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건축 레퍼런스 플랫폼의 발전과 진화에 따른 사용자 태도 변화

        황동진,김호영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3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0 No.81

        Architects have witnessed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digital architectural reference platforms and the changes in their attitudes towards the reference platforms. To verify this hypothes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reference platforms from analog to digital formats, and analyzes how users produce and consume architectural references on the digital architectural platforms. As a resul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ue to changes in visual reference and web technologies, digital architectural platform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evolved. Second, it is now possible for users to obtain a variety of information via digital architectural platforms, as opposed to analog platforms. Third, Pinterest as the most evolved platform, has focused more on images themselves than on texts, and thereby users have re-organized and re-spreaded information obtained from image searches on Pinterest. Accordingly, the evolution of web content management on the platforms has gradually led to the changes in users’ attitude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towards the reference platforms, and moreover, caused not only to visually reshape the layout and organization of digital architectural reference platform, but also to accelerate the reproduction of image information.

      • 시간적 맥락에서의 복지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복지확대와 증세의 태도 불일치를 중심으로

        황동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0 No.-

        본 연구는 한국인의 복지태도 불일치 양상을 시간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복지확대에 대한 태도와 증세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확인하고 집단 내에서 상이한 변화양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복지태도 일치 및 불일치 양상을 유형화하였다. 주요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먼저, 복지확대에 대한 태도와 증세에 대한 태도의 변화 유형이 상이한 집단이 발견되었다. 복지확대에 대해서 확대를 지지하는 수준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집단과 변화 없이 기존의 태도를 유지하는 집단, 그리고 확대를 반대하는 수준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증세에 대한 태도 역시 증세를 지지하는 집단과 변화 없이 기존의 태도를 유지하는 집단, 그리고 증세를 반대하는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복지태도 불일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자기이해적 수준에서는 청년층이 복지비용회피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인식 수준에서는 조세가 공평하다고 여길수록 복지비용회피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보적 성향을 보일수록 조세가 불공평하다고 여길수록 복지비용지지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What Can BERT Do for English Linguistics?: A Case Study of Examining It-cleft Constructions

        황동진,송상헌 한국영어학학회 2022 영어학연구 Vol.28 No.1

        This study used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 known as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BERT) to understand the pronominal distribution in it-cleft constructions. While language models (LMs) have successfully been used to examine and verify linguistic representations,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general phenomenon of subject-verb agreement. As such,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ticular construction known as it-cleft, in order to consolidate the LM’s role as a linguistic platform. In the experiment using BERT, the surprisal of each case (i.e., nominative and accusative) is compared. The investigation successfully replicated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specifically by capturing the use of the accusative form, inhibition of the first-person pronominal, and collocate feature of the first-person pronominal with the complementizer who. The results from the LM also deliver further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it-cleft, involving the between numb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nominal and syntactic role. Thus, the usage of BERT both revealed new research questions while verifying evidence from previous studies on the it-cleft pronominal. This demonstrates that BERT can correctly represent particular constructions and broadens the possibilities of LMs as a linguistic platform.

      • KCI등재

        인권교육이 청소년의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황동진,송혁,김사현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0

        본 연구는 청소년에 대한 인권교육이 그들의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특별히,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기존연구와 차별성을 두고자 했다. 첫째, 인권교육을 양적인 부분과 질적인 부분으로 구분하고, 이들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청소년의 인권교육과 인권의식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기존의 인권의식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인지·정서적 요인에만 주목한 것과 달리, 자아존중감이라는 심리적 요인에 초점을 둔 것이다. 인권교육이 자신의 가치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높인다는 연구결과에 기초해, 이것이 궁극적으로 타인에 대한 인권의식도 높일 것이라 기대했기 때문이다. 분석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Ⅲ 2013년 자료가 활용되었고, 분석대상자로 총 6,544명이 포함되었다. 설정된 모형에 대해서는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교육의 양적인 부분은 인권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반면, 질적인 부분은 인권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인권교육과 인권의식을 매개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인권교육의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달리 나타났는데, 전자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후자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인권의식을 높이기 위해 인권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influence of human right education on adolescents' awareness about the human respect. This study is to extract two large points of differences from former study. Firstly, we are willing to examine the actual effects on the awareness of human right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quality-centered and quantity-centered part. Secondly, this study concentrate on self-esteem. We examine the mediator effect of self-respect in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 education and adolescents' consciousness of righ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The first one is that quantity-centered part of human right educ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consciousness about human right. On the other hand, interestingly, quality-centered has influence.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y-centered education and awareness of right, the complete mediator effect is come into force. However, in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centered education and awareness, it only has partial mediator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se results of our study, we suggest the proper direction for education of human right to improve adolescents' awareness of human right

      • KCI우수등재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궤적 연구 -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을 적용하여 -

        황동진,이진숙 한국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학 Vol.71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in domestic work time of married couple. The division of domestic work between husbands and wives was gradually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equality distribution, but it could not be confirmed by the average value. Since th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domestic work might be varied from person to person, it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pattern of change in detail. The growth mixture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different change trajectories. This is an easy method of analyzing how many subgroups are present, if they are aware of the existence of different change trajectories. After identifying the subgroups, a panel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groups. The main results were summarized in two. First, there were subgroups with different trajectories of change in domestic work of married couple. Second, the factors that determined domestic work time differed among groups. These results emphasized the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with different trajectories of change and the necessity of policy approaches. In addition,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ale and female in the division of domestic work, and need to discuss double care, which was a greater burden on women. 이 연구는 우리나라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궤적을 분석한 것이다. 과거에 비해 부부간 가사노동분업은 평등적 분배의 방향으로 조금씩 변화하고 있으나 이는 평균치로 상이한 변화양상이어떠한지를 확인할 수가 없다. 가사노동분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개인마다 다르게 작용할수 있어서 변화양상을 세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이한 변화궤적을 분석하기위해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는 다른 변화궤적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있다면몇 개의 하위집단이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용이한 분석방법이다. 하위집단을 파악한 후, 이러한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패널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된다. 먼저, 남성과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에서 상이한 변화궤적을 가진 하위집단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사노동시간을 결정하는 요인은 집단별로 다르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상이한 변화궤적을 보이는 집단의 특성에대한 이해와 정책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가사노동분업에서 남성과 여성에게 강조되어야할 부분과 여성에게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이중돌봄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