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북 완주군 봉동 하안단구 상부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풍화특성과 기원지

        황상일(Sangill Hwang),박충선(Chung-Sun Park),윤순옥(Soon-Ock Yoon)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4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 위치한 만경강 하안단구 역층 상부에 퇴적되어 있는 뢰스-고토양 연속층을 대상으로 토양분석과 대자율 측정, 입도 및 원소분석을 행하여 퇴적물의 풍화 특성과 기원지를 검토하였다. 봉동단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Layer 1(고토양), Layer 2(뢰스), Layer 3(고토양) 그리고 하안단구 역층으로 이루어진다. 대자율은 뢰스층과 고토양층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입도분석 결과는 봉동단면이 하천이나 사면이동이 아니라 바람에 의해 운반되었으며, 중국 뢰스고원이나 대천뢰스보다 상당히 세립질임을 보여준다. 토양분석 중 유기물 함량만이 대자율과 유사한 변화를 보이며, 건조 토색보다는 습윤 토색이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한다. 주원소 및 희토류 원소 분석 결과, 봉동단면의 뢰스물질은 중국 뢰스고원과 동일한 기원지 또는 재이동된 물질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퇴적 이후에는 고온다습한 우리나라 기후 환경에서 중국 뢰스고원보다 심하게 풍화작용을 받았다. The weathering properties and provenance of loess-paleosol sequence deposited on gravel layer of river terrace in Bongdong-eup, Wangju-gun, Jeonbuk Province are examined using soil analysis, 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ment, grain size and element analysis. The Bongdong section consists of, from top to bottom, Layer 1(paleosol), Layer 2(loess), Layer 3(paleosol) and the gravel layer of river terrace. The magnetic susceptibility values show the systematic variations in the sequence and the results of grain size analysis reveal that the sequence was deposited by not fluvial or slope process, but eolian process, and that contains finer materials than the Daecheon loess and Chinese Loess Plateau. Among the results of soil analysis, organic contents indicate systematic variations similar to the magnetic susceptibility. The wet soil colors further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quence rather than the dry soil colors.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of major and rare earth elements, the eolian materials contained in the sequence were deposited by the materials originated from the areas where the Chinese Loess Plateau has been originated or the reworked materials from the Chinese Loess Plateau, and after the depositions, the materials experienced the intensive chemical weathering under the humid-warm climatic condi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합천 적중·초계분지와 분지 내 선상지 지형발달

        황상일(Hwang, Sangill),윤순옥(Yoon, Soon-Ock)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1

        적중・초계분지는 분지 내에서 발원하는 소하천을 합류한 산내천이 북류하여 분지를 빠져나가는 출구를 제외하면 분수계로 둘러싸여 완전한 분지 형태를 취한다. 퇴적암이 혼펠스화된 남서, 남, 남동쪽 분수계의 산지는 높고 북쪽 은 구릉지이다. 이들 사이의 분지저에는 선상지와 범람원이 형성되었다. 분수계 해발고도와 유역분지 규모에 비례하여 큰 하천들이 발원하는 남쪽 분수계 전면의 선상지는 규모가 크지만, 서쪽과 동쪽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분지의 북쪽에 분포하는 범람원은 대부분 황강의 홍수퇴적물로 덮여있다. 적중・초계분지는 기반암의 차별침식이나 운석충돌보다 지반운동에 의한 지질구조선이나 단층선을 따라 기반암이 풍화되면서 분지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The Jeogchung・Chogye Basin shows perfect basin formation surrounded with divides, excluding outlet where Sannae River combining various small rivers escapes the basin. High mountains distribute at southwestern, southern and southeastern divides of the basin consisting of hornfels, while hilly mountains are found at northern divide consisting of sedimentary rock. Alluvial fans and flood plains occupy bottom of the basin. While extensive alluvial fans are found at the front of southern divide where rivers with large drainage areas rise, alluvial fans toward eastern and western divides become small due to low elevation of divides. Flood deposits by Hwang River are attributed to development for most of flood plains at northern part of the basin. The basin seems to be developed not by differential erosion or meteorite impact, but by bedrock weathering along lineament or fault lines by ground motion.

