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실무를 위한 디자인 프로젝트 프로세스의 교과과정 적용 연구

        홍지원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1

        While the recent trend in design is leaning towards authorism, this paradigm is shifting towards a more objective and logical design process, connecting with the consumer’s needs. The current research applies the process of self-expression along with the designer’s individuality, to create a design project from a subjective, but logical and planned stance. The design project is based on a semester of lecturing and recording this process, while working in conjunction with a design marketing book published by Mijinsa.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is subjective self-expression design project, several aspects emerged: the discovery of one’s own unique creative strategy for work, one’s career direction, an image mapping of one’s favorite author’s creative strategy. Furthermore, through the question “Who am I?” the individual becomes more familiar with color, drawing, character analysis of one’s self through mapping, and their specific career direction. Through the process of this guided design project, key words and ideas are visualized and investigated and after analysis, a strategy for developing the stages for execution emerges.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guidelines for design project creation and train designers for practical specialization in their chosen field, while recognizing the designer’s individuality and logical execution in solving design problems. 최근 디자인의 경향은 작가주의 적 경향이 짙게 나타나는 반면 소비자들의 욕구와 연결되어 객관적이며 논리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패러다임이 변해가고 있다. 이번 연구 논문은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반영해 디자인교육 현장에서 한 학기 동안 디자인 프로젝트 수업을 기존 연구된 프로세스의 종류와 미진사에서 출판한 디자인마케팅 책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극 활용하여 디자이너의 개성이 살아있는 자기표현 즉, 주관적 관점에서의 자기표현 프로세스와 논리적 사고인 객관적 관점에서 디자인 프로젝트 프로세스를 적용 하여 보았다. 주관적 자기표현 디자인 프로젝트 프로세스에서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주제아래 나의 성격분석과 내적 스타일분석 그리고 진로방향에 대한 마인드맵을 통해 나온 결과들로 자신이 좋아하는 작가의 표현전략 색상 드로잉 선에 대한 연구들로 이미지맵을 만들고 자신만의 차별화된 작품의 표현전략과 취업의 진로방향에 맞는 주제를 설정하는 것이다. 객관적인 디자인 프로젝트 프로세스에서는 앞서 찾아낸 주제로 조사단계 분석단계 전략단계로 얻어낸 키워드로 아이디어를 이끌어내어 시각화하는 것이다. 이 프로세스 연구로 디자인 프로젝트 문제를 정의하고 디자인 문제에 대한 사고의 확장과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실무적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지식과 경험을 습득하여 디자이너의 개성도 살리고 논리적 과학적 디자인 접근을 통해 전문화된 현장에서 현실적인 실무디자이너 양성과 더불어 디자인 프로젝트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이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악성코드 작성자 그룹 분류를 위한 특징 선택

        홍지원,박상현,김상욱 한국정보과학회 2018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4 No.1

        One of the greatest threats to modern cybersecurity is the existence of malware. The authors of malware are avoiding law enforcement and continuously producing new malware. Classification of malware by author group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igital forensics. In this paper, we propose feature selection methods to identify more useful features for author group classification among a great number of features extracted from malware. As a result of the feature selection process, we confirm that the feature extraction time, classification model learning time, and classification time were significantly shortened. We also verify that decrease in accuracy is also minimized. 현대의 컴퓨터 보안의 가장 큰 위협 중 하나는 악성코드(malware)의 존재이다. 악성코드의 제작자들은 법망을 교묘히 피하며 지속적으로 악성코드를 제작하고 있다. 악성코드를 저자 그룹에 따라 분류하는 기술은 디지털 포렌식(digital forensic)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코드로부터 추출한 다양한 특징 정보들로부터 저자 그룹 판별에 더 큰 도움이 되는 특징들을 선별해 내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선별 작업의 결과 특징 추출 시간 및 분류 모델 학습과 분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음을 실험을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이에 따른 정확도 감소 역시 최소화됨을 증명하였다.

      • KCI등재

        스타일 분석을 통한 선호성향과 전공 선택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인덕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홍지원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3 조형미디어학 Vol.16 No.1

