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20세기 초 미디어 문화에서 나타난 전통음악 상품과 음악 취향에 관한 소고

        홍희주 ( Hee Joo Hong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科學 Vol.0 No.49

        최초의 근대극장인 협률사는 전통음악의 대중화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고 극 장 공연 이전부터 민간에서 발생하던 잡가는 공연과 음반산업의 발전을 통해 대중 의 지지를 받으며 대중가요로소의 면모를 잡아나가기 시작한다. 그러나 외래 음악 의 수용이 시대적 당위로 여겨지면서 전통음악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발전방향에 대해 음악인들 사이에서 논쟁이 일어났고,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의 교섭이 바람직한 음악작업임을 강조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전통가요와 유행가요, 그리고 서양 음악을 그 취향으로 하는 계층의 등장으로 음악문화는 세대별 분화가 시작된다. 당시의 대중문화는 ``근대적`` 대중이 아닌, 지식인과 엘리트층을 중심으로 이어졌으며, 젊은 층의 전통음악에 대한 몰이해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젊은 층의 전통음악에 대한 거부감과 몰이해는 세대별 음악 취향의 극명한 차이를 가지고 왔는데 이러한 현상 안에는 일제 식민지기의 교육제도와, 정치 사회적 변 동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0세기 초 미디어 문화의 등장에 따른 전 통음악의 변화과정을 잡가를 통해 알아보고, 음반산업과 라디오 방송이 가져온 음악 의 상품화·대중화 과정과 전통음악의 세대별 미감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A Study on the Creation of Media Culture and Musical Tast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first modern theater, Hyeopryul-sa(協律社), was an important element in mass popularization of the traditional music. Jap-ga(雜歌), which originated among the common people before taking its place in the theater, took the form of popular music due to growth of the performance and record industry and ensuing support of the mass public. However, the atmosphere of the period was predominantly favorable to Western music, and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direction of growth of the traditional music largely argued for negotiation of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Moreover, the emergence of class preference for traditional, popular, and Western music initiated categorization of the music culture. The mass culture of the period was led not by the ``modern`` public but by intellectuals and the elite. In the mean time, there was a strong current of inappreciation of the traditional music by the younger generation. The lack of preference for, if not, repulsion of the traditional music by the younger generation brought about stark differences in the musical taste of each generation. Such phenomenon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education system as well as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 in traditional music due to the emergence of the media culture in the 20th century through Jap-ga.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ommoditization and mass popularization of music brought on by the record industry and the radio broadcast. Finally, the process of change in generational taste of the traditional music is observed.

      • KCI등재후보

        열성경련 후 간질 발생 환아의 임상적 고찰

        홍희주(Hee Joo Hong),김민우(Min Woo Kim),이현주(Hyun Joo Lee),정사준(Sa Jun Chung) 조의현(Ui Hyun Cho)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2