      • 자연적 원인에 의한 중금속 오염 농경지의 합리적 관리방안 마련

        황상일 ( Sangil Hwang ),명수정 ( Soojeong Myeong ),한양수 ( Yangsoo Han ) 한국환경연구원 2017 수시연구보고서 Vol.2017 No.-

        인위적 원인에 의한 농경지 토양의 중금속 오염과 달리 자연적 원인에 의한 농경지 토양의 중금속 오염은 적절한 관리체계 없이 방치되고 있으며,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적 원인에 의한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을 합리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내외 농경지 토양의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관련 제도를 분석하여 자연적 원인에 의한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의 관리체계 개선(안)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농경지 토양의 중금속 오염 관리 및 대응에 기여하고자 한다. 우선, 인위적 혹은 자연적 원인에 의한 농경지 토양오염의 정의를 살펴보고, 국내외 주요자연적 원인에 의한 농경지 토양의 오염 사례를 위주로 현황을 조사하며 오염된 농경지 토양의 관리를 위한 법·제도 등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국내 관련 법·제도 중 자연적 원인에 의한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을 관리하기 위한 현행 「토양환경보전법」, 「농지법」, 그리고 「광산피해방지법」 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자연적 원인에 의한 중금속 오염 농경지 토양 관리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으로 1) 「토양환경보전법」상 적용제외 조항 삭제, 2) 자연적 원인 판단에 대한 지침 마련, 3)농경지 토양오염에 대한 위해관리체계 및 방법 추가, 4) 자연적 원인의 농경지 토양오염에 대한 정화책임 명시, 5) 자연적 원인에 의한 농경지 토양오염에 대한 재정지원, 그리고 6)자연적 원인에 의한 토양오염의 명확한 법적 정의 규정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일반적인 농경지 토양오염 관리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으로 1) 「토양환경보전법」의 농경지와 「농지법」의 농지에 대한 규정 변경, 2) 「토양환경보전법」의 1지역 기준 적용의 적정성 여부 판단, 3) 농경지로의 오염물질 유입 방지 규정 신설, 4) 농경지 토양오염 상시 감시체계 구축 및 시행, 그리고 5) 농경지 토양오염 위해관리기술 개발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 두 방향의 법·제도 개선 방안에 따라 자연적 원인에 의한 중금속 오염 농경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한다면, 먹거리 생산 토대 중 하나인 농경지 토양과 국토를 보전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Unlike the heavy-metal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by anthropogenic source, the heavy-metal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by natural causes are being neglected without a proper management system, and the trend is under increasing.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future management of heavy-metal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by proposing an advanced management of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ystem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in order to provide a systematic manage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ed agricultural land by natural causes. First of all, the definition of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by anthropogenic or natural causes was reviewed, and the case studies were presented with the current status of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by major natural cause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Moreover, laws and systems for the management of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were further investigated. In addition, problems in the current law and regulations regarding the heavy-metal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by natural causes such as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the 「Agricultural Land Act, and the 「 Law on Prevention and Their Restoration of Mining Damages」have been reviewed, and improvement efforts have been made.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law and system for heavy-metal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management by natural causes, we suggest 1) A removal of the application exemption under the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2) A preparation of guidelines for the decision between the two causes (anthropogenic and natural), 3) An addition of ri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soils, 4) A clear statement of responsibility for the cleanup on heavy-metal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by natural causes, 5) A financial support for heavy-metal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by natural causes, 6) A clear regulatory definition of the heavy-metal contaminated soils by natural causes. Second, In order to improve the law and system for general agricultural soil contamination management, we suggest 1) A change of the existing regulation on the agricultural soil of the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and the agricultural land of the 「Agricultural Land Act」, 2) A determination of appropriateness of application of the region 1 on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3) An establishment of a new regulation to prevent an inflow of contaminants into agricultural soils, 4) An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of a real time monitoring system for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soils, 5) A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for the risk management system of agricultural soils. Based on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heavy-metal contaminated agricultural soils by natural causes with the aforementioned two ways of both law and system improvement, it would be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the preservation of the land and agricultural soils, which is a resource base of food production, but also to the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 KCI등재

