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龜玆樂 關聯의 개存 硏究成果 檢討 : A Critical Review

        홍주희 한국음악사학회 2002 한국음악사학보 Vol.29 No.-

        In order to make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study of Kuei-tzu˘ music 龜玆樂,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outcomes of existing studies on Kuei-tzu˘ music by Korean and Chinese scholars from the 1950s to the present. Most outcomes have been studied by Chinese musicologists including P'an Huai-su 播?素, Ch'ang Jen-hsia 常任俠, Chou Chi 周吉, Ho Ch'ang-lin 何昌林, Ch'iu Ch'iung-lin 丘璟蓀, Li Ping 呂氷 and so on. Also included are such Korean scholars as An Hwak 安廓, Lee Hye-ku [Yi Hye-gu] 李惠求, Song Bang-song [Song Pang-song] 宋芳松, Cho˘n In-p'yo˘ng 全仁平 and Hong Chu-hu˘i 洪周希, and also such Japanese musicologists as Kishibe Shigeo 岸邊成雄 and Hayashi Kenzo― 林謙三. The outcomes of existing studies on Kuei-tzu˘ music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in a broad sence : the first group is the outcomes related directly with Kuei-tzu˘ music, while the other group, the outcomes related indirectly with Kuei-tzu˘ music.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 Ⅰ. Introduction, Ⅱ. The Main Issue : 1. Studies on Kuei-tzu˘ Music : 1) Studies on Kuei-tzu˘ Music in Ancient Period; Modal Theory Called We-tan-ch'i-sheng 五旦七聲 by Su Chih-p'o 蘇祗婆, Historical Change of Musical Scale, Musical Instruments, and General Approach to Kuei-tzu˘ Music, 2) Relation between Ancient Kuei-tzu˘ Music and Current Makam, 2. Studies of Indirectly Related with Kuie-tzu˘ Music : 1) Outcomes by Cultural Approach, 2) Outcomes by Iconographic Materials, 3) General Survey, Ⅲ. Conclusion. In conclusion it is pointed out that the outcomes of existing studies on Kuei-tzu˘ music by Korean scholars are very poor in comparison with those by Japanese and Chinese scholars. Translations of studies on Kuei-tzu˘ music by Kishibe Shigeo and Hayashi Kenzo― made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Kuei-tzu˘ Music in Korea. The author, therefore, emphasizes that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works on Kuei-tzu˘ music by Chinese scholars into Korean.

      • 마이크로파에 의하여 가열된 에멀젼의 온도 예측

        홍주희,김덕찬 한국공업화학회 2002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02 No.0

        마이크로파에 의하여 가열된 에멀젼의 온도 예측 홍주희·김덕찬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산업 현장과 생활 폐수에서 다량 발생하는 에멀젼의 분리를 위한 기존의 물리적·화학적 방법들은 복잡한 처리 공정과 2차 오염의 발생 뿐 아니라 고가의 처리비용 등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최근에는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한 에멀젼 분리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마이크로 파는 선택적인 내부 가열이 가능하기 때문에, 점도가 높은 에멀젼에 적용이 가능하다. 가열에 의한 에멀젼 분리는 합체(coalescence)와 침강(sedimentation)의 두 공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 공정들은 온도에 대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럼으로,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한 에멀젼 분리시 가장 중요한 인자로써 작용하는 온도의 예측은 에너지 절약과 처리비용의 절감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 차분법(finite difference method)에 의하여 마이크로파가 조사된 에멀젼의 온도를 예측하였으며, 이때 연속상(continuous phase)과 분산상(disperse phase) 사이의 온도 차이와 대류(convective) 현상에 의한 공기로의 열 손실(heat loss)은 무시되었다. 에멀젼의 밀도(density)와 비열(specific heat)은 혼합 규칙(mixing rule)에 의하여 계산되었으며, 유전 특성(dielectric properties)들은 Mudget식에 의하여 구하였다. 에얼젼 분리가 이루어지는 50°C이상의 온도에서는 10%이내의 오차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천전리식 주거의 출현과정에 관한 새로운 견해 ― 양구 고대리유적 자료를 중심으로 ―

