an inspection drone rating item in the Flight Safety Regulations and the addition of drone-based inspection in the Standard for AMO Process Manual and Quality Management Manual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the use of drones for MRO. This improvement in the legal framework would secure efficiency and stability for the MRO industry and help MRO companies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and growth. This would align the interests of the MRO stakeholders and those of the drone stakeholders to create synergy. This study also suggests topic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소아 중환자에서 지속적 신대체요법의 치료 결과와 예후

        박광식,손기영,황유,김정아,정일천,재일,박지민,안선영,유철주,이재승,Park, Kwang-Sik,Son, Ki-Young,Hwang, You-Sik,Kim, Joung-A,Cheung, Il-Chun,Shin, Jae-Il,Park, Ji-Min,Ahn, Sun-Young,Lyu, Chuhl-Joo,Lee, Jae-Seung 대한소아신장학회 200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1 No.2

        목 적 : 세계적으로 급성 신부전을 가진 소아중환자의 경우 신대체요법으로서 CRRT가 우선적으로 적용되고 있는데 국내에서 CRRT에 대한 치료 결과나 이에 미치는 예후인자에 대한 연구가 드문 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CRRT를 시행 받은 소아 환자군을 대상으로 치료결과와 예후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3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과에서 CRRT를 시행 받은 소아 중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여 환자들이 입상적 특징과 생존율, 그리고 이에 미치는 예후인자를 생존군과 사망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 과 : 총 32명의 평균 나이는 7.5세로 범위는 생후 4일에서 16살까지였고 평균 몸무게는 25.8kg로 최소 3.2kg 최고 63kg였다. 기저 질환 중 조혈모세포이식과 악성종양 환자군이 가장 많았고, 이 군에서 생존율이 가장 낮았다. 전체 생존자는 11명으로 생존율은 34.4%였고 예후인자에 대한 연구에서 CRRT 시작시 PRISM III 점수($9.8{\pm}5.3$ vs. $26.7{\pm}7.6$, P<0.0001), 승압제 사용 수 ($2.1{\pm}1.2$ vs. $3.0{\pm}1.0$, P=0.038)와 수분 저류 정도 (%FO, $5.2{\pm}6.0$ vs. $15.0{\pm}8.9$, P=0.002)가 사망군보다 생존군에서 의미 있게 낮았다. 또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높은 수분 저류만이 독립적 위험인자임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저자는 이 연구를 통해 소아 급성 신부전 환자에서 생존율이 환자의 중증도와 체내 수분 저류와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환자의 전신상태가 보다 좋을 때 특히 수분 저류가 시작되기 전에 CRRT를 빨리 시작하는 것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CRRT) has been the first choice for the treatment of acute renal failure in critically ill children not only in western countries but also in Korea. However, there are very few studies that have analyzed the outcome and prognosis of this modality in Korean children.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utcome and prognosis of patients treated with CRRT.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2 children who had received CRRT at Severance hospital from 2003 to 2006. The mean age was 7.5 years(range 4 days-16 years) and the mean body weight was 25.8 kg (range 3.2-63 kg). Results : Eleven(34.4%) of the 32 patients survived.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nd malignancy were the most common causes of death and underlying disease leading to the need for CRRT Mean patient weight, age, duration of CRRT, number of organ failures, urine output,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eGFR), C-reactive protein, and blood urea level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survivors and nonsurvivors. (1) Pediatric risk of mortality(PRISM) III score at CRRT initiation($9.8{\pm}5.3$ vs. $26.7{\pm}7.6$, P<0.0001), (2) maximum pressor number ($2.1{\pm}1.2$ vs. $3.0{\pm}1.0$, P=0.038), and (3) the degree of fluid overload($5.2{\pm}6.0$ vs. $15.0{\pm}8.9$, P=0.002)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urvivers than in nonsurvivors.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fluid overload was the only independent factor reducing survival rate. Conclusion : CRRT was successfully applied to the treatment of acute renal failure in a wide range of critically ill children. To improve survival, we suggest the early initiation of CRRT to prevent the systemic worsening and progression of fluid overload in critically ill children with acute renal failure.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7;11:247-254)

      • KCI등재후보

        다양한 신질환을 가진 소아에서 Cystatin C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김기주,김정아,재일,황유,정일천,임종백,이재승,Kim, Khi-Joo,Kim, Joung-A,Shin, Jae-Il,Hwang, You-Sik,Cheung, Il-Chun,Lim, Jong-Baeck,Lee, Jae-Seung 대한소아신장학회 200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1 No.2

