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단속성 안구운동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황도연,윤지운,박제모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22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4 No.1

        This study developed a saccadic eye movement training program and attempt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s a tool for training saccadic eye movements in stroke patients. This study included 26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rough random allocation, and the King-Devick test was administered as the pre-test. After the pre-test,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n existing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and a saccadic eye movement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for a total of 16 sessions. The control group underwent existing occupational therapy and ad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After four week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re-tested. The time and number of errors in the King-Devick test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and both parameters in the King-Devick test de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time and number of errors in the King-Devick 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5). This study showed that the saccadic eye movement training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saccadic eye movements in stroke patients. 목적: 본 연구는 단속성 안구운동 훈련 프로그램(Saccadic Eye Movement Training Program)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여 뇌졸중 환자의 단속성 안구운동 훈련을 위한 도구로써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무작위 배정을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뉘었고, King-Devick test로 초기평가를 진행하였다. 초기평가후 실험군은 기존 작업치료 중재와 단속성 안구운동 훈련프로그램 중재를 총 16회 동안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기존작업치료 중재와 추가 작업치료 중재를 실시하였다. 4주 후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재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후 King-Devick test 의 시간과 오류 횟수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보였고(p<.05), 중재 전보다 후에 King-Devick test의 시간과오류 횟수가 감소하였다. 또한, 중재 후 실험군의 King-Devick test 시간과 오류 횟수가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낮았다(p<.0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단속성 안구운동 훈련 프로그램이뇌졸중 환자의 단속성 안구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WPAN을 위한 가상 슬롯 기반 다중 접근 방식

        황도연,권의혁,임재성,Hwang Do-Youn,Kwon Eui-Hyeok,Lim Jae-Sung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9A

        WPAN환경에서 고속 저속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IEEE 802.15.3과 IEEE 802.15.4이 설계되었다. 현재 WPAN 표준에서 제시하는 MAC 프로토콜의 다중 접근 방식은 CSMA방식과 TDMA방식을 분리하여 결합한 방식이다. TDMA부분에서는 PNC(Piconet Coordinator)에 의해 가변적인 길이의 timeslot이 각 station에 할당된다. 그리고 각 timeslot내에는 여러 개의 데이터 패킷이 전송 가능한 multi-frame TDMA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표준에서 정의하는 다중 접근 방식은 VBR (Variable Bit Rate)과 같이 데이터 전송률의 변화가 빈번한 데이터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어렵다. 이러한 특성의 데이터 트래픽에서는 superframe 내에 많은 수의 idle timeslot을 발생시키므로 시스템의 throughput을 감소시키고 delay를 증가시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슬롯 기반의 다중 접근 방식인 VSMA(Virtual Slot Multiple Access)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multi-frame TDMA의 환경에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법으로서 가상 슬롯을 할당 받은 station은 높은 접근 우선 순위를 갖고 그 밖의 station은 낮은 접근 우선 순위를 갖게 하여 채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이다. 다양한 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이 효율적인 채널 사용을 통해서 향상된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IEEE802.15.3 and IEEE802.15.4 have defined the hybrid MAC protocols based on TDMA and CSMA where a multi-frame TDMA structure is employed so that multiple data frames can be transmitted within one timeslot to guarantee minimum delay bounds of isochroous traffic. However, TDMA has an intrinsic problem that cannot dynamically allocate optimal length of timeslot to each station. Therefore the idle timeslot can be produced by stations when each transmission queue is instantaneously empty during its timeslot, which would waste lots of timeslots especially in the multi-frame TDMA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re flexible multiple-access scheme for the multi-frame TDMA system based on the concept of virtual slot which is accessible by every station with the highest priority for slot owner and lower priority for other stations. Finally, our simulation results from various environments show that proposed scheme can achieve magnitude improvement of total system throughput and average message delay by maximizing channel utiliz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인지기능에 따른 공간관계지각 비교

