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내시경 유두괄약근 절개술과 큰 풍선 유두 확장술을 병용한 거대 담관결석의 치료

        황성준,김영균,이규철,지명관,김현수,백순구,이근만,장진혁,김민수,백용한,이세준,박효진,이관식,이상인,이동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6 Clinical Endoscopy Vol.32 No.3

        Background/Aims: The extraction of large common bile duct (CBD) stones after an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is successful in 80∼90% of cases but it often requires a prolonged time and repeated tri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tility of a combined endoscopic papillary large balloon dilatation (EPLBD) and a mid-incision of an EST (m-EST) method for the removal of large CBD stones.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large CBD ston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EPLBD was carried out using the one-step inflation of a 15∼18 mm diameter balloon after m-EST. Results: The maximum stone diameter was 21.62±5.38 mm. Twelve patients had more than 4 stones, 7 patients had 2 stones, and the remainder had a single large stone. Complete ductal clearance was achieved in all patients. After the procedure, the serum amylase and/or lipase levels were elevated in 3 patients (13.3%). However, there was no episode of true pancreatitis. Minor bleeding was encountered in only one patient (3.3%), and was easily controlled by an endoscopic epinephrine injection. The procedure was carried out safely in 6 patients with periampullary diverticulum. No perforation or mortality was encountered. Conclusions: Combined EPLBD and m-EST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and may be a good alternative treatment for removing large CBD stones.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2:184-189) 목적: 내시경 유두괄약근 절개술은 담관결석의 제거를 위해 가장 빈번하게 시술되고 있으나, 큰 담관결석에 대해 80~90%의 치료 성공률을 보이며, 흔히 오랜 시술 시간과 여러 번의 시술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연구는 큰 담관결석 환자들에서 내시경 유두괄약근 중절개술(mid incision, endoscopic sphincterotomy, m-EST)과 큰 풍선을 이용한 내시경 유두 확장술(endoscopic papillary large balloon dilatation, EPLBD)을 병용하는 치료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05년 7월까지 ERCP에서 최대 직경이 15 mm 이상인 큰 담관결석을 가진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m-EST 후 15~18 mm 직경의 풍선도관으로 절개부를 동시에 확장하고 담관결석을 제거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71.3±12.9 (범위: 42~91)세였고, 남녀 비는 8:22로 여자가 많았다. 결석의 평균 최대 직경은 21.62±5.38 (범위: 15.40~35.50) mm 였고, 결석의 수는 12예에서 4개 이상, 7예에서 2개, 11예에서 1개였다. 결석의 완전 제거는 30예 모두에서 가능하였고 기계적 쇄석술이 필요한 경우는 없었다. 시술 후 4예(13.3%)에서 고아밀라제혈증을 보였으나 급성 췌장염이 생긴 경우는 없었고, 1예(3.3%)에서 소량의 출혈이 있었으나 내시경 치료로 쉽게 지혈되었으며, 시술과 관련된 천공이나 사망은 한 예도 없었다. 유두 주위 게실의 동반 환자 6명에서도 m-EST와 EPLBD의 병용 치료는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었다. 3~6개월간의 추적 관찰기간 동안 담석의 재발을 보이거나 시술의 후기 합병증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결론: 큰 담관결석의 치료에 있어 m-EST와 EPLBD를 병용하는 방법은 안전하고 효과적이었다. 이 방법은 기존에 기계적 쇄석술을 필요로 하였던 많은 총담관결석 환자에서 시술 시간을 절약하는 대체 치료법으로 기대된다.

      • 닥나무, 아바카를 이용한 인쇄용 종이 제조에 관한 연구

        황성준,정현석,이진희,김형진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최근 지구환경의 변화로 인한 온난화, 사막화가 진행됨에 따라 고정탄소 유지 방안,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정책 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환경적인 규제가 심화되면서 목재자원의 이용이 매우 제한을 받고 있다. 또한 국내 산림의 경우 전체의 90%가 30년생 미만이며 매년 목재 사용량의 95% 이상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목재를 이용해 생산하는 펄프제지 산업에서 가장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되며 그 중 전체 종이소비량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백상지의 대체원료 탐색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목재펄프 대체제로 비목재 원료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인쇄용지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비목재 원료로서 현재펄프자동화 기술이 구축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한 닥 펄프와 닥 펄프의 45%가량 저렴한 아바카를 이용하였으며 고해정도와 혼합 비율에 따른 종이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력증강제 및 분산제를 투입하여 인쇄용지에 적합한 종이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경영자 보상구성이 ESG 성과에 미치는 영향

