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적 토기분석을 통해본 아무르와 연해주의 폴체 문화

        홍형우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7

        The questions, connected with the study of the cultures of the Iron age of the Russian Far East, are not new. However, until now, some of the important remain the problems of the origin of ‘Poltse’ culture, connections of Amur and Primorie(Maritime Province) in the designated time. In this plan the specific information can present the analysis of pottery materials with the application of contemporary methods, including - the petrological microscopy, the thermal Gravity Analysis(TGA), X-ray diffraction analysis(XRD). The basic special features of the mineralogical composition of pottery in both regions do not demonstrate essential differences. But, from this parameter as the composition of molding compositions (quantity of models with the organic additives or the chamotte, with the sand or the rock fragments), it is possible to note the presence of the interrelation of ‘zeltyi Yar’, ‘PoltseⅠ’, ‘Glazovka’, ‘Bulochka’, but ‘Amurskij Sanatorij’ differs from the others. Most clear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dels of ancient ceramics of four monuments of the Far East are manifested with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XRD and TGA studies. Thus, the models of pottery from ‘PoltseⅠ’, ‘Glazovka’ and ‘zeltyi Yar’ are uniform in the limits of one monument and are individual for each monument. The model of pottery of one monument can be reliably distinguished of the model of another monument by the phase composition. It is a different matter with the pottery from the ‘Amurskij Sanatorij’. Two models of four contain mullite, and in principle they do not differ from models ‘PoltseⅠ’. Remaining four models contain the non-identified phase, which gives reflexes to 34.2° and 38.3°. The same phase is discovered in two models of ‘Glazovka’. The composition of the feldspar in the pottery of ‘Amurskij Sanatorij’ corresponds to the composition of the feldspar in the models ‘PoltseⅠ’ and ‘Glazovka’.

      • KCI등재
      • KCI등재

        극동지역 초기철기시대 지역별 토기문화의 양상과 전개

        홍형우 한국상고사학회 2014 한국상고사학보 Vol.84 No.-

        The current paper examines the aspect and spread of pottery in far east during the early iron age based on analysis, including formal analysis, manufacturing method, surface treatment, firing condition, and composition pattern of pottery. There were Yril culture in Amur region, Yankovski culture in Maritime province, Qiaonan in Sanjiang Plain in the first early iron age in far east. And there were Talakan and Poltse culture in Amur region, Tuanjie-kroynovka culture in Maritime province, Wanyanhe culture, Guntuling culture, Fenglin culture in Sanjiang Plain, Dongkang culture, Dongxing culture in Mudanjing river valley in the second early iron age in far east. In the first half of the first millennium B.C., the cultural exchange carried out between Yril in Amur region and Yankovski culture in Maritime province. The bowl with handel and a jar in Qiaonan culture is similar to those of Yankovki culture in Maritime. In the second half of the first millennium B.C., Poltse culture that spread from Amur region to Maritime province adopt kan(Ondol) and manufacturing of pottery from Tuanjie-kroynovka culture in Maritime province. In the Sanjiang Plain, Guntuling and Fenglin culture basically followed the tradition of patternless pottery and was different to Poltse culture. Fenglin culture derived from Guntulin culture. In the Mudanjiang river valley, the pottery of Dongkang and Dongxing culture shared with formal and manufacturing elements of the pottery of Guntuling culture in Maritime province and Tuanjie-kroynovka culture in Maritime province. In the far east area, there are no distinctive bronze age and iron did not affect a significant change in socio-economics. The developed iron age began with appearance and spread of Mohe culture in 4th century A.D.. 극동지역에서 아무르강 유역, 삼강평원, 목단강 유역, 연해주 등 각 지역별로 형성되어 온 초기철기시대 문화의 전개 및 교류의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 각 지역의 문화를 토기와 철기를 중심으로 비교·검토하였다. 이지역은 대체로 신석기시대 이후 청동기시대가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철기 도입이후에도 철기가 사회경제적인 변화에 미친 영향이 그리 크지 않는 등의 공통적인 양상이 나타난다. 이 지역의 초기철기문화는 전기와 후기로 나눌 수 있는데, 전기에는 아무르 강 유역의 우릴 문화, 연해주의 얀콥스키 문화, 삼강평원의 교남 문화가 포함된다. 후기에는 아무르 강 유역에 탈라칸 문화, 폴체 문화, 수분하유역과 연해주에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 폴체 문화, 삼강평원에 완연하 문화, 곤토령 문화, 봉림 문화, 목단강 유역의 동강 유형, 동흥 문화가 속한다. 전기에 해당하는 기원전 Ⅰ천년기 전반에는 아무르 강 유역과 연해주간의 활발한 교류가 추정되며, 목단강–송화강 유역을 포함한 삼강평원 지역에는 독자적인 고고문화가 발달해간다. 이른 시기부터 철제품이 출현하는 것으로 파악되나, 철기는 소량에 불과하며 석기의 비중이 높다. 기원전 Ⅰ천년기 후반에서 기원후에 이르는 초기철기시대 후기에 아무르 유역에서 폴체인들이 본격적으로 연해주로 남하한다. 이들은 연해주에서 쪽구들 시설과 토기 일부 요소 등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 일부를 차용하면서 연해주의 폴체문화를 형성해 나간다. 삼강평원에서는 곤토령 문화, 봉림 문화가 발전하는데, 곤토령 문화에 이르면 아무르 강 유역의 완연하–폴체 문화와의 교류가 토기에서 확인된다. 목단강 유역에서는 수분하 지역의 단결 문화와 삼강평원의 곤토령요소가 모두 관찰된다. 이후 극동의 각 지역은 소위‘말갈관’으로 대표되는 말갈문화로의 재편된다. 본격적인철기 생산에 의한 사회경제적인 변화양상까지를 감안한다면, 이 시기에 비로소 진정한 의미의 철기시대가 시작된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후보