        고대 경주 지역의 홍수 가능성과 인간 활동

        황상일(Sangill Hwang)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6

        현재 경주시 북천, 서천, 남천으로 둘러 싸인 왕경 지역의 대부분은 최종빙기 동안 형성된 선상지 저위면에 해당한다. Holocene 중기 이후 북천은 이미 동적평형상태에 도달하여 하도의 형태와 폭이 현재와 유사하였거나 같았다. 삼국사기 기록에 의하면 경주 지역에서 홍수가 발생하여 사람이 죽거나 인가가 떠내려간 것은 30~60년 간격으로 발생한 경우도 있으나, 대체로 150~200년 간격으로 나타났다. 북천은 대규모 홍수 발생 주기가 상당히 길었으므로, 고대 동안 사람들은 북천 하상의 많은 부분을 홍수 피해로부터 거의 안전한 곳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학자들 사이에는 고대 동안 북천에 제방이 조성되었다는 주장이 지속되고 있다. 북천의 하천에너지가 최대가 되는 분황사 동쪽 북천 좌안에서는 측방침식을 막기 위하여 축대를 조성하였으나 인공제방을 조성하지 않았다. 지형학적으로도 왕경 지역의 선상지 지형면 위에 고대의 충적층을 확인할 수 없다. 그리고 선상지 퇴적층 위에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초기 철기 시대의 문화층이 신라 시대 문화층과 함께 분포한다. 아울러 범람을 막기 위해 북천을 연하여 숲을 조성한 기록도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들은 고대 동안 북천이 범람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The Royal District in Gyeungju-city was placed in lower surface of alluvial fan that was formed during the Last Glacial Age. During the Holocene, Bukcheon-river was reached in the dynamic equilibrium status and the form of river channel was similar or same to the present. The cases of dying people and carrying houses away by flood for ancient history in Gyeongju were six times, in 131, 160, 350, 496, 657 and 703. Like this big flood was happened at interval of 150~200years. A period of big flood appearance in Bukcheon-river was extremely long. Therefore the people who had lived in Gyeongju for ancient history perceived that most part of riverbed of Bukcheon-river was a safety place from flood damages. Not only private houses. In east part of Bunhwangsa temple, that is, west side of Bukcheon-river where the river energy is maximum, a pillow block was built to prevent a lateral erosion but any artificial riverbank was not. In spite of high flood possibility in Bukcheon-river, there was no facility to prevent floods in this section. Also, deposits of flood are not identified. This point is very suggestive that Bukcheon-river did not flood for ancient history.

      • KCI등재

        밀양 수산제 일대 Holocene 후기 해수면변동

        황상일 ( Hwang Sangill ),정무열 ( Jung Muyeol ),윤순옥 ( Yoon Soon-ock ) 한국지형학회 2016 한국지형학회지 Vol.23 No.4

        Commonly found sedimentary horizons from bottom to top in the Susanje reservoir area, Miryang, are lower gray silty horizon, peaty horizon deposited during 2,300-1,600 yr BP, and black gray or black brown silty horizon. Sedimentary facies, diatom and AMS(Accelerator Mass Spectrometer) dating are analyzed with bored samples from alluvial plain in this area and sea level change during approximately 4,300- 2,300 yr BP are reconstructed. Sea level smoothly fell after since approximately 4,300 yr BP and nearly reached to the current sea level at approximately 4,000 yr BP. Sea level reached to approximately 1.9 m.a.s.l. at approximately 3,000 yr BP with two small fluctuations in between. Since then, sea level fell again and reached to approximately 0.9 m.a.s.l. at approximately 2,300 yr BP.

      • KCI등재

        요하 하류부 하요하평원의 지형발달과 19C 중엽 고지리 복원

        황상일(Hwang, Sangill),Liu Lu,윤순옥(Yoon, Soon-Ock),김효선(Kim, Hyos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7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에서 지형 변화가 가장 역동적인 요하 하류부 하요하평원에서 홀로세 말기의 고지리를 복원하였다. 이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 근대적 측량으로 제작된 1930년대 지형도에서 각 지형 요소를 분석하여 지형면을 분류하고 지형발달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19C 중엽 하요하 평원의 자연경관을 파악할 수 있는 고지리를 복원하였다. 하요하평원에 분포하는 습지는 분포특성과 형성과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요하의 양안을 따라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배후습지, 하요하평원 서쪽 분수계에서 발원하는 상대적으로 짧은 하천들이 야주천(yazoo stream)으로 흐르면서 형성한 습지, 하요하평원의 동쪽 분수계에서 발원하여 요하에 합류하는 혼하와 태자하의 배후습지, 혼하와 태자하가 요하에 합류하는 하류부에 광범위하게 형성된 배후습지성 습지, 간석지의 후면에 위치하여 조상대에 형성된 습지와 해안간석지이다. 하요하평원에서 확인되는 세부 지형은 간석지, 배후습지, 곡류하도, 그리고 하천의 유로와 배후습지 사이에 자연제방이 있다. 1930년대 하요하평원의 지형도를 기초로 지형발달을 검토하였고, 만주지방의 인구수와 인구밀도 변화를 참고하여 19C 중엽의 습지 분포를 추정하였다. 당시에는 청조의 봉금정책으로 인구압이 매우 낮았고, 소택지와 호소를 포함하는 배후저지에서 취락조성이나 경작활동이 적었을 것이다. 따라서 하요하평원은 높은 지하수위로 인하여 저습지환경이 1930년대보다 훨씬 넓게 분포하였으며, 대부분 습지, 소택지와 호소였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paleogeography of the late Holocene was reconstructed in Hayohapyeongwon(the Lower Liaohe Plain), where topographical changes are most dynamic in Northeast Asia. For this purpose, topographic surfaces were classified and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was discussed based on the topographic maps of the 1930s, which were produced by modern measurement. Based on it, the paleogeography including natural landscape of Hayohapyeongwon was reconstructed during the mid-19<SUP>th</SUP> century. Wetlands on Hayohapyeongwon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geomorphological processes: wetlands, continuously distribute along both sides of Liao river; yazoo stream type wetlands made by relatively short streams originating from the western divides of the Hayohapyeongwon; backswamps of Hun- and Taizi-rivers flowing from the eastern divides of the Hayohapyeongwon; wetlands, formed extensively in the lower reaches of Liao river; and wetlands like marshes formed in the tidal flat. The detailed units are identified geomorphologically like coastal tidal flat, the river"s backswamp and natural levee in Hayohapyeongwon. The geomorphological development was reviewed based on the topographic map of the Hayohapyeongwon in the 1930s, and wetlands distribution in the mid-19<SUP>th</SUP> century were restored in reference to population density in Manchuria. There would have been few living or cultivation activities at the lowlands including lakes, swamps and wetlands at that time. Therefore, wetlands on Hayohapyeongwon were probably much wider in the mid-19<SUP>th</SUP> century due to its high water level of underground and very low population pressure by the Qing Dynasty"s the blockade policy than 1930s.