        Purpose : Febrile seizure is a common neurological disorder in children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may progress to epilepsy in a few cases. We have set forth to carry out a p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ho developed epilepsy after febrile seizures to determine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04 patients who met WHO's definition of epilepsy after at least 6 months had passed since their first seizure of the 612 patients admitted to the pediatrics department of Kyung-hee Medical Center during 5 years from January of 1993 to January of 1998 for their first febrile seizure. Epilepsy was categorized as epileptic seizure according to ILAE(1981). Results : 1) The incidence of epilepsy was highest in children from 3 years to 5 years. 2) Of 104 children who developed epilepsy, 60 children were males and 44 were females. 3) Of children who eventually developed epilepsy, 37% of them had the family history of seizure. 4) Of 612 cases of first attack febile seizure, generalized tonic-clonic type was the most frequent type and at the time of diagnosis of epilepsy, generalized tonic-clonic type was also the most frequent type. 5) The abnormal EEG findings are found in 95% of children who developed epilepsy. Conclusions : We observ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developed epilepsy after febrile seizures, but we feel that continuous research is necessary in establish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disorders. 목 적 : 열성경련은 소아기에 가장 흔히 보이는 신경계 질환으로써, 대개 양호한 경과를 보이지만 소수에서는 간질로 이행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열성경련이 향후 간질에 미치는 영향과 간질로 이행한 환아들의 임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 1월부터 1998년 1월까지 만 5년간 경희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했던 열성경련 환아 612명 중 최소한 6개월 이상 경과 관찰 후 간질로 이행한 환자 104명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 과 : 1) 열성경련 후 간질로 진단된 환아들의 간질 발생 연령은 3세에서 5세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4.1세였다. 2) 간질로 진단된 환아 104명 중 남아는 60명, 여아는 44명으로 남녀비는 1.36 : 1이었다. 3) 가족력에 있어서 환아의 가족 중 1회 이상의 경련이 있었던 예가 37%있었다. 4) 간질 환아들의 열성경련 과거력상 단순 열성경련이 26명, 복합 열성경련이 78명으로 복합 열성경련군에서 간질 발생율이 높았다. 5) 첫 열성경련시 발작형은 전신 강직-간대성 발작이 58례(55.8%)로 가장 많았으며, 간질 발작 진단시에도 전신 강직-간대성 발작이 43례(41.3%)로 가장 많았다. 6) 간질 발작 당시 시행한 뇌파검사에서 소견이 있었으며 전신성 극서파, 초점성 극파, 발작성 고진폭 극파 등을 보였다. 결 론 : 열성경련에서 간질로 이행한 환아들의 임상 특성을 고찰하였으나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20세기 초 한국 전통음악의 상품미학적 접근

        박상환 ( Sang Hwan Bak ),홍희주 ( Hee Joo Hong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科學 Vol.0 No.48