        황성준,신찬휴 한국전산회계학회 2022 전산회계연구 Vol.20 No.3

        최근 기업의 자본조달에 영향을 주는 ESG가 중요해지면서 이사회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 ESG 경영을 장려할 것이다. 이사회가 경영자의 의사결정을 특정 방향으로 이끌 방법은 경영자 보상의 조절을 고려하는 것이다. 경영자를 ESG 경영을 유도하기 위한 유인보상을 가진다면 기업의 ESG 성과와 경영자의 성과를 일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Bebchuk et al., 2002;Marens, 2002;Zalewski, 2003).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ESG기준원(KCGS)의 ESG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경영자 보상과 ESG 성과 사이의 관련성을 연구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구체적으로 경영자 보상이 ESG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경영자 보상구성에 따라 ESG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 보상이 높을수록 기업의 ESG 성과가 높아짐을 검증하였다. 둘째, 경영자의 주식보상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ESG 성과가 높아짐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경영자 보상이 ESG 성과를 연계하여 이뤄진다고 판단해 볼 수 있었다. 또한 ESG 성과를 높이기 위한 유인보상의 방법으로 경영자 보상구성 중 주식보상 비율을 높이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기업경영의 주요 목표가 아닌 ESG 성과와 경영자의 보상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경영자의 ESG 경영 수행의 동기를 파악하였다는 점이며,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ESG 경영을 유도하기 위한 유인보상체계를 파악하였다는 점이다.

      • KCI등재

        탈묵펄프 및 열기계펄프의 공정 조절을 통한 인쇄용지의 품질향상 연구

        황성준,임종근,김형진,정성현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15 펄프.종이技術 Vol.45 No.3

        Recently, the use of wood resources has been limited due to global environmental change, like global warming and desertification. It is very critical in Korea’s paper industries because lots of virgin pulp are dependant on direct import from abroad for printing grade of paper. In this work, the alternatively best available technique for reducing the import amounts of BKP (bleached Kraft pulp) was considered by mixing DIP (deinked pulp) and TMP (thermomechanical pulp) for the manufacture of high quality paper. Generally known, the sheet prepared from fibrous raw materials of DIP and TMP has lower strength and optical properties than that prepared from BKP. This study was aimed to improve the sheet quality by using DIP and TMP. 4 kinds of polyelectrolytes were approached to find out the best effects on physical strength and optical brightness improvements, and high retention behaviors with GCC (ground calcium carbonate). In conclusion, amphoteric PAM with 1,000,000 molecular weight (g/mol) and 0.5 charge density (meq/g) was best for the improvement of strength properties with the mixture of DIP and TMP. GCC retention rate was also the highest with cationic-PAM of above 2,000,000 molecular weight (g/mol) and about 2.0-3.0 charge density (meq/g) of strengthening agent.

      • KCI등재

        기업의 ESG 활동과 주가동조성

        황성준 한국전산회계학회 2022 전산회계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관심받고 있는 기업의 ESG 활동 수준이 주가정보성(stock price informativeness)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ESG 활동이 주가정보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주가동조성(stock price synchronicity)을 통해 개별기업의 ESG 활동 성과가 시장수익률 및 산업수익률의 변동성과 어떠한 영향 관계를 가지는지 실증분석 하였다. 기업의 ESG 활동 및 성과를 투자자들은 미래전망 예측에 있어 유용한 회계정보로 판단한다면, 미래이익기대치를 형성할 때 기업의 ESG 정보에 더욱 가중치를 두고 투자의사결정을 내릴 것이다. 이런 경우 기업의 ESG 정보가 가지는 주가 설명력이 높아 주가동조성 수준은 낮게 나타날 것이다. 반면에, ESG 활동 및 성과를 투자자들이 미래비전 및 정보의 이용이 용이하여 시장으로의 정보흐름이 양호해지고, 정보효율성이 증가하여 주가정보성은 향상될 것이다. 연구표본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코스피시장 및 코스닥시장의 12월 결산기업이며, 비금융 상장법인들을 대상으로하고, 주요 독립변수인 ESG는 코스피 200 ESG 구성종목을 대상으로 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의 ESG 활동은 주가동조성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ESG 활동 기업은 개별기업의 고유정보가 주가에 충분히 반영되어 정보효율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ESG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기업은 정보환경의 수준이 높아 주가에 충분한 정보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채권자 및 투자자들이 기업의 ESG 경영활동 및 성과 정보를 기업의 윤리적 경영과 투명성으로 생각하여 투자의사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기업의 ESG 경영활동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Soehendra 배액관 제거기를 이용한 만성 췌장염에 의한 췌관 협착의 확장술

