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생태계 복원 계획 세우기’ 활동에 나타난 생태계 훼손과 복원에 대한 인식

        홍준의 ( Juneuy Ho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 온난화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와 생태계 복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을 조사하는 것이다. 수도권의 6학년 학생 31명이 연구에 참여했다. 학생들에게 생태계를 복원해야하는 이유를 조사하여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도록 했다. 이 수업은 직소(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하였고, 생태계 복원에 대한 대안을 정부, 환경 단체 및 지역 주민들의 입장에서 모색하도록 하였다. 환경 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원인은 기름 유출, 미세 먼지 및 황사, 폐기물 처리장, 살충제, 비료 및 매립 사업과 같은 5가지 항목으로 나누었다. 그런 다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조사하고 논의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생태계 파괴의 가장 빈번한 원인은 매립 프로젝트 20.6 %, 해양 생태계 파괴는 오일 유출로 인해 18.7 %, 폐기물 문제는 18.1 %, 살충제 및 비료 사용은 17.4 %, 양호 먼지와 황사는 14.8 %, 나머지는 10.3 %였다. 생태계 복원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정리하면 첫째, 지구 온난화 억제, 둘째, 생태계의 생명의 소중함의 이해, 셋째, 생태계가 파괴되면 회복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직소 수업모형의 전문가 그룹 활동을 통해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 관점에서 환경 및 생태계 관련 법 제정 및 위반 시 조항 강화, 환경 영향 평가 강화, 재해 편지 발송, 국립 공원 지정이었고, 둘째, 환경 단체 관점에서 캠페인 활성화 방향, 생태계 복원 방향, 정부 감시 강화, 생태계 파괴 상황 조사, 희생자 지원, 나무 심기 등이 제안되었다. 셋째, 지역 주민의 입장에서 폐기물을 재활용 할 수 있도록 별도의 배출, 식목, 일회용품의 사용량 감소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ecosystem destruction and restoration caused by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irty one 6th-graders in a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presented their thoughts on why they should restore the ecosystem. The lessons consisted of exploring solutions to ecosystem restoration in terms of government, environmental groups and local residents applying the jigsaw model, a form of cooperative learning. The cause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struction were divided into five items such as oil spill, fine dust and yellow dust, waste disposal plant, pesticide, fertilizer and reclamation business. They then investigated and discussed ways to solve the probl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st frequent cause of ecosystem destruction suggested by students was reclamation project as 20.6 %. In marine ecosystem destruction, oil spill was 18.7 %, waste problem was 18.1 %, pesticide and fertilizer use was 17.4 %, fine dust and yellow dust was 14.8 %, and others was 10.3 %. The students’ idea of restoring ecosystems was that the first thing to do is to curb global warming, second, the preciousness of life in the ecosystem, and third, it took a long time to recover if the ecosystem was destroyed; The following points were that students discussed through the expert group activity: First, from the viewpoint of the government, students suggested legislating the law relating to environment and ecosystem and strengthening of provisions in case of violation, strengthening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ending letter of disasters, designating national parks;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groups, they proposed the direction of campaign activation, ecosystem restoration direction, strengthening of government surveillance, investigation of ecosystem destruction situation, supporting for victims, planting trees; Third, in terms of local residents, they recommended means such as separate discharge, tree planting, and less use of disposable items so that the waste can be recycled.

      • KCI등재

        학생중심의 학습 방법에 대한 예비 생물교사의 인식

        홍준의 ( Juneuy Hong ) 韓國生物敎育學會 2017 생물교육 Vol.4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ognition of preliminary biology teachers on student-centered classroom activity. 38 preliminary biology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7 weeks, they had participated 7 other activities on student-centered lear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ir evaluation in total average was 4.1, from 3.8 in `Draw imaginary animal` to 4.3 in `Make the rule of dice game`. They got high impression on approach and it gave them motivation and encouraged participate in classes. And it took students active in the lesson. They expected it would make high achievement in the cognitive domain. They also thought it would be useful in middle and highschool biology class.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the preliminary biology teachers. It is possible to analyze that preliminary teachers` thinking is already fixed. Or, it is because except the student-centered classes taught in this study, the most university education, such as major courses in biology education and other liberal arts courses, places a greater emphasis on the teaching of professional knowledge, i.e. cognitive approaches.

