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자정보기술 연구개발의 거대한 물결

        황용수,백충헌,김태완,허재두,Hwang, Y.,Baek, C.H.,Kim, T.,Huh, J.D.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4 No.1

        Quantum technology is undergoing a revolution. Theoretically, strange phenomena of quantum mechanics, such as superposition and entanglement, can enable high-performance computing, unconditionally secure communication, and high-precision sensing. Such theoretical possibilities have been examined in the last few decades. The goal now is to apply these quantum advantages to daily life. Europe, where quantum mechanics was born a 100 years ago, is struggling to be placed at the front of this quantum revolution. Thus, the European Commission has decided to invest 1 billion EUR over 10 years and has initiated the ramp-up phase with 20 projects in the fields of communication, simulation, sensing and metrology, computing, and fundamental science. This program, approv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is called the "Quantum Technology Flagship" program. Its first objective is to consolidate and expand European scientific leadership and excellence in quantum research. Its second objective is to kick-start a competitive European industry in quantum technology and develop future global industrial leaders. Its final objective is to make Europe a dynamic and attractive region for innovative and collaborative research and business in quantum technology. This program also trains next-generation quantum engineers to achieve a world-leading position in quantum technology. However,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this program is to realize quantum technology and introduce it to the market. To this end, the program emphasizes that academic institutes and industries in Europe have to collaborate to research and develop quantum technology. They believe that without commercialization, no technology can be developed to its full potential. In this study, we review the strategy of the Quantum Europe Flagship program and the 20 projects of the ramp-up phase.

      • KCI등재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불량 용기 발생 시나리오에 대한 폐쇄후 장기 방사선적 안전성 평가

        황용수,서은진,이연명,강철형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2 No.2

        A waste container, one of the key components of a multi-barrier system in a potential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HLW) repository in Korea ensures the mechanical stability against the lithostatic pressure of a deep geologic medium and the swelling pressure of the bentonite buffer. Also, it delays potential release of radionuclid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it is corroded by intruding impurities. Even though the material of a waste container is carefully chosen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es are under quality assurance processes, there is a possibility of initial defects in a waste container during manufacturing. Also, during the deposition of a waste container in a repository, there is a chance of an incident affecting the integrity of a waste container. In this study, the appropriate Features, Events, and Processes(FEP's) to describe these incidents and the associated scenario on radionuclide release from a container to the biosphere are developed. Then the total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on the Initial waste Container Failure (ICF) scenario was carried out by the MASCOT-K, one of the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tools KAERI has developed. Results show that for the data set used in this paper, the annual individual dose for the ICF scenario meets the Korean regulation on the post closure radiological safety of a repository.