        This study has apprehended the personal internal tendencies through the analyses of 9 styles. A survey of 81 questions has been conducted on a total of 966 students and whether majors are selected with their personal internal tendencies. The results of the survey displayed N, in other words the Natural style to be the most common tendency out of all groups of students. In the engineering department, the most common tendencies were N(Natural)style, S(Sporty)style, and creative style respectively. The humanities department also preferred the N (Natural) style the most in general. However, the difference with the engineering department is that the second and third most preferred tendencies are R(Romantic)style and S(Sporty)style. With the romantic style occupying the majority, the humanities department is soft, and considers and thinks of others. The style most preferred by the engineering and humanities departments is N, the Natural style, which is also the tendency of Induk in general. This style prefers colors and designs that are comfortable, yet do not offend nature, and free styles that are not bound to a form, concerning fashion style. The formative arts department most preferred the C(Creative) style, and this style allows a more aggressive and individual self-expression, than conforming to a set format. Even in the formative arts department, the strange result of the broadcasting and performing department was A(Alluring) style was also preferred, which was a style that was unselected by any other departments. A(Alluring) style is largely preferred by those that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celebrities.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thesis have displayed a deep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nal tendencies and style, and the selection of majors, and the clear difference and characteristics in each department. Preferred styles not only affect fashion, but also the generality of life. It is deeply related to the direction of career and employment, and can be helpful in consultations, as the most basic tendency study in university life. 본 연구는 현 인덕대학교 재학생 966명을 대상으로 81문항의 설문조사를 통해 9가지 스타일로 개인의 내적 성향을 분석하였다. 이 조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개인별, 학부별 내적성향과 전공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인덕 재학생 전반적인 결과는 N-내추럴(Natural)스타일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공학부는 N-내추럴(Natural)스타일, S-스포티(Sporty)스타일, C-크리에이티브(Creative)스타일 순으로 나타났다. 어문사회학부는 N-내추럴(Natural)스타일, R-로맨틱(Romantic)스타일, S-스포티(Sporty)스타일로 나타났다. 디자인예술학부에서는 C-크리에이티브(Creative) 스타일, R-로맨틱(Romantic)스타일, N-내추럴(Natural))스타일로 나타났다. 공학부와 어문사회학부에서는 인간적이고 편안한, 소박한, 여유로운, 가공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이미지인 N-내추럴(Natural))스타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스타일의 패션스타일은 형식에 매이지 않은 편안하면서 자연을 거슬리지 않은 색상과 스타일을 선호한다. 어문사회학부의 특징은 두 번째로 높은 R-로맨틱(Romantic)스타일 즉 부드럽고 남을 배려하는 스타일로 사고의 확장이나 생각이 깊은 스타일이다. 패션스타일은 파스텔색상과 여성성이 강조된다. 디자인예술학부에서는 가장 큰 선호도를 보인 C-크리에이티브(Creative)스타일로 창의적이고, 형식보다는 적극적인 자기표현을 하는 스타일로 전공 특성이 잘 나타난다. 그 안에서 방송연예과는 다른 계열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인 A-섹시(Alluring)스타일이 나왔는데 이 스타일은 연예인 될 가능성 있는 이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스타일이다. 따라서 이번 논문 설문 결과를 통해서 자신의 내적 성향인 스타일과 전공 선택과 매우 깊은 연관 관계가 있으며, 또한 각 학부별 특성과 차이점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나타나는 선호 스타일은 패션뿐 만이 아니라 학교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와 취업 방향을 선택함에 있어서 깊은 연관성을 유추 할 수 있으며, 대학생활의 상담 시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Axenic purification and cultivation of an Arctic cyanobacterium, Nodularia spumigena KNUA005, with cold tolerance potential for sustainable production of algae-based biofuel

        홍지원,Han-Gu Choi,Sung-Ho Kang,윤호성 한국조류학회I 2010 ALGAE Vol.25 No.2

        A psychrotolerant cyanobacterium, Nodularia spumigena KNUA005, was isolated from a cyanobacterial bloom sample collected near Dasan Station in Ny-Ålesund, Svalbard Islands during the Arctic summer season. To generate an axenic culture, the isolate was subjected to three purification steps: centrifugation, antibiotic treatment and streaking. The broad antibacterial spectrum of imipenem killed a wide range of heterotrophic bacteria, while the cyanobacterium was capable of enduring both antibiotics, the remaining contaminants that survived after treatment with imipenem were eliminated by the application of an aminoglycoside antibiotic, kanamycin. Physical separation by centrifugation and streaking techniques also aided axenic cultur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cold-tolerance test, this mat-forming cyanobacterium was able to proliferate at low temperatures ranging between 15 and 20°C which indicates the presence of cold-tolerance related genes in N. spumigena KNUA005.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incorporating cold-resistance genes into indigenous cyanobacterial strains for the consistent production of algae-based biofuel during the low-temperature seasons. Therefore, it is needed to determine the cold-tolerance mechanisms in the Arctic cyanobacterium in the next research stage.