        본 논문은 전통문화가 문화콘텐츠라는 ``상품``으로 유통되는 과정에서 문화원형이 가지고 있는 한국 고유의 문화적 가치를 20세기 초 전통음악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 근대사에서 극장공간과 음반산업, 그리고 방송매체가 전통음악의 대중예술 화 과정에 끼친 영향, 그리고 매체와 전통음악의 상호 교섭을 상품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전통음악의 사회적 소통관계와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상업적 도시로 발전해가던 조선 후기 서울의 도시민들은 음악을 유흥적 성격으로 향유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까지, 음악 향수는 고급취향과 서민취향으로 나뉘었다. 19세기 들어 노래 문화가 대중적으로 확산되었고 1900년을 전후하여 협률사등, 극장의 등장으로 전통예술의 대중화와 공연문화적 성격이 강화되었다. 20세기 초 레코드와 라디오 매체의 등장으로 기존 전통가요는 대중가요로서의 면모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계층별로 향유되던 음악들이 음반과 레코드를 통해 대 중적으로 보편화되는 과정에 있었다. 1930년대 들어 유성기가 보편화되기 시작하면서 음악은 어디에서나 누구라도 들을 수 있는 장르가 되었으며 ``고급예술``과 ``저급예술``의 범주 구분이 약화되었다. 20세기 초에 녹음된 음반에는 전통음악이 대다 수를 차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음반상품은 개인의 음악취향이 반영되어 소비되는, 자본의 영역 안에서 대중문화 자본의 이윤추구로 작동되는 상품매체이기 때문 이다. 1927년 경성방송국의 개국으로 시작된 라디오는 전국적인 매체였다. 라디오 에서 방송되었던 궁중음악과 전통음악은 일반인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해주었고, 대중화된 음악은 그 전통이 새롭게 창출된 근대적 변용이라 할 수 있다. 20세기 초반 극장공연과 음반산업, 그리고 라디오 매체에서 나타난 전통 음악의 집중화 현상은 당시 공연, 음반, 방송 사업이 상업성을 바탕으로 한 ``자본주의적 문화상품``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전통음악이라는 ``기호가치``와 ``미학성``은 근 대적인 상품매체를 구매자가 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통음악의 ``만들어진 전통``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근대화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대면은 전통의 해석 과 맞물리며 문화본질주의적 관점과 문화변동에 관한 관점이 전통문화담론에 혼재 하였다. 전통을 기반으로 한 양질의 문화콘텐츠 개발은 문화의 재해석에 있으며 문화의 재해석에는 시대에 맞는 미학적 대응이 필요하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ultural value of the traditional music as it is created and distributed as a commercial product in the early 20th century. From a commodity aesthetics standpoint, the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theater, the record industry, and broadcasting media on popularization of the early 20 th century traditional music in modern Korean history. By doing so, the present study seeks to identify the social communication and change in perception of traditional music from a commodity aesthetics standpoint. During the 17th to 18th century, as Seoul evolved into an industrial city, its inhabitants began to enjoy music with worldly entertainment. At this period of time, music was divided into that which was preferred by the high class and that of the common class. As the 19th century opened, however, the music culture expanded to the masses, and the emergence of the theater and Hyeop Ryul Sa the around 1900 century strengthened the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e performance culture of the traditional art form. The development of the record and radio as mass media in the early 20 th century rooted traditional music as popular music genre. In addition, music enjoyed only within the realm of respective classes were pervading to the masses through the means of record industry. By 1930, the boundary that had separated high art from low art was blurred with the spread of the gramophone. Music became available anywhere to anyone. Traditional music covered the majority of recorded music in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explains the musical taste of the masses that brought about profit for the capitalistic product. Radio broadcast, which took off with the establishment of Kyungseong Broadcasting Station in 1927, became a national medium. The limitation of accessibility of imperial and traditional music disappeared with radio broadcast. Such phenomenon may be defined as a creation of a tradition and modern transformation. The prevalence of traditional music in the theater and radio broadcast in the early 20th century shows that the theater, record and broadcast industry of the time adopt edit as ``capitalistic commodity culture`` due to its commercial value. The ``sign value`` and ``aestheticity`` of traditional music was adopted to make consumption of such modern medium easily accessible for consumers. The past and present in modernization process is confronted along with interpretation of tradition, and perspectives on cultural essentialism and cultural change is easily found within traditional discourse. The development of high quality cultural content that is founded on tradition is accomplished by reinterpretation of culture. Reinterpretation of culture calls for aesthetic correspondence that is appropriate to the particular period of time.

      • KCI등재후보

        Helicobacter pylori에 감염된 소아에서 십이지장염, 십이지장 궤양 및 위 상피화생에 대한 전향적 연구

        이정복,임혜라,정동해,류일,전인상,조강호,선용한,홍희주,차한,Lee, Jung Bok,Im, Hae Ra,Jung, Dong Hae,Ryoo, Eell,Jeon, In-Sang,Cho, Kang Ho,Sun, Young Han,Hong, Hee-Joo,Tchah, Han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4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7 No.2