      • 정부 R&D 성과평가시스템의 진단 및 발전방향

        황용수,석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5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목적 및 주요 연구내용 최근 정부 및 공공 부문의 성과 제고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기획예산처를 중심으로 정부업무 전반에 대해 미국의 GPRA와 유사한 성과관리제도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부 및 공공 부문의 성과평가에 대한 요구는 정부의 R&D 부문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가운데, 본 연구는 각 부처가 추진하는 정부 R&D사업을 중심으로 성과의 인식과 측정, 성과평가시스템의 구조와 운영 등 성과평가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진단하고 정부 R&D사업 성과관리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적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추진되었다. 본 연구는 서론을 제외하고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정부 R&D 성과가 어떻게 인식되고 포착되는지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정부 R&D 성과를 무엇으로 보아야 할 것인가에 주안점을 두고, 정부 R&D 성과의 특징과 관련개념의 정의, 기존의 연구와 분석평가 사례에 나타난 정부 R&D 성과의 인식, 정부 R&D의 성격이나 유형에 따른 주된 성과의 포착형태 등을 포함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정부 R&D 성과의 측정방법을 검토하고 이를 R&D사업 유형에 따라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정부 R&D 성과분석 또는 성과평가에 대한 국내사례를 사업의 성격, 성과평가의 목적과 주안점, 성과의 인식과 측정/평가 등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다음 9개 성과분석/성과평가 사례를 검토하였다. - 특정기초연구사업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 선도기술개발사업(G7사업) 종합분석 - 중점국가연구개발사업 프로그램 종합분석 - 중기거점기술개발사업의 성과분석 - 공통핵심기술개발사업 평가 및 성과분석 - 부품소재기술개발사업 성과분석 - 정보화촉진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선도기반기술개발사업) 투자성과 분석 -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의 성과평가 - 건설기술연구개발 성과측정 셋째, 선진국의 정부 R&D 성과평가시스템 운영 현황과 R&D 성과평가 사례를 분석하였다. 미국, 유럽, 일본을 대상으로 하여 정부 R&D 성과평가시스템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고 우리나라가 벤치마킹(benchmarking)할만한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선진국 R&D 성과평가의 시사점을 찾기 위해서는 다음 다섯 개 사례를 검토하였다. - Framework 프로그램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평가 - EUREKA 파급효과 평가 - ESPRIT 프로그램의 평가 - Alvey 프로그램 평가 - ATP 파급효과 측정 넷째, 각 부처 정부 R&D 사업의 성과평가시스템을 진단하였다. 여기서는 정부 R&D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효과성을 발휘하고 있는가에 주안점을 두고, R&D 사업 기획 및 선정의 성과지향성, R&D 성과의 관리 및 활용, R&D 프로그램의 중간/최종평가, R&D 성과평가 결과의 활용, 재정사업의 성과관리제도 등에 대한 분석을 포함하였다. 다섯째,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부 R&D사업 성과평가시스템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정부사업 성과관리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정부 R&D 성과평가시스템 구축에 주안점을 두고, R&D사업 유형에 따른 성과평가의 차별화, R&D 성과지표의 개발과 R&D 성과정보의 관리체계 확립, R&D성과의 전주기적 관리체계 정비와 사후 성과평가의 제도화, R&D 성과평가 관련 제도의 역할 정비 등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정부 R&D 성과의 인식과 측정/평가 정부의 연구개발 사업은 기업에 비해 연구기간이 더 길고 연구개발의 목적이 최종제품의 개발이나 양산이 아닌 기초 및 중간단계의 응용?개발 연구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연구개발의 경제적 성과를 단시일에 확인하기가 더욱 어렵다. 또 관련 기술의 파급효과도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민간기업의 연구개발보다 그 성과를 구체적이고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더 어렵다. 