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차별경험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홍초롱(Cho Rong Hong),최유나(Yuna Choi),남석인(Seok In Nam) 한국노년학회 2024 한국노년학 Vol.44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차별경험이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존중감과 자율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2곳과 경기도 1곳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중 성별과 75세 연령기준 비율을 고려하여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다. 2018년 5월부터 7월까지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변수가 2개인 다중매개모형 검증을 통해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부트스트랩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차별경험은 자아존중감에, 자아존중감은 자율성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율성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노인의 차별경험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율성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삶의 의미에 이르는 경로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차별을 경험한 노인의 삶의 의미증진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autonomy in the pathway through which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impact the meaning in life among older adults. To accomplish this, among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who use two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one in Gyeonggi-do, the study subjects were recruited by considering the ratio based on gender and 75 years of age. A face-to-fac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to July 2018. Data from 200 participants were ultimately analyzed.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was employed as the analytical tool to validate the dual mediation effect through a multi-mediator model with two parameter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using bootstrapping.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emonstrated that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mong older adul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self-esteem. Additionally, self-esteem exhibited a substantial effect on autonomy. However, the direct effect of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on autonomy and the meaning in life among older adults was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the meaning in life among older adults, only the pathway that traversed through self-esteem and autonomy sequentially was identified as significant, thereby confirming the presence of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were provided in terms of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al interventions aimed at enhancing the meaning in life for older adults who have encountere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 KCI등재

        감초추출물의 지방세포와 조골세포에 대한 분화효과

        초롱(Cho-Rong Seo),변종선(Jong Seon Byun),안재진(Jae Jin An),이재환(JaeHwan Lee),정우(Joung-Woo Hong),장상호(Sang Ho Jang),박계원(Kye Wo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7

        창과감초(Glycyrrhiza inflata Batal)는 한약재의 조화를 돕고 해독, 항염증, 항궤양 등의 약리작용으로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는 약용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세포와 조골세포에서 감초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감초에탄올추출물(GBE)을 이용하여 세포분화 촉진여부를 조사하였다. GBE의 세포독성여부를 통해 안전하다고 확인된 1~30 μg/mL의 농도 내에서 실험이 진행되었고 지방세포 분화조건에서 다분화능 세포 C3H10T1/2과 지방전구세포 3T3-L1의 Oil Red O 염색을 통해 GBE의 지방세포분화 촉진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방세포의 핵심전사조절인자인 PPARγ와 그의 표지유전자 aP2, AdipoQ, C/EBPα의 발현량 증가를 통해 GBE의 지방세포분화 촉진효과를 재확인하였다. 이와 일관된 결과로서 조골세포 분화조건에서 다분화능 세포 C3H10T1/2과 조골전구세포 MC3T3-E1의 ALP 염색을 통해 GBE의 조골세포분화 촉진효과를 확인하였고 조골세포 표지유전자인 ALP, RUNX2, osterix, collagen의 발현량 증가를 통해 GBE의 조골세포분화 촉진효과를 재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GBE의 지방세포와 조골세포 분화효과를 매개하는 감초의 구성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GA(glycyrrhizic acid)와 LA(licochalcone A)의 분화촉진 여부를 확인한 결과, GA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LA가 GBE의 세포분화효과를 매개한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와 그에 수반되는 골질환과 골다공증에 대한 치료 소재로서 GBE와 그의 생리활성을 매개할 수 있는 LA의 가능성을 보았으며 GBE에서 분리되는 다양한 화합물의 동정 및 생리활성 효과, LA와의 상승효과 등의 추후 연구가 기대된다. Glycyrrhiza inflata Batal, an important species of licorice,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dicinal plants for over 4000 years. Glycyrrhiza plant species has been well known for its various therapeutic activities such as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and anti-ul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lycyrrhiza inflata Batal ethanol extracts (GBE) on adipocyte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Mesenchymal C3H10T1/2 cells were treated with sub-cytotoxic doses of GBE, and its effe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were assessed. We found that GBE dose-dependently increased lipid accumulation and also induced the expression of adipocyte markers, such as PPARγ and its target genes, aP2, and adiponectin, in C3H10T1/2 cells. Consistently, similar effects of GBE on lipid accumulation were also observed in preadipocyte 3T3-L1 cells that further supports the pro-adipogenic activities of GBE.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BE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C3H10T1/2 cells. As a results, we found that GBE increased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lso promoted the expression of osteoblast markers, such as ALP and RUNX2, during osteoblast differentiation of C3H10T1/2 cells. Similar pro-osteogenic effects of GBE were also observed in preosteoblast MC3T3-E1 cells. Finally, our data show that a major bioactive compound found in Glycyrrhiza inflata Batal, licochalcone A (LA) but not glycyrrhizic acid (GA), can mediate the pro-adipogenic and pro-osteogenic effects of GBE. Taken together, this study provides data to show the possibility of GBE and its bioactive component LA as putative strategies for type 2 diabetes and bone diseases.

      • KCI등재

        의료사회복지사가 경험한 직장 내 폭력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남석인(Nam, Seok In),이희정(Yi, Hee Jung),홍초롱(Hong, Cho Rong),최정은(Choi, Jung Eu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5 No.4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직장 내 폭력에 관한 연구는 주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피해경험에 주목해왔으며 상대적으로 동료 혹은 상급자로부터의 피해경험에 관해서는 관심이 적었다. 본 연구는 정서사건이론(affective events theory: AET)을 기반으로 의료사회복지사가 경험한 직장 내 폭력이 우울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의료사회복지사 197명을 대상으로 SPSS 매크로 프로세스 2.16.1을 사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의료사회복지사는 동일직종 간의 협력뿐만 아니라 의료진 그리고 행정직과 협력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직과 타 직종으로부터의 최근 1년간 직장 내 폭력경험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근 1년간 사회복지직과 타 직종으로부터 직장 내 폭력 피해경험이 있을수록 우울 정도가 높아지며 이로 인하여 이직의도를 가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의료사회복지사의 직장 내 폭력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Previous research on workplace violence among social workers tend to focus primarily on cases caused by clients. Much less attention is paid to the workplace violence from co-workers or supervisor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d by medical social workers o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Affective Events Theory(AET).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97 medical social workers and SPSS macro process 2.16.1. was utilized for analytical tool. We analyzed workplace violence for the past 1 year by differentiating social welfare workers from other co-workers, since medical social workers usually work in cooperation with medical and administrative staffs. As a result, for the past 1 year, medical social workers experiencing workplace violence showed higher degree of depression, and further this has served as a decisive factor in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evidence for institution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to prevent and solve workplace violence among medical social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