      • KCI등재

        예비생물교사의 지구온난화, 온실효과, 오존층 파괴, 산성비에 대한 인식 연구

        홍준의(Hong, Juneuy)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1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3단계(3-tier) 진단 문항을 이용하여 예비생물교사의 지구온난화, 온실효과, 오존층 파괴, 산성비 등의 주제를 포함하는 대기환경문제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하고, 조사된 내용에서 예비생물교사들의 오개념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생물교육과 학생 32명이었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대기 관련 환경 문제 3단계 진단 테스트(AREPDiT)”를 사용했다. 그 결과는 첫째, 대기 관련 지역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산성비(76.0%) > 오존층 파괴(55.5%) > 온실효과(53.1%) > 지구온난화(45.3%) 순이었다. 둘째, 예비생물교사들은 지구 온난화의 원인과 영향, 오존층 파괴의 원인과 영향에 대해 지식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성비와 지구온난화의 상관관계, 지구온난화의 원인, 과정에 대한 내용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해 자신의 지식에 확신하지 못하고 추측에 의존하고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re-service biology teachers’ understanding of atmospheric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topics such as global warming, greenhouse effect, ozone layer depletion and acid rain, and to investigate their misconceptions about the examined content using a three-tier diagnostic test. The sample of the study consisted of 32 students enrolled in. To collect the data, “The Atmosphere-Related Environmental Problems Three-Tier Diagnostic Test (AREPDiT)”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proportion of responses with scientific knowledge about the air-related area was in the order of acid rain (76.0%) > ozone layer depletion (55.5%) > greenhouse effect (53.1%) > global warming (45.3%). Second, pre-service biology teachers were found to have relatively high in lack of knowledge about the causes and effects of global warming and ozone layer depletion.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acid rain and global warming, the cause and process of global warming, were not accurately understood, so they were not confident in their knowledge and depended on guesswork.

      • KCI등재

        중학생들의 직업 인식조사 및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개발

        홍준의(Hong Juneuy)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5 교육발전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how to change our society in the future, and to know what middle school students want to get a job, to development science program for free semester that will be implemented nationalwide in 2016. For this research 127 7~9 graders, 65 males and 62 females, were participated in. Results were as follow : 1. Many researcher said our future society will be knowledge-based society and highly developed scienc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globalized society, old-aged society, environmental and resource problem, personalize society; 2. Middle school students want to get a job as this order, a elementary school teacher-doctor-middle school teacher-public officer-chef etc. ; 3. I developed science program for free semester such as science related job in the design and art, architecture.

      • KCI등재후보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에 대한 참가자의 인식 연구

        홍준의 ( Jun Euy H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科學敎育硏究誌 Vol.3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동티모르에서의 과학교사 실험 연수에 대해 대한민국과 동티모르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참여관찰과 설문 조사, 면담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대한민국 과학 교사들이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를 실시하는 이유는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의 자발적인 성장을 돕기 위한 것이며, 과학교사로써 국제적인 재능 기부 형태의 봉사활동 수행하는데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은 연수를 진행하면서 언어 및 실험 재료 등의 현지화가 절실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동티모르 과학교사 실험연수가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동티모르의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육 현황에 대한 정확한 자료, 현지 과학교사들의 필요가 무엇인지 파악, 연수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연수에 참가한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은 10년 이내, 20-30대의 교사들이 많았고, 초등보다는 중등교사들의 참여가 많았다. 동티모르의 과학교사들이 연수를 통해 기대하는 것은 과학에 대한 전문성의 심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연수 참가시 어려운 점은 언어, 비용, 거리 등의 요인이었다.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동티모르 교사들의 평가는 모든 프로그램이 재미있고, 유용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강력히 표현하고 있었다. 또한,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의 최종 목표는 동티모르 교사들의 자생적인 연수 능력 획득에 있었는데,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실마리를 얻었다는 것이 중요한 의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the cognitions of Korean science teachers and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about the teacher training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science teacher held by Korean science teachers. Most of the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at the teacher training mostly had their 10-year teaching career and were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purpose of the teacher training is to provide the science educational support for them and to encourage their own development; to effectively donate their skills and talents as a science teacher in their countr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ny Korean teachers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to localize the experimental materials and utilize an appropriate language for the science education of Timor-Leste. Furthermore, until the stable science teacher training system of Timor-Leste is set up, it is necessary to be the precise understandings of the curriculum, the correct data regarding the state of education in Timor-Leste, and the knowledge need to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Meanwhile most of the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mostly had some difficulties in using language due to double translation, paying the participant fee, and travelling long distance from their country in participating the teacher training. What they expected at the teacher training wa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 ability as a science teacher, and to be able to manage the teacher training for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by their own selves.