        황성준,지명관,김재우,김현수,이근만,김영균,송대훈,백용한,이세준,이동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6 Clinical Endoscopy Vol.32 No.1

        Background/Aims: Endoscopic pancreatic ductal drainage may help alleviate the pain from chronic pancreatitis, but stricture dilatation may be technically difficult. Dilatation of high grade strictures of the pancreatic ducts with using dilating or balloon catheters may result in failure.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using the Soehendra stent retriever as a dilator. Methods: Fourteen patients with pancreatic stricture had dilation performed with a Soehendra stent retriever. Each patient had sphincterotomy, guidewire placement and stent retriever dilatation. Results: All procedures were successful and none of the patients had complications. Symptom relief was observed after dilation in all patients. There was no com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use of the stent retriever. None of the patients have relapsed for 6 months. Conclusions: The Soehendra stent retriever is safe and effective as a dilating device for the pancreatic strictures that are resistant to conventional dilation.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2:27-32) 목적: 심한 섬유화 등으로 주췌관 폐쇄 부위의 협착 정도가 심한 만성 췌장염 환자는 배액관 삽입 전 협착 부위의 확장술이 필요하다. 췌담관 확장술에는 풍선 및 tapered plastic dilator 등이 사용되는데, 폐쇄 정도가 심하여 확장용 기구가 통과할 수 없다면 이런 시술은 불가능하다. 본 연구는 풍선이나 플라스틱 확장기를 이용한 확장술이 불가능하였던 만성 췌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선단 부위가 tapered screw 모양인 Soehendra 배액관 제거기를 이용한 확장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근 5년간 ERCP상에서 췌관 및 담관의 고도 협착 때문에 풍선 및 플라스틱 확장기가 폐쇄 부위를 통과하지 못하였던 14예의 만성 췌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주췌관 폐쇄 부위는 7예가 두부, 3예가 경부, 체부 2예 및 미부 1예였고, 1예는 두부와 체부의 동시 폐쇄가 관찰되었다. 11예에서는 폐쇄가 2 cm 미만이었으며, 3예에서는 2 cm 이상이었고 4예에서 주췌관 폐쇄와 함께 췌관 결석이 동반되었다. 또한 1예의 환자는 교통 사고 후 3년 만에 주췌관의 협착에 의한 가성 낭종이 동반된 경우였다. ERCP를 시행하여 8예는 7 Fr., 6예는 7 Fr. 이후 10 Fr.의 Soehendra 배액관 제거기를 이용하여 1회(10예) 혹은 2회(4예)에 걸쳐 폐쇄부 확장을 시도하였고, 전예에서 첫 시도에서 배액관 제거기의 협착 부위 통과가 가능하였다. 또한, 췌관 결석이 동반된 4예는 모두 췌관 확장 후 췌석의 제거가 가능하였으며, 이 중 2예는 배액관 제거기의 drilling effect로 주췌관에 감돈된 췌석의 분쇄가 가능하였다. 가성 낭종이 동반되었던 외상 후 만성 췌장염 환자는 낭종 입구 주췌관 협착 확장 및 배액관 삽입술 후 낭종의 소실과 가성 낭종의 원인인 주췌관 협착의 해소가 확인되어 배액관 제거가 가능하였다. 또한, 14예 전예에서 6개월 이상의 추적 관찰 중 증상의 재발을 보인 환자는 없었고, 확장술에 따른 심한 출혈이나 췌장염 등의 합병증은 1예도 없었다. 결론: 만성 췌장염에 동반된 고도의 췌관 협착의 경우 Soehendra 배액관 제거기를 이용하여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협착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