        목 적 :사구체 여과율은 신손상 정도와 진행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척도이다. 현재까지는 혈청 creatinine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으나 creatinine의 많은 단점으로 인해 새로운 내부표지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cystatin C가 새로운 신기능 지표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ystatin C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creatinine과 비교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 법 : 2004년 8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소아과를 내원한 환자들로서 다양한 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43명(총 검사 횟수는 60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creatinine, cystain C, creatinine 청소율을 측정하였고 creatinine 청소율이 감소된 환자를 그 정도에 따라 3군(Group 1 CrCl < 40mL/min/$1.73m^2$, Group 2 :CrCl 40-60 mL/min/$1.73m^2$, Group 3 : CrCl >60 mL/min/$1.73m^2$)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과 : Creatinine 청소율과 1/cystatin C 및 1/creatinine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각각의 상관계수는 0.685(P<0.01)와 0.640(P<0.01)이였다. Creatinine 청소율이 80 mL/min/$1.73m^2$ 이하로 감소함을 검출할 진단적 정확도는 ROC curve로 분석한 결과 AUC가 cystatin C와 creatinine에서 각각 0.829, 0.826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48). Creatinine clearance가 40 mL/min/$1.73m^2$ 이상에서는 cystatin C가 creatinine보다 높은 민감도를 보이고 있었다(Group 1 : 100% vs. 100%, Group 2 : 70% vs. 35%, Group 3 : 46% vs. 15%). 결론 : Cystatin C는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내부 표지자이며 신기능 손상을 creatinine 보다 일찍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신손상 검출을 위한 선별 검사로서 유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GFR(glomerular filtration rate) is a fundamental parameter in detecting renal impairment and predicts the progression of renal disease. Because serum creatinine has several disadvantages, serum cystatin C has been recently proposed as a new endogenous marker for GFR. We compared serum cystatin C with creatinine and creatinine clearanc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cystatin C.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46 patients(60 case numbers) who had various renal diseases and classified them into 3 groups according to creatinine clearance(Group 1 : CrCl <40 mL/min/$1.73m^2$, Group 2 : CrCl 40-60 mL/min/$1.73m^2$, Group 3 CrCl >60 mL/min/$1.73m^2$). We measured serum creatinine, cystatin C and creatinine clearance and also analyzed the correlations among them. Results : Serum cystatin C and creatinine showed a similar correlation to creatinine clearance (r=0.685, r=0.640, respectively) and showed similar diagnostic accuracy in detecting decreased GFR(AUC, cystatin C 0.829 vs. creatinine 0.826, P=0.848). Serum cystatin C showed a greater sensitivity for detecting a decreased GFR than creatinine in Group 2 and 3(Group 1 : 100% vs. 100%, Group 2 : 70% vs. 35%, Group 3 : 46% vs. 15%). Conclusions : Serum cystatin C could be a useful endogenous marker for GFR and would be superior to serum creatinine in early detection of renal impairment in pediatric patients with renal diseases.

      • KCI등재

        위험기반 항공안전감독 시스템 적용을 통한 정비조직 제도 개선방안 연구

        남승주,박유림,권상욱,황유신,윤희권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21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15 No.5

        항공산업의 성장과 항공안전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안전을 저해하는 위험에 대한 근본적인 분석과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대두시켜왔다. 특히 정비산업은 항공산업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위험기반의 점검·감독을 통한 안전 관리가 요구되는 사업이다. 본 연구는 ICAO 및 항공 선진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항공안전감독 체계를 기반으로 국내 정비산업 환경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는 체계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정비 분야에서 발생 가능한 조직 측면의 위험을 두 가지로 분류하고, 두 종류의 위험에 대한 발생 가능성과 발생 시 예상되는 심각성을 중심으로 위험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제한된 점검·감독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안전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need for risk based safety management has been highlighted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aviation industry and public interest in aviation safety.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MRO) in aviation industry is defined to guarantee the safety and reliability. Therefore, state's Civil Airworthiness Authority (CAA) has established safety oversight system dedicated for the development of a healthy MRO industry. The study proposed a risk based oversight system considering Korean environment.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cluding analysis of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guidance and advance system, we identified two organization risks. Organization complexity can be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how large the organization is and how complicated the service they provide are. Organization profile is the organization‘s characteristic related with safety.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process of identifying risk of organization and focusing surveillance capabilities on risk area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AA’s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