        홍주희 한국청동기학회 2016 한국청동기학보 Vol.19 No.-

        이 논문은 양구 고대리유적의 자료를 중심으로 북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천전리식 주거의 출현과정을 검 토한 글이다. 이에 앞서 양구 고대리유적에서 조사된 주거지 중 점토다짐구역이 시설되었으나 평면형태상 천전리식 주거와 차이를 보이는 동시에 정형성을 보이는 주거 형태를 고대리식 주거라 명명하였으며, 단계설정과 편년을 통해 고대리식 주거의 시간적 위치를 부여하고 점토다짐구역의 변화가 갖는 의미를 살펴 보았다. 고대리유적은 유물양상을 통해 총 4단계로 구분하였다. 이 중 고대리식 주거는 2단계에 출현해 역삼동식 주거와 공존함과 동시에 천전리식 주거의 이른 형태가 출현한다. 그러나 유물은 여전히 전기 후반의 양상을 보이며 천전리식 주거와 병존하는 3단계에서야 전환기적인 양상의 유물이 확인된다. 이러한 양상 을 종합해 2단계를 전기 후반~중기 전반, 3단계를 중기 전반으로 편년하였고, 고대리식 주거는 천전리식 주거가 정착한 4단계 중기 후반 이후 급격히 소멸한다. 고대리식 주거의 점토다짐구역은 2~3단계를 거치면서 평면형태상 점진적인 변화과정을 겪는다. 특히 주거지 내부 저장공의 위치가 점토다짐구역 외측으로 이동하는 현상과 유물분포양상은 주거의 규모 및 장단비 축소와 점진적인 공간의 기능분화에서 비롯된 점 토다짐구역의 축소와 이동현상으로 파악된다. 이상에서 그간 역삼동식 주거의 영향 하에 자체 발생한 것으로 유추했던 천전리식 주거는 역삼동식-고대리식 ․ 용암리식-천전리식 주거로 이어지는 시간적 ․ 계통적 연결선상에 있으며, 고대리식 주거는 용암 리식 주거와 더불어 천전리식 주거의 출현과정에서 상이한 공간분화를 거친 과도기적 주거형태로 판단된다.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emergence of Cheonjeonri-style dwelling during the Bronze Age with a focus on the materials of Godaeri relics in Yanggu. Before the review, the investigator named the type of dwelling that showed similarities in clay tamping area and working hole arrangement among the dwelling sites in the Godaeri relics in Yanggu the Godaeri-style dwelling. Then, the study identified the time and location of Godaeri-style dwelling and examined the meanings of the changes to the clay tamping area by setting up the stages and recording them chronologically. There were a total of four stages in the Godaeri relics based on the types of artifacts. The Godaeri-style dwelling appeared in Stage 2, claiming its coexistence with the Yeoksamdong-style dwelling. The early version of Cheonjeonri-style dwelling also made its appearance in Stage 2. The artifacts, however, remained in the latter patterns of the early period. It was in Stage 3,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with the Cheonjeonri-style dwelling, that the artifacts of transitional patterns were found. Based on those patterns, the study placed Stage 2 in the section between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period and the former part of the middle period and Stage 3 in the former part of middle period. The Godaeri-style dwelling abruptly disappeared in Stage 4 in the former part of the middle period when the Cheonjeonri-style dwelling appeared in full scale. The clay tamping area of Godaeri-style dwelling went through Stages 2 and 3 and underwent a gradual changing process of planar configuration. The phenomenon of the location of storage hole shifting to the outer part of the clay tamping area within the dwelling site an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artifacts reflect the reduction of dwelling size and aspect ratio and the reduction and migration of clay tamping area associated with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pac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heonjeonri-style dwelling, which used to be estimated to have occurred on its own under the influence of Yeoksamdong-style dwelling, was in the temporal and systematic connection line leading to the Yeoksamdong-Godaeri-style dwelling and Yongamri-Cheonjeonri-style dwelling. The Godaeri-style dwelling is estimated to be a transitional form of dwelling that underwent different differentiation of space in the emerging process of Cheonjeonri-style dwelling along with the Yongamri-style dwelling.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제주민요 지도방안 연구Ⅰ-<서우젯소리>를 중심으로-

        홍주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7 국악교육연구 Vol.11 No.2

        This study aims to find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dentify values of people in Jeju and characteristics of Jeju folk songs from a cultural perspective,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ju folk songs. Currently, the term ‘tori in different regions’ is introduced as a learning element to define musical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during 5th and 6th grades. However, Jeju folk songs have not established the concept of ‘Jeju tori’ that defines their musical features. Therefore, along with instructional contents for jangdan and melodies proposed in the music curriculum, there is a need for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folk songs that contain their regional cultures. As the 2007, 2009, and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place emphasis on values of Korean music and cultural heritage of Korea music in the domain of ‘music in daily life’, research on a teaching method for folk songs should be carried out so that students can learn regional cultures through folk songs and recognize their valu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essential instructional contents for the Jeju folk songs included in six music authorized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It also attempts to cultivate the six key competencies promot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articularly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 musical emotion competence, musical creativity and convergence knowledge competence, from a cultural perspective using the Jeju myths and legends that reveal the life of people in Jeju. And it finally proposes application plans and a teaching method for seoujesori. 이 연구는 제주민요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주인의 가치관과 제주민요의 특징을 문화적 관점에서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초등학교 5~6학년에서 민요의 음악적 특징을 규정하는 용어로 ‘여러 지역의 토리’를 학습요소로 제시하고 있지만, 제주민요는 그 음악적 특징을 규정하는 ‘제주토리’로서의 개념 정립이 미흡한 실정이다.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장단과 선법(가락)의 지도 개념 이외에도 그 지역의 문화를 담고 있는 민요의 다양한 학습 지도 방안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2007 개정, 2009 개정,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생활화 영역에서 우리 음악의 가치, 국악 문화유산 등에 대한 내용이 강조되었다는 점을 볼 때, 민요를 통해 지역의 문화를 바라보고 그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민요 교육을 위한 지도 방안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음악 검정교과서 6종의 제주민요 제재곡에 따른 주요 학습내용을 분석하고, 제주인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제주신화와 전설을 활용한 문화적 관점을 중심으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학교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중점적으로 길러주고자 하는 6가지 핵심역량 중 문화적 공동체 역량, 음악적 감성 역량,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것에 중심을 두었으며, <서우젯소리>의 적용 방안과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신강(新疆) 위구르(维五尔) 12무캄(木卡姆)