      • Ultrasonification 처리 조건에 따른 Nanocellulose의 특성 변화 연구

        황성준,정현석,이진희,김형진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목재 셀룰로오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고분자 물질로 알려진 천연 재료이며 고유한 물성으로 인해 유용성이 매우 큰 소재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구환경 변화로 온난화, 사막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및 탄소 고정화 기술 개발, 환경보호 정책 등이 강화되어 목재자원의 이용이 매우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최근 목재 섬유를 대체 할 수 있는 비목재 섬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마이크로미터의 셀룰로오스를 기계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를 통한 나노셀룰로오스(nanocellulose)를 제조하여 복합필름, 의료용 첨단 신소재, 강화복합소재를 만들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나노셀룰로오스는 높은 종횡비와 비표면적을 갖게 되어 나노섬유들 사이의 강한 수소결합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되므로 셀룰로오스 사이의 강한 분자간 결합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목재 섬유 중 하나인 아바카 옆 섬유를 이용해 nanocellulose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LiCl+DMAc solvent를 이용해 섬유를 균일 하게 용해 한 후 ultrasonfication을 사용해 시간 별 조건을 달리하여 제조된 nanocellulose의 특성을 분석하고 자하였다.

      • KCI등재

        성과관리 이론에 기초한 기업교육 성과지표 탐색

        황성준,김진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erformance indicators for corporate education based on performance management theory. Because corporate performance management is primarily focusing on achieving strategic goals of the organization, performance indicators for corporate education associated strategic goals should be developed to monitor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measure performance. Therefore, organization for corporate education needs strategic corporate education process, and take advantage of metrics approach to use objective and comparable measures. Typical advanced performance indicators by metrics approach are ASTD metrics, human resource metrics, metrics for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in BSC, and metrics in survey on korea HRD. If corporate education organization uses those metrics, trial and error to develop indicator can be minimized. To set up performance indicators available to corporate education, the performance indicators are classified as two types, which are effectiveness indicators related to achieving strategic goals and efficiency indicators related to output compared to input. Effectiveness indicators are presented by analysis of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in 5 areas such as improving employee competencies, leadership and development of talent, sharing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learning and knowledge sharing, and improving business performance. Meanwhile efficiency indicators are presented by analysis of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5 areas such as educational investment, educational staff, curriculum, forms and methods of education, and evaluation for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성과관리 이론에 기초하여 기업교육의 선진 성과지표에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효과성과 효율성의 성과지표 유형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성과지표를 탐색하는데 있었다. 기업에서 성과관리는 조직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는 것에 일차적인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기업교육에서도 전략과 연계된 성과지표를 개발하여 기업교육 활동의 실행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성과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기업교육에서는 전략적 기업교육 프로세스를 갖추어야 하며, 비교가 가능한 객관적 측정지표인 매트릭스 접근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매트릭스 접근방법에 의한 대표적인 기업교육의 선진 성과지표는 ASTD의 성과지표, 인적자원 측정지표의 기업교육 관련 성과지표, BSC의 학습과 성장 관점 성과지표, 인재개발 실태조사와 인적자본 기업패널 조사의 성과지표 등이 있다. 기업교육 성과지표 개발시 이러한 선진 성과지표를 활용하게 되면 지표개발 및 적용에 따르는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국내 기업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성과지표를 설정하기 위해서 기업교육의 성과지표를 전략적 파트너로서 비즈니스 성공을 위한 교육 전략의 달성과 관련된 효과성(effectiveness) 지표와 예산, 교육시설, 장비, 교육인원, 프로그램 등의 운영에 있어서 투입 대비 산출과 관련된 효율성(efficiency) 지표로 나누어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성과지표를 구분하였다. 기업교육의 효과성 지표에서는 직원 역량 향상, 리더십/핵심인재 개발, 조직문화 공유, 조직학습 및 지식공유, 경영성과 향상 등 5가지 영역에 따라 각각의 성과지표를 제시하였으며, 효율성 지표에서는 교육투자비, 교육담당자, 교육과정, 교육형태/방법, 교육평가 등 5가지 영역에 따라 각각의 성과지표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