        목적: H. pylori에 대해서는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성인과 소아에서 위염과 강한 관련성이 있으며 위 점막은 물론 십이지장 점막에서 위 상피화생이 발생하면 미란과 궤양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소아에서의 H. pylori 감염과 관련된 십이지장의 조직병리학적 소견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H. pylori에 감염된 소아에서 십이지장염, 십이지장 궤양 및 위 상피화생에 대한 관계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0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위 전정부와 위 체부 및 십이지장 점막에서 생검을 동시에 시행한 177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H. pylori 감염 여부 및 병리학적 소견을 전향적 방법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H. pylori 양성은 조직의 Giemsa stain에서 H. pylori가 발견되었을 때와 H. pylori IgG, urease breath test (UBT), rapid urease test (CLO) 중 2가지 이상에서 양성일 때로 정의하였다. 십이지장염은 hematoxylin 및 eosin 염색에서 간질의 세포 침윤 정도에 따라 제 0도에서 제 3도까지로 분류하였으며, 위 상피화생은 제 0도에서 제 4도까지로 구별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컴퓨터 프로그램 SAS (version 8.1)를 이용하였다. 결과: 1) 대상 환아 177명 중 H. pylori 양성 반응을 보인 환아는 97명(54%)으로 남녀 비는 1.36 : 1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9.66세였다. 2) 십이지장염은 163명에서 확인되었는데 94명에서 제 1도 소견을 보였고 이 중 H. pylori 감염은 47명이었다. 제 2도는 62명으로 이 중 H. pylori 감염은 36명이었으며, 제 3도는 7명으로 이 중 H. pylori 감염은 4명이었다. H. pylori 감염과 십이지장염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십이지장 궤양은 11명으로 평균 나이는 7.18세였으며 남녀 비는 4.5 : 1이었다. 이 중 H. pylori 감염 양성은 4명, H. pylori 감염 음성은 7명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4) 위 상피화생은 전체 환자 중 5명으로 이 중 H. pylori 양성은 2명이었으며 십이지장 궤양은 3명이었는데, 십이지장 궤양과 H. pylori 양성이 동반된 경우는 1명이었다. H. pylori 감염과 위 상피화생 발생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십이지장 궤양이 있는 군에서 위 상피화생의 발생률이 더 높았다(p=0.032). 5) 십이지장 궤양은 십이지장염 제 1도 94명 중 1명, 제 2도 62명 중 5명, 제 3도 7명 중 5명에서 각각 발생하여 십이장염의 정도가 증가할수록 십이지장 궤양의 발생이 증가하였다(p<0.0001). 6) 위 상피화생은 십이지장염 제 1도 94명 중 2명, 제 2도 62명 중 1명, 제 3도 7명 중 2명에서 각각 발생하여 십이지장염이 심할수록 위 상피화생의 발생이 증가하였다(p=0.0365). 결론: 기존의 문헌들에서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H. pylori 감염과 십이지장염, H. pylori 감염과 십이지장 궤양 및 H. pylori 감염과 위 상피화생 간에는 연관성이 없었으며, 십이지장염과 십이지장 궤양 간에는 연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위 상피화생과 십이지장 궤양 및 십이지장염과 위 상피화생 간에는 기존의 보고들처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has been known to be vital in the pathogenesis of duodenal ulcer disease in children as well as in adult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H. pylori infection and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of the duodenum has not been explained obviously in children yet.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duodenitis and/or gastric metaplasia in the duodenum increases the risk of duodenal ulcer disease in children infected by H. pylori. Methods: From October 2001 to April 2004 gastric and duodenal biopsies were performed in 177 children who visited Department of Pediatrics, Gil Hospital, Gachon Medical School. Biopsy section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also with Giemsa for identification of H. pylori. The grades of duodenitis and gastric metaplasia were classified from 0 to 3 and from 0 to 4, respectively. Results: The incidence of H. pylori infection was 54% in total patients. Amongst 163 children with duodenitis there was a lack of correlation between H. pylori infection and the grade of duodenitis. Amongst 11 patients with duodenal ucler, only 4 children were infected by H. pylori. And amongst 5 patients with gastric metaplasia, H. pylori and duodenal ulcer were detected in 2 and 3 children, respectively. The occurrence of duodenal ulcer and gastric metaplasia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proportion to the grade of duodenitis (p<0.0001 and p=0.0365, respectively). Conclusion: As opposed to the results of previously reported articles, there were lacks of correlation between H. pylori infection and duodenitis, duodenal ulcer, and gastric metaplasia. So further study hould be done to clarify the effect of H. pylori on the duodenal histopathology in children infected by H. pylori.