또, 연구개발의 성과는 당해연도의 기술개발투자와 연구인력의 투입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이 누적적인 자원의 투입과 기술개발 경험이 종합적으로 작용한다. 연구개발의 산출(output), 결과(outcome), 영향(impact) 등과 관련해서는 연구자마다 서로 다른 개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개념을 명확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 산출(output)을 투입된 예산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일차적 성과로 정의하고 결과(outcome)는 행정서비스의 소비자 입장에서 그러한 산출을 통하여 국민에게 제공되는 실질적인 편익을 의미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성과는 산출과 결과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 IPTS(2002)에서는 연구개발의 성과를 결과(outcome) 또는 영향(impact)으로 파악하여 과학기술적, 경제적, 사회적, 정책 등 네 측면에서 인식하고 있다(<표 1> 참조). 그리고 R&D 성과와 유사한 개념으로서 R&D의 효율성, 효과성, 생산성 등이 개념이 사용되고 있는데, R&D 성과는 R&D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동시에 고려한 생산성과 R&D의 잠재성을 동시에 내포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Brown&Stevenson(1988)은 연구개발 성과의 측정/평가 시스템이 실패하는 이유에 주의하여 바람직한 성과 측정 시스템이 가져야할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내부적 측정보다는 외부적 측정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둘째, 행위보다는 산출과 결과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가치 있는 업적/산출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단순한 측정 시스템이 되어야 한다. 다섯째, 객관적인 측정 시스템이 되어야 한다. 여섯째, 연구와 개발은 구분되어야 한다. 연구개발 생산성의 측정방식은 정량적 측정(quantitative measurement), 준정량적 측정(semi-quantitative Measurement), 정성평가(qualitative assessment)의 3가지 접근이 있다. 정량적 측정은 다른 연구활동과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측정 알고리즘이나 정해진 비율에 따라 계량화하여 측정하는 방식이며, 정성평가는 전문가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는 방식이다. 준정량적 측정은 중간적 입장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어떤 공식대신 정성적 판단(qualitative Judgement)을 사용하되 이를 일정한 공식에 따라 계량화하는 방식이다. 이들 세 가지 접근 방법은 각각 상대적인 장단점을 가지는데 정량적 측정 방식은 평가의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고 비교가 용이하며, 계량화 과정에서 유용한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연구개발 활동 자체가 계량화하기 힘든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효과성이나 특수한 연구개발 실적 등은 양적 지표로 측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연구개발 사업의 복잡성과 독창성이 높은 기초연구에 가까울수록 정성적 평가가 적절한 반면, 상품개발에 가까운 연구일수록 정량적 측정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대부분이 기초보다는 개발/응용 연구에 치중되어 있으므로 정량평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정성평가 방법론으로서 대표적으로 전문가 성과분석, 사례 연구, 인터뷰 및 설문조사 등을 들 수 있다. 동료평가 또는 전문가평가는 연구 프로그램과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지원 의사결정과 연구결과의 평가를 위하여 관련분야의 전문가 의견을 결집시키는 대표적인 평가 방법으로서, 개인 전문가들에 의해 행해지기도 하고 전문가 패널을 운영하기도 한다. 사례 연구는 특정 환경 내에서의 동학(dynamics)을 이해하기 위해 제한된 수의 특정한 사례 및 상황을 고찰하는 것이다. 서베이(survey) 방법은 정성적이며 정량적인 방법이 복합되어 있는 유용한 기법으로서, 설문을 통해 다양한 가설의 검증이 가능하고 과정과 영향에 대한 자세한 탐구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정량적 측정 방법론은 재무분석법, 서지분석법, 특허분석법, 과학기술지표법, 계량경제학적 방법,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등을 들 수 있다. 요즈음의 연구개발 생산성 측정 방법론의 변화는 주로 정량적 측정 방법론에서 발생하고 있