      • KCI등재

        K 기업 구성원의 내적 성향에 따른 기업 이미지 전략

        홍지원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4

        본 연구는 K그룹의 계열사 9개 회사 조직 구성원들 개인 성향의 스타일 분석 설문조사를 하여 스타일별 특성들이 그 그룹의 전체적인 문화에 어떤 영향을 보여주는지 또한 기업이 나가고자 하는 방향과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기업이미지 전략방향 수립과 회사의 심벌 아이덴티티를 형성해나갈 수 있는지를 이미지맵을 통해 분석하여 보았다. K그룹은 전반적으로 9가지 스타일 분석 중에서 내추럴스타일을 가장 많이 선호하고 가장 부족한 성향은 모던스타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이 조직의 내적성향은 깨끗하고 맑은 자연을 선호하며 편안하면서 전원생활을 꿈을 꾸는 성향이고 모던 스타일은 현대적이면서 추진력, 미래지향적, 진취적인 성향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에 의하면 형의 이미지맵에서 알 수 있듯 조직구성원의 스타일성향이 내추럴 스타일이고 새로 구축된 K그룹의 아이덴티티인 [아름다운 미래로 비상하는 아름다운 기업]이라는 컨셉에서 나타난 심벌의 이미지를 형의 이미지맵에서 살펴보면 소프트(Soft) 쿨(Cool)에 위치하여 조직구성원의 형의 이미지맵과 일치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번 기업의 심벌작업은 기업의 방향성과 구성원들의 욕구를 모두 이끌어 낼 수 있는 전략이라고 보여 진다. 내적스타일 성향 분석에서도 나타난 것처럼 부족한 영역인 모던스타일이 이미지스케일에서도 웜(Warm) 하드(Hard) 쿨(Cool)영역이 부족한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조직구성원의 스타일 내적 성향 분석으로 인해 조직구성원의 역할 분석, 업무스타일 파악과 스타일에 따른 조직구성원들의 맞춤 재교육정책과 복지정책에도 실제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본 연구가 되리라 본다. 'K' group is a large company consisting of seven subsidiary companies. Recently 'K' group acquired two subsidiary companies. This research examines these companies in terms of how to create a uniformed group image while considering the company members' individual-style inclination.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1032 employees. The survey tool consisted of nine categories of styles from which the individual employees selected descriptive adjectives to best describe their style preferences. Through knowing the employee's personal style inclination, and the category each individual fits in, it can be determined what kin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agenda may best be suited to complement their work environment.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nine categories, employees of 'K' gruop chose 'N' style the most at 32%, and 'M' style the least, at 3%. Adjectives used to best describe 'N' style are clear, clean, bright and natural. They prefer rural over urban settings; in contrast 'M' style is known for its progressive, future-driven, urbanist inclination. Research on all nine companies, the seven original K group subsidiaries, and the two newly acquired subsidiaries, showed little variation on style preferential.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as no other research has ever been done in this field addressing the issue of company employees' personal business style preferential. This research draws awareness to this issue and warrants future investigation.

      • KCI등재

        강릉시 초등학교구강보건사업 평가연구

        홍지원,이승우,박덕영,마득상 대한구강보건학회 2000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of suburban area of Kangnung city arid to obtain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In 4 elementary schools of suburban area,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including fluoride mouth rinsing, pit and fissure sealing for first molars and oral health education were started from 1996. Baseline dental examination was done for 535 students in 1996. 212 students who were 6 to 8 years-old in 1996 were examined every May for 3 years. Among these, 157 students were successfully followed for 3 year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DMFT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in children involved in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from their first grade school life than those involved from other grades(p<0.05). 2. Dental caries incidence of permanent teeth was the most prevalent in the first molars. 3. The major cause of dental caries incidence was due to failure of follow-up to seal pits and fissures. 4. Resource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should be focused to the fast grade students. 5. Detailed directory including the method of planning for programs, criteria for selecting subjects and teeth to be seated should be developed. Also, the method of writing on charts is need to be standardized.

      • 양성 경부 낭종에서의 Picibanil(OK-432)을 이용한 경화치료 효과

        홍지원,부성현,박재,김명구,Hong, Ji-Won,Boo, Sung-Hyun,Park, Jae-Hong,Kim, Myung-Gu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08 大韓氣管食道科學會誌 Vol.14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most cases of benign neck cysts, surgical excision has been considered as treatment of choice. However, sometimes complete excision is very difficult, and recurrences has been occured due to insufficient surgery frequently. In this point of view, non-surgical treatment has been attempted with sclerosing agents such as picibanil(OK-432).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picibanil sclerotherapy for benign neck cyst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53 patients(27 males, 26 females) who had undergone sclerotherapy with picibanil for benign neck cysts such as ranula, lymphangioma, thyroglossal duct cyst and branchial cyst. Information was gathered with respected to age, sex, number of injections, side effect and outcome of treatment.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tralesional aspiration of cystic contents and injection of picibanil, and followed on neck ultrasonography or neck CT. Results: 53 patients received sonoguided sclerotherapy using picibanil(OK-432). 31 patients(41.3%) showed total shrinkage, near total shrinkage(more than 90% of volume) in 7 patients(9.3%), marked shrinkage(more than 70%) in 5 patients(6.6%) and partial shrinkage(less than 70%) in 17 patients. 15 patients(20%) reaveled no response and 8 patients showed recurrences with repeated sclerotherapy. The side effects of therapy were observed by symptoms such as fever, localized pain and odynophagia. However, these complications disappeared after several days in all cases. Conclusions: We recognized that picibanil(OK-432) sclerotherapy for benign neck cyst is a safe and effective procedures as a primary treatment before considering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