      • 인천 지역에서 급성 세기관지염의 치료 실태

        김정선 ( Jung Sun Kim ),인두교 ( Doo Kyo In ),선용한 ( Yong Han Sun ),홍희주 ( Hee Joo Hong ),조강호 ( Kang Ho Cho ),손동우 ( Dong Woo Son ),전인상 ( In Sang Jeon ),차한 ( Hann Tchah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6 No.2

        목 적 : 급성 세기관지염은 영아기에 가장 흔한 하기도 감염이지만 치료에 있어 임상적 효과가 있다고 확실하게 입증된 약물 요법이 없다. 본 조사를 통해 인천 지역에서 소아과 의사의 급성 세기관지염에 대한 치료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외국과 국내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국내의 치료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인천의 소아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급성 세기관지염의 치료에서 약제 사용을 빈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체 131명 중 80명(61%)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흡입 기관지 확장제는 90%가 사용하고 있었으며, 41%는 항상, 43%는 간헐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스테로이드는 93%에서 사용되고 있었으며, 65%는 간헐적으로, 23%는 항상 사용하고 있었다. 타국가 비교시, 약물 요법을 진료 지침이 시행되고 있는 호주에 비해서 많이, 그렇지 않은 스위스에 비해서 비슷하게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인천 지역 소아과 의사는 급성 세기관지염 치료에 약물 요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비용과 효과를 고려하여 급성 세기관지염에서 약물 요법의 사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있는데 국내의 치료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Purpose : Although acute bronchiolitis is the most common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the first year of life, the use of pharmaceutical agents has been deb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management practice of acute bronchiolitis by pediatricians in Incheon and to compare this with management internationally. Methods : We sent postal questionnaires to all pediatricians in Incheon to assess their current practice for treating acute bronchiolitis.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bronchodilators, steroids, xanthines use.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international management. Results : Of a total 131 questionnaires, 80(61 percent) were returned. Ninety percent of pediatricians used bronchodilator inhalation, either routinely(41 percent) or occasionally(43 percent). Steroid were used by 93 percent of the respondents, always(23 percent) or sometimes (65 percent). Pediatricians in Incheon tended to use pharmaceutical agents more frequently than Australian pediatricians who have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bronchiolitis, and as frequently as Swiss pediatricians who do not. Conclusion : Pharmaceutical agents are frequently used in the management of acute bronchiolitis by pediatricians in Incheon. Better therapeutic approaches are needed for bronchiolitis care.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6;16:150-161]

      • 인천 지역에서 소아 천식 중증도 이해와 치료 실태

        인두교 ( Doo Kyo In ),김정선 ( Jung Sun Kim ),선용한 ( Yong Han Sun ),홍희주 ( Hee Joo Hong ),조강호 ( Kang Ho Cho ),손동우 ( Dong Woo Son ),전인상 ( In Sang Jeon ),차한 ( Hann Tchah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06 천식 및 알레르기 Vol.26 No.1

        Background: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asthma practices and adherence to the guidelines for children.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management of childhood asthma and application of guidelines among pediatricians. Method: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of general pediatricians in Incheon. Result: The response rate was 61.8%. When we asked the contents of asthma severity classification by items of frequency of total and night symptom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questions were almost correctly answered (85.7%). Most respondents were aware of asthma guidelines (98.8%) and reported having access to a copy or education of the guidelines (93.8%). Respondents learned the guidelines by attending medical education (72.5%). However, responses to clinical scenario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sthma severity showed overtreatment with inhaled steroid and/or other long term controller (48.8%) for mild intermittent asthma, and undertreatment for moderate (22.2%), and severe persistent asthma (14.3%). By severity classification, mild intermittent, mild persistent, moderate persistent, and severe persistent asthma were 70%, 20%, 8%, and 2%. Conclusion: Although pediatricians were aware of asthma guidelines and knowledge consistent with much of their content, they have a tendency to overtreat patients with mild intermittent asthma and to undertreat patients with moderate or severe persistent asthma.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6;26:35-4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