        洪周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1

        In the modern global information age, the term Silk Road evokes expressions like multiculturalism, crossculturalism, and transnationalism as well as globalization. As the ancient trade route of the Silk Road transported not only merchandise, but more significantly transferred various artistic and cultural products, in today’s global economy, we continue to witness such exchanges. Todays larger variety and quantity of goods and cultural exchanges are made more instantaneously. Tourism, media, and worldwide websites all contribute toward speedy and complex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he awareness of the interconnections and interdependence of the world we live in motivates both artists and audiences to seek ways to express and experience the common thread that binds together as well as celebrate individual cultural heritage. The 12,000 kilometer route from eastern China to the Mediterranean coast was given the name Silk Road by a German scholar Baron Ferdinand Von Richthofen only as late as the 19th century. Languages scripts, ideas, religions, artistic expressions of various kinds travelled with bales of Silk, precious stones and metals & many natural products. This music of 五尔族(weiwuerzu) had an influence on China and Asian regions and is one of the requisite research task to be investigated in the study of the Korean ancient histor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usic of 五尔族(weiwuerzu) in the Chinese Xinjiang region of the Silk Road that had an influence on Korean ancient music as well as Chinese ancient music. There has been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song, dance and instrument in the musical life of the humankind, and the musical instrument is one part forming the musical culture of the nation.

      • KCI등재
      • KCI등재

        북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전개와 석기제작시스템의 확립

        洪周希 한국청동기학회 2009 한국청동기학보 Vol.5 No.-

        본고는 북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전개와 석기제작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주거지의 구조와 출토유물을 통해 볼 때, 돌대문토기문화, 가락동유형문화, 역삼동유형문화, 각형토기문화 등 다양한 문화요소를 받아들인 전기의 문화는 역삼동유형의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성이 강한 중기의 문화 로 전개되며 후기에 이르러 주거지의 규모가 축소되면서 점토대토기문화와도 접촉한다. 전기 중·후 엽 역삼동유형의 주거지의 내부구조가 노지중심의 구조에서 작업공간이 분리되면서 이색점토구역이 설치되고 취락내에서는 공방지가 성행하게 된다. 즉, 중기에는 이색점토구역이 설치된 주거지와 함께 공방지의 수적 증가가 관찰되고 후기에는 규모가 대폭 축소된 방형주거지가 출현하며 공방지 또한 지 속된다. 이러한 전개과정 속에서 주거지의 내부구조변화와 공방지의 출현이 석기의 제작과 밀접한 관 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접한 석재 산지로부터 조달된 석재의 보관·선별·분할·분배는 공방지에 서 공동작업을 통해, 분배된 석재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석기의 세부제작공정은 개별주거지에서 행 해지는 병행적인 석기제작시스템의 확립과정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석기제작시스템의 확립과정은 건축기술의 차원에서의 주거구조의 변화와 취락내 독립적인 공방지 출현과 관련이 깊으며, 전문생산 체계로의 발전과정에서 과도기로서 농경 위주보다는 다양한 생계활동을 기반으로 삼아 계급사회로 이 행되는 과정으로 파악된다. This thesis i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bronze age community in the North HanRiver Basin and the stoneware production system. The structure of the residential area and exca-vated remains show that the early period culture that accepted diverse cultural factors such asdoldaemun earthenware culture, Galakdong-type culture, top-shaped earthenware culture devel-oped into the middle period culture in which regionalism was strong based on Yeoksamdong-type culture and as the size of the residential area was reduced in the latter period, it came incontact with clay earthen culture.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sidential area in the middleand latter part of the early period, working space was separated from the exposed area structureand novel clay area was established and workshop site emerged within the community. In themiddle period, it is observed that the number of residential areas where novel clay area wasestablished and workshop site increased, and in the latter period, the square residential areawhose size was sharply reduced made its appearance and gonbangji also persisted. It was con-firmed that in this development proces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sidential areas and the riseof gongbngji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stoneware. Storage, selection, division,and distribution of stone supplied from the neighboring stone producing area presented estab-lishment process of stoneware producing system going side by side in the individual residentialarea with detailed producing process of stoneware that selectively used stone distributed throughjoint work in workshop site. I judge that the establishment of stoneware producing system wasfor systematic production of various kind of stoneware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radius of living and the scale of the community from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period. Also,changes in residential structure and the appearance of workshop site were due to the fact thatthe importance producing stoneware was positively reflected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ndthe formation of the community and it is understood as a transitional period of exclusively beingspeci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