      • KCI등재

        육계의 성, 사육형태, 계절 및 절식시간에 따른 도체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홍준,이상진,김삼수,정선부,이규호,오세정,Hong, J.,Lee, S.J.,Kim, S.S.,Chung, S.B.,Lee, K.H,Oh, S.J. 한국가금학회 1990 韓國家禽學會誌 Vol.17 No.1

        본 연구는 육계와 육용오리의 도체특성을 비교하고 육계의 성, 사육형질, 계절 및 절식시간에 따른 도체율과 복강지방축적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육계 240수와 육용오리 20수에 대한 도체조사기록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는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계와 육용오리의 도체률은 각각 65.43%와 66.79%였으며, 복강지방축적률은 육계가 육용오리가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2. 육계와 육용오리의 부분육 생산비율은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육계의 경우 부분육 생산비율은 다리, 가슴, 등, 날개 및 목의 순서로 높았다. 3. 육계의 도체율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복강지방축적율은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 4. 사육형태간에 도체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복강지방축적율은 케이지가 평사에 비하여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5. 사육계절간에도 도체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복강지방축적률은 하계에 가장 높았고 동계에 가장 낮았다. 6. 절식ㆍ절수시간이 1시간 경과함에 따라 육계의 체중은 약0.28365%씩 감소하였으며, 도체율은 절식 6시간 후 가장 높았다. This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arcass characteristics between chicken broiler and duck broiler and the carcass characteristics of chicken broiler by sex, rearing type, season and feed and water deprivation with 240 chicken broilers and 20 duck broiler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carcass yields were 65.43% in chicken broiler and 66.78% in duck broiler. The abdominal fat pad of chicken broiler was higher than that of duck broiler. 2. There were differences in commercial cuts production percentages between chicken broiler and duck broiler, and the commercial cut of chicken broiler was produced from drumsticks and thighs, breast back, wings and neck in order. 3. Althoug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carcass yields between male and female of broiler, the abdominal fat pad of male broiler was lower than that of female broiler. 4. The carcass yields in cage and floor type were not different, but the abdominal fat pad in cag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floor. 5.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rcass yields among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but the abdominal fat pad was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Winter. 6. As feed and water deprivation time increased by one hour, live weight was decreased by 0.28365% , and the carcass yield was highest after 6 hours depribated feed and water.

      • KCI등재
      • KCI등재

        기후변화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의식에 미치는 영향

        홍준의(Hong, Juneuy)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8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lass program of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ecosystem, to examine changes in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to understand how students expect the future global environment to change. For this study, 27 6th graders were participated in. And we developed and applied Climate Change Instruc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both environmental attitudes and environmental values (p>0.01)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a lesson program on climate change impacts on ecosystems. Second, the changes of the future environment suggested by students showed many of the global warming (40.8%) and the coming of the Ice Age (33.3%),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were used everyday life, internet addiction, fine dust (25.9%), Global warming could be classified as presenting desertifica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 melting of polar glaciers and flooding of water. Other respondents also pointed to the surge in Internet use and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rd, the animals due to future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predicted animals will change according to Allen s Rule and Bergman s Rule. In addition, we have presented the birth of New mankind, the flying penguin, and polar bears floating in the water because of the increase in water due to global warming. It can be seen that the categories of students imagination do not represent a diverse spectrum. In addition, the animals presented as future animals are represented as mammals or birds, including humans.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on the planet, insects with populations, etc. have not been addressed, which is interpreted to be due to the lack of relevant biological knowledge.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학생들의 환경의식의 변화를 알아보고, 학생들이 미래 지구환경이 어떻게 변화될 것으로 예상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에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7명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에너지 기후변화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수업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환경에 대한 태도와 환경에 대한 가치판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p>0.01). 둘째, 학생들이 제시한 미래 환경의 변화는 지구온난화(40.8%)와 빙하기의 도래(33.3%)가 많이 제시되었으며(74.1%), 인공지능 로봇 상용화, 인터넷 중독, 미세먼지, 동물의 변화 등을 제시한 학생들(25.9%)이 있었다. 지구 온난화에 대해서는 지구환경의 사막화,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 물의 범람 등을 제시하는 것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기타의 응답으로 인터넷 사용 급증, 인공지능 이용의 일상화 등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셋째, 미래 지구환경 변화로 인한 동물은 알렌의 법칙과 베르그만의 법칙에 따라 동물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즉, 지구 온난화로 인해서는 몸이 작아지고 말단이 커지고, 추워진 환경에서는 몸집이 커지고 말단이 작아지는 상황을 설명하였다. 또한, 지구 온난화로 인해 물이 많아져 물속에서 살 수 있는 인류의 탄생, 날아다니는 펭귄, 물에 떠다니는 북극곰 등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학생들의 상상력의 범주가 다양한 스펙트럼을 나타내지는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미래의 동물로 제시되는 동물군이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 혹은 조류로 표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구에서 가장 많은 종의 수, 개체수를 지니고 있는 곤충 등에 대해서는 제시되지 않았는데, 이것은 관련된 생물학적 지식이 많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