      • KCI등재

        김해 율하 지역 화분분석을 통한 홀로세 중기 이래 고환경 복원

        황상일 ( Hwang Sangill ),범진 ( Hwang Beomjin ),윤순옥 ( Yoon Soon-ock ) 한국지형학회 2017 한국지형학회지 Vol.24 No.2

        The paleo-environments including changes in vegetation, climate, and sea level since the middle Holocene(6,400(?)-1,800(?) yr BP) were reconstructed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pollen analysis from two trench samples at Yulha-dong, Kimhae-si, southern Korea.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y the pollen zonation was summarized as follows: Pollenzone I(6,400(?)~3,940(?) yr BP) showed the dominance of Quercus species with broad-leaved trees, it was warm condition. Pollenzone II(3,940(?)~2,300(?) yr BP) was characterized to the yellow soil indicating terrestrial environment. Moreover, it showed Alnus-NAP period related to the extension of agriculture and deforestation by the rapid decrease of Quercus and increase of Gramineae. Pollenzone III(2,300(?)~1,800(?) yr BP) showed human impact from the increase of NAP and Pinus. Plenty of Quercus with deciduous broad-leaved trees also suggested warmer condition than before.

      • KCI등재
      • KCI등재

        蔚山太和江中·下流部의 Holocene 自然環境과 先史人의 生活變化

        황상일(SangIll Hwang),윤순옥(Soonock Yoon) 한국고고학회 2000 한국고고학보 Vol.43 No.-

        선사시대와 고대의 인간생활은 자연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므로, 당시 사람들은 그들이 살던 지역의 자연환경을 오랫동안 면밀히 파악하여 자신들의 活動空間을 결정하였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인간과 자연 간의 관계는 자연지리학과 고고학 및 고대사 연구성과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계라는 틀에서 접근할 때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울산지역은 Holocene 해면변동에 따른 충적평야 지형발달과 관련하여 연구가 축적되어 있으며, 해양포유동물인 고래가 조각되어 있는 반구대 암각화가 있어 한반도에서 이루어진 해면변동연구를 실제로 적용시켜 볼 수 있는 곳이다. 암각화를 제작한 공동체는 수렵, 어로, 채집을 주요한 생업으로 하며, 반구대 부근의 태화강변에 살면서 환경변화에 따라 고래잡이와 산짐승을 수렵하면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사실적 방법으로 암각화를 제작하였을 것이다. 고래잡이는 Holocene 해진극상기 古蔚山灣과 태화강 하류부의 古屈火灣의 독특한 환경에서 이루어졌으며, 그 방법은 고울산만으로 들어온 고래를 여러 척의 소형선박을 이용하여 고굴화만 쪽으로 몰아서 좌초시키는 몰이어법에 의한 포경이 가장 기본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Holocene 해진극상기 이후 고굴화만에서는 태화강이 운반해온 퇴적물에 의해 하구부가 매적되면서 정선이 바다쪽으로 물러가는 해퇴현상이 일어났다. 이에 따라 고래잡이 漁場이 암각화를 제작한 공동체의 주거지에서 점차 멀어지며 고래사냥의 가능성과 수확량이 줄어들었다. 이 공동체는 고래잡이 어장을 따라 그들의 거주공간을 함께 옮긴 것이 아니라, 기존의 주거지에 계속 머물면서 고래 대신 주위의 산지와 하천에서 단백질 공급원을 찾았다고 볼 수 있다. 암각화가 제작되기 시작한 때는 汀線이 태화강의 중·하류부까지 전진한 Holocene 해진극상기인 6,000∼5,000년 BP 경으로 보인다. 암각화 제작은 3,200년 BP 경의 상대적 고해면기에서 2,300년 BP 경의 저해면기로 이행하던 시기 가운데 해면하강이 두드러진 3,000년 BP를 전후한 시기에 종결되었 을 것으로 추정된다. Due to rather deep influences of the nature on the human life during prehistoric and ancient times should have confined their living space based on their long-term experience with the nature and careful analyses from that. The relationship here between human and nature can be understood far more accurately through the interdisciplenary approach often on physical geography, archeology, and the studies of the history of ancient times. Studies on alluvial plains in relations of the sea level change have been accumulated in Ulsan area and there is also the Bangudae-rockgravings-picture where many whales carved on the rock wall. This means that studies on the change of sea level can be applied realistically in Ulsan area. Those who carved the rock gravings made its livelihoods by hunting, fishing, and collecting foods, living along the Taehwa River near Bangudae. Based on theirexperiences catching whales and other animals according to the change