        연해주의 고고 문화와 강원도

        홍형우 강원사학회 2017 江原史學 Vol.0 No.29

        This article was written to examine the archaeological culture of the Maritime provinces of the Neolithic to the Iron Age and to examine its relevance to Gangwon Province. In the Neolithic era, the elements of the Ludnaya culture Sergeyevka type of the Maritime Province are seen in the ruins of Osanri and Moonamri in Yeongdong area. The Boisman culture is also found in the remains of Moonamri. There is a similarity in the culture of Malyushevo in the Amur River basin in the red pottery, which is found in the Osanari C distric. Moonamri dish-shaped pottery also show commonality in both cultures. Chuncheon Kyodong remains are related to Chorotobiborota cave ruins. This commonality may be the result of sharing the same environment. It is presumed to be related to the mobility of hunter-gatherers. In the Bronze Age of the Maritime provinces, Margaritotka culture, Shinigai culture, and Lidokka culture had existed at the same time or with some time lag in the different regions. The margaritope culture, which prematurely dates to the Bronze Age, features ‘Doldae Mum’ pottery. It is related to the origin of ‘Doldae Mum’ pottery foun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Dongbukhyung Seokdo is similar to the stone statue of Ryodokka culture. The ‘Joongdo’ type pottery is distributed in Youngdong and Youngseo areas of Gangwon province during the Iron Age. These are similar to the culture of Croynovka culture. These origins are seen as Northwest or Northeast. The northwestern region is closely related to this culture. In recent years, the pottery of poltse culture and Mohe culture have been found in Gangwon Province. They show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regions at this time. 이 글은 연해주의 신석기∼철기시대의 고고문화를 살펴보고, 강원도와의 관련성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먼저 신석기시대에는 영동지역의 오산리, 문암리 유적에서 연해주의 루드나야 문화 세르게예프카 유형의 요소들이 보이며, 보이스만 문화 토기는 문암리 유적에서도 확인된다. 오산리 C지구 등에서 확인되는 적색마연압날문토기는 마연기법, 다치구를 사선방향으로 시문하는 기법 등에서 말르이쉐보 문화와 공통되며, 문암리의 접시형토기, 토우 역시 양 문화에 공통성을 보인다. 춘천 교동 유적은 쵸로토비 보로타 동굴 유적과의 관련성이 검토된다. 이러한 공통성은 동일한 생업환경을 공유하였던 결과일 것이며, 수렵채집민의 이동성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해주의 청동기시대에는 마르가리토프카 문화, 시니가이 문화, 리도프카 문화가 서로 다른 지역에 동시기 또는 약간의 시차를 두고 존재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청동기시대 조기로 편년되는 마르가르토프카 문화는 돌대문토기를 특징으로 하며, 한반도 돌대문토기의 기원과 관련된다. 한반도 동해안 일대로 분포가 한정되는 동북형석도는 리도프카 문화의 석도와 비교되는데, 나이프 모양 석도가 특히 유사하다. 동북형석도와 함께 부리형석기, 양인의 반월형석도와 원추형의 방추차, 외반구연공렬문발형토기, 파수부심발형토기 등도 연해주와 비교되며 이를 통해 ‘동해문화권’을 설정하기도 한다. 철기시대에는 주로 강원도 영동·영서 지역 및 한강 유역 등 중부지역에 분포하는 중도식무문토기의 기원지를 연해주와 연변지역을 포함한 동북한 지역에 분포하는 단결-크로우노프카로 보는 견해와 관련된다. 중도식무문토기의 기원지는 고조선의 멸망, 위만조선 및 낙랑의 성립에 따른 남한지역으로의 주민 이주 등 역사기록과 관련하여 서북한지역으로 보는 견해가 다수를 차지하나, 철자·여자형의 주거지, 쪽구들과 같은 주거지 내부시설, 파수부외반구연 옹, 내만구연 호 등 각종 토기 등에서 중도식토기 문화와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의 관련성이 깊은 것으로 이해된다. 이밖에 최근 영동·영서 지역에서는 연해주의 폴체 및 말갈 토기도 출토되었는데, 단편적이기는 하나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 이후 폴체 문화기에도 상호작용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