      • L₂습득이론과 외국어 교육

        황용수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5 人文科學硏究 Vol.13 No.-

        This paper was aimed at overviewing the influence of L₂ acquisition theories and their applied models on both the naturalistic and the formal SLA(Second Language Acquisition). Most of its presentation is not new, but the efforts to explain more clearly the existing theories and their applicational possibility should deserve reconsideration, since plethora of theories, methods, models and approaches may have led to serious misunderstanding of the realities. The CA(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which has been under rather harsh criticism for its fallible aspects, has recently attracted renewed attention for its various affirmative points. The merits include its possible application in theory and practice to the second 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a new approach; the new interpretation of its original idea can directly be linked to the creative structure theory and its educational approaches. The survey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input of linguitic resources preceding the process of intake can desirably be controlled by well-prepared instruction; the assumption that the built-in syllabus exclusively controls the acquisition route has proved vulnerable; and other factors, social or psychological, have been found in empirical studies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 정부연구개발예산의 체계적 분석방안에 관한 연구

        황용수,보열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8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본 연구는 연구개발활동에 대한 정부 재정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사용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연구개발예산의 체계적 분석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제비교성과 정책적 유용성의 관점에서 정부연구개발예산의 규모와 배분에 대한 통계·지표를 개선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정부연구개발예산의 우선순위 조정을 위한 분석정보의 체계화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노력은 최근 확대·다원화되고 국가경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정부연구개발예산에 대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우선순위 조정을 기하는 예산과정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 연구내용본 연구는 재정자원의 공급자 관점에서 정부연구개발지출의 규모와 자원배분 우선순위를 팡가하기 위한 분석방안을 체계화하였다. 제2장에서는 정부연구개발지출 측정이 지니는 의의를 살펴보고 정부연구개발지출의 측정방법을 비교·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정부연구개발지출의 전체적 및 부분적 윤곽을 일관성있게 분석할 수 있는 정부연구개발예산에 대한 각종 통계· 지표 작성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먼저 OECD와 주요 선진국의 통계·지표 작성의 실태 분석을 통해 관련 통계·지표 작성의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고, 우리나라의 정부연구개발예산 통계·지표 작성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에서는 정부연구개발예산의 우선순위 조정에 활용될 수 있는 주요 분석정보를 검토하고 관련 정부지원체계 운영의 메카니즘을 분석하였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현재 구축되어 활용 중인 미국의 RaDiUS DB의 운영구조도 소개하였다. 제5장에서는 정부연구개발예산의 체계적 분석방안 마련을 위해 필요한 정책건의를 담고 있다. 정부연구개발예산 통계· 지표 개선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정부 전체 차원의 연구개발예산 우선순위 조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합연구개발예산과정 도입을 건의하였다. 정책건의 및 결론◇ 정부연구개발예산 통계·지표의 개선 < 정부연구개발예산 규모 통계·지표의 개선 > ○ 연구개발예산 의 집계범위 조정 - 시험연구기관 및 시험연구비 예산은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연구개발계수를 조정하여 일정부분만 산입 - 현재 누락되어 있는 대학교수의 인건비, 대학의 시설 및 자금 지원은 연구개발계수를 적용하여 일정부분을 산입 - 병원의 임상연구동, 임상연구비도 연구개발계수를 적용 하여 일정부분만 산입 ○ 특별회계 중 연구개발활동에 지출된 예산을 모두 포함하되, 정보화촉진기금 등 연구개발관련기금의 사용은 별도의 참 고자료로 제시 ○ 정부의 재원부담 비중을 나타내는 통계·지표로서 총예산 대비 연구개발예산 대신 국민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 예산 사용 < 정부연구개발예산 배분 통계·지표의 개선> ○ OECD 지침에 따라 사회경제적 목표별 연구개발예산을 나 타내는 통계·지표의 조속 정비 ○ 연구개발성격별 예산은 연구개발 과 연구시설 로 먼저 구분하여 집계하고, 연구개발 은 연구와 개발로 구분하여 집계 ○ 이 밖에, 연구개발예산의 배분과 관련하여 각 부처의 필요 에 따른 다양한 통계·지표의 개발·활용 < 정부연구개발예산 통계·지표 관리의 개선> ○ 제반 통계·지표를 과학기술 관련부처와 예산당국간에 합 의를 바탕으로 하여 작성·활용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평가와 관련하여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정부지원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데이 터베이스 구축·활용 ○ 연구개발예산 편성시 작성하여야 할 통계·지표의 표준화 도 모색 < 관련 통계·지표의 확장> ○ 최근 OECD에서 시도되고 있는 바와 같이 세제지원, 융자, 정부구매, 과학기술하부구조 지원 등 산업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간접적인 지원도 측정하는 방안 단계적 검토 ◇ `종합연구개발예산과정`의 도입○ 연구개발활동에 대한 재정노력을 예산과정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종합연구개발예산과정 의 도입 ○ 부처별 예산에 대한 일차적인 심의가 이루어진 단계에서 하나의 복수절차로 추가적으로 운영

      • 한국 EFL 학습자의 IL 의사전달책략행위 분석 : For the Reformulation of IL Strategy Model 의사전달책략모형의 재설정을 위하여

        황용수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5 人文科學硏究 Vol.14 No.-

        An IL is a simplified interim system utilized by the L2/FL learner in his efforts to convey an intended meaning effectively, thus supporting the idea that an IL is not a state of mind, but an end-product of the actual use of accumulated knowledge of TL and other linguistic resources. It is known that the simplification process works at all levels of IL and the process is believed to most strongly affect the effective communication. The IL studies have recently focused on the end-product, especially on the strategic activities with a theoretical view that these activities are the main procedures of formulating an IL.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an objective IL strategy model and to demonstrate its validity. To acquire a rationale for the reformulation of the model, main IL theories and their relations to the strategies have been reviewed. Discarding the traditional view of avoidance/reduction processes of the IL. the author suggested an achievement-oriented model. This approach proved valid in the following aspects: 1) Obtaining a useful calassification system of strategic categories: a hierrachy of strategic responses(SR); the system comprises L1 SR, L2 SR, IL SR, COR and ETR. 2) setting up an objective evaluation system of the SR's communicative values in any category. A polit test of the proposed methods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consisting of two groups(an advanced group(G-A); an intermediate group(G-I). The COR category containing most informative values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veyed message.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0.69 of 13.8%. Though the test was given for the limited category, it can be applied to the rest of the categories with more diversified subject groups. More empirical studies employing the methods are needed to extract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this kind of model.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