of sea level, they were able to make these rock gravings. Whale catching took place in unique environment such as in the ancient Ulsan bay and Gulhwa bay of the downstream of ancient Taehwa River during the Holocene Flandrian transgression. As for whale catching techniques, the most basic was thought to be catching the whale that had come into Ulsan bay and then with the help of many small sized ships drive them toward Gulhwa bay. As it was aggraded on the rivermouth due to the alluvium transported by the Taewha River since the Holocene Flandrian transgression, ancient coastline moved toward the sea. This eventually resulted in the decrease of fishery and possibility of whale catching because the catching grounds went further and further away from the living areas of the people who had made the rockgravings. Instead of moving with the catching grounds, this community then searched for their needed supply of protein around the adjacent hills and rivers surrounding them. It can be said that the rock graving was first made around 6,000-5,000 BP during the climax of Holocene transgression when ancient coastline moved forward to the middle and downstream of Taehwa River. The making of the rock graving took place 3,200 BP and 2,300 BP. In other words, it is inferred that all was concluded approximately 2,800∼2,700 BP as they entered into the Bronze Age in the southern region in Korea.

      • KCI등재

        수렴단층과 읍천단층의 제4기 활동 및 지진 안정성

        황상일(Sangill Hwang),신재열(Jaeryul Shin),윤순옥(Soon Ock Yo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8 No.4

        한반도는 주변의 북중국, 일본과 같이 지구조적 활동이 활발한 지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것으로 알려 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남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제4기 단층의 존재는 한반도 의 신기 지체구조 운동의 성격을 본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경주시 양남면 일대에서 확 인된 수렴단층과 읍천단층은 그 최종 운동 시기가 제4기 후기로 확인되고 있어 현생 지구조 체계 하에서 발생하고 있 는 지각 변형 사건임을 분명히 지시해 주고 있다. 이들 단층운동과 관련된 동-서 방향의 최대 압축 응력은 인도-호주 판과 유라시아 판의 충돌 응력이 원거리에 전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징적으로 한반도 남동부 지역의 제4기 단층들은 반복적 재활성 가능성이 크므로 잠재적 지진 재해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본 연구는 연구 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원자력 발전소 인근의 지진 안정성에 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Although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considered as a largely aseismic region compared with the surrounding high seismic areas such as North China and Japan, there are more than thirty Quaternary faults reported so far, which are mostly centered in the southeastern peninsula. Structural studies of active faults exposed in Yangnam-myeon of Gyeongju, SE Korea are largely interpreted to post date the late Quaternary, suggesting that the NE-trending reverse faults may result from the active stress regime in the peninsula. The prevailing presentday E-W SHmax orientations in the peninsula are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plate forcing stemming from the convergence between the Indo-Australian and Eurasian plates. It is clear that the Quaternary faults have been reactivated, although resolving more elaborate time intervals responsible for a future rupture remains a significant challenge. This study contributes to better assess many of potential seismic hazards in the study area, in particular, in terms of seismic stability for foundation of nuclear power pl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