        황도연,박진혁,이성아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4

        목적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인지기능에 따른 공간관계지각을 비교함으로써 의 료기관 등에서 작업치료 중재 수립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는 미네소타 공간관계 지각 검사(Minnesota Spatial Relations Test; MSRT),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인지기능에 따른 공간관계 지각을 비교하기 위해 Independent samples t-test와 One-way 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결과 :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대(p < .01), 발병기간(p < .05), 손상측 뇌반구(p < .01), 유/무학(p < .05)과 인지기능(p < .01)에 따른 MSRT 수행시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를 보였다. 수행시간을 비교하면 70대 이상이 40대 이하보다(연령대), 1개월 미만이 3개월 이상보다(발 병기간), 오른쪽이 왼쪽보다(손상측 뇌반구), 무학이 유학보다(유/무학) 더 소요되었다. 또한, 인지기능 이 저하된 환자의 수행시간이 정상 환자보다 더 소요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연령대, 발병기간, 손상측 뇌반구, 유/무학과 인지기능에 따라 공간관계지각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뇌졸중뿐만 아니라 다른 질환을 가진 환자를 대상 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작업치료 중재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establishing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in medical institutions by comparing the perception of spatial rel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function of 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involved 36 stroke patients admitted to a medical center. Minnesota Spatial Relations Test (MSRT) and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 were used as the evaluation tools.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spatial rel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func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applied. Results: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cute stroke patients, the MSRT performance time according to age group (p < .01), period of onset (p < .05), lesion side of the brain hemisphere (p < .01), education (p < .05), and cognitive function (p < .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ing the performance time, people over 70 took longer than those under 40 (age group), those with a period of onset of under 1 month took longer than those over 3 months (period of onset), those with right side brain hemisphere lesions took longer than those with left side brain hemisphere lesions (side of brain hemisphere lesions), and uneducated patients took longer than educated patients (education). In addition, the performance time in patients with impaired cognitive function was longer than for normal patient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spatial relations differs depending on age group, period of onset, side of brain hemisphere lesions, educat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acute stroke patients. In the future, we hope that study will be conducted on patients with other diseases as well as stroke patients, and that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훈련을 위한 다목적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황도연,박제모,오명화,정현애,김희동,배성환,김유정,변혜원,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3

        Objective: This study developed Multi-purpose Blind Box and applied to stroke patients who suffered from sensoryfunction and visual perception to provide the role as a training tool. Methods: Thirty three stroke patients were participated as subjects. Multi-purpose blind box developed in thisstudy were used as research tool and Semmes Weinstein Monofilament(SWM), Two-point DiscriminationTest(TD), Modified Moberg Pickup Test(MPT), MVPT-3 and QUEST 2.0 were used as assessment tools. Theexperimental group conducted Multi-purpose Blind Box training program 30 minutes per day with three times aweek while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Results: The score differences of SWM, TD, MPT and MVPT-3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ying Multi-purposeBlind Box trai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p<.05).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decrease in SWM and TD scores, a decrease in MPT time and an improvement in MVPT-3 scores after trainingwith Multi-purpose blind box. Usability after using Multi-purpose blind box were rated more than average in allquestion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using Multi-purpose blind box for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oryfunction and visual perception of stroke patients and therefore it further could be applied for assessment tool aswell. 목적 : 본 연구는 다목적 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를 개발하고 이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향상을 위한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광역시 소재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33명을 선정 하였다. 연구도구로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감각과 시지각 기능향상 훈련용 다목적 암맹상자를 활용하였으며, 평가도구는 Semmes Weinstein Monofilament(SWM), Two-point Discrimination Test(TD), ModifiedMoberg Pickup Test(MPT), MVPT-3와 QUEST 2.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은 무작위 할당을 통해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초기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에게는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프로그램을 1회당 30분간 주 3회를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받도록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모두 6주간 훈련 후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SWM, TD, MPT 및 MVPT-3 점수 차이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5). 또한 실험군에서는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시행 후SWM과 TD 수치의 감소, MPT 시간의 감소 그리고 MVPT-3 점수는 향상됨을 보였다. 다목적 암맹상자 활용 후 사용성 평가는 모든 문항에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대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 다목적 암맹상자를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향후 훈련도구뿐만 아니라 평가도구로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