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수산과학기술 창업활성화를 위한 기술지주회사 모델 연구

        홍은영,안기돈,김민석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4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8 No.3

        본 연구는 해양수산과학기술 분야의 창업 활성화와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기술지주회사 모델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한국의 공공기술 창업 현황과 정책, 해양수산 시장의 성장 잠재력, 그리고 과학기술의 현재 상태 및 직면한 도전 과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공공기술의 상업화와 창업을 촉진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해양수산 분야는 연구개발 성과의 기술사업화와 창업이 미흡한 상황이기 때문에 기술지주회사 모델을 통한 창업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Isenberg의 창업생태계 모델에 기초하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설문조사를 통해 기술사업화 및 창업 요인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기술지주회사 설립의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해양수산과학기술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 시장, 인적 자본, 지원, 자금, 그리고 문화의 6대 요소가 상호 작용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6대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KIOST 홀딩스'와 같은 기술지주회사의 설립이 요구된다. 정부와 관련 기관은 연구개발 지원 확대, 창업 및 기술사업화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그리고 기술지주회사 및 연구소기업에 대한 법적, 재정적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 창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지주회사 모델의 도입은 해양수산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chnology holding company model to activate entrepreneurship and facilitat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the field of marine and fisheries science and technology.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olicies of public technology entrepreneurship in Korea, the growth potential of the marine and fisheries market, 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faced by marine and fisheries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seeks to explore concrete measures to promote the commercialization of public technology and entrepreneurship in this field. In particular, in the marine and fisheries fiel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entrepreneurship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esults are insufficient, so it is analyzed that revitalization of entrepreneurship through the technology holding company model is necessary. Based on Isenberg's startup ecosystem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startup facto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with researchers at th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and analyzed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a technology holding company.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an integrated approach is needed in which six major elements of policy, market, human capital, support, funding, and culture interact to revitalize marine and fisheries science and technology startups. In order to activate the interaction of the six major components, the establishment of a technology holding company such as 'KIOST Holdings' is necessary. Government and related agencies need to expand R&D support, provide incentives for entrepreneurship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establish legal and financial support systems for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and research-based startups. Such support will lay the founda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marine and fisheries science and technology sector. The introduction of a technology holding company model for activating entrepreneurship in marine and fisheries science and technology is expected to play a crucial role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marine industr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stablishment of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like 'KIOST Holdings' could serve as a foundation for implementing these strategies, marking an important step toward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Korean marine and fisheries science and technology and activating entrepreneurship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this sector.

      • KCI등재후보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홍은영,도미향 한국코칭학회 2017 코칭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대부분의 시간을 자녀와 함께 보내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남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4곳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의 부모와 그 유아를 담당 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부모의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 코칭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에 코칭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영 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과 관계역량 영역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행역량과 의식역량 및 성장역량은 상대적으로 설 명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리더십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코칭역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의사소통 및 관계역량 향상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저비용의 코칭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기회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한다. 본 연구는 부모의 코칭역량이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리고, 부모의 코칭역량을 높이기 위해 코칭교육의 기회를 높이는 사회적 제도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parents coaching competency level influences infant’s leadership development. The sample of this study is the parents and teachers of 336 infants at the ages of 3 to 5 years ol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22.0 for Windows. The summary of the study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parent’s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coaching competency are important for enhancing infant’s leadership. Second, the higher the parent’s education and income level is, the higher the parent’s coaching competence with coaching training participation is. Thus, the development of a coaching training program and the facilitation of coaching training participation opportunities are required. This study has contributed in revealing that parent’s coaching competency can increase the infant’s leadership. Therefore, the enhancement of coaching through education for parents should be supported by the social system.

      • KCI등재후보

        해외 창업교육 사례의 조직생태학적 접근

        홍은영,최종인 K기업경영연구원 2023 KBM Journal(K Business Management Journal) Vol.7 No.2

        전 세계 유니콘 기업 중 가장 많은 수를 보유한 나라는 미국으로 전체 유니콘 기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그 뒤를 중국이 따르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특이점은 무엇일까. 또한 중국이 미국과 유럽등 선진국에 비해 창업교육을 늦게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다음을 이어가는 이유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유니콘 기업의 높은 점유율을 가진 미국과 중국,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EU, 그리고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1인당 창업 비율을 갖는 이스라엘의 창업교육 사례를 분석한다. 이 연구의 목표는 이들 국가의 창업 교육의 특징, 제도, 주요 프로그램 및 대표적인 사례를 창업 생태계 6요소와 조직생태학의 이론적 틀에서 분석하고 고찰함으로써 국내 창업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해외 주요 국가의 기업가 정신과 같은 창업 교육이 창업생태계에 유효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하버마스 이론의 사회 비판 방식과 교육학적 수용 검토 : 초기비판이론의 관점에서

        홍은영 한독사회과학회 202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3 No.2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에서 하버마스 사회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전무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하버마스 이론에 대한 기존의 비판의 연장성 위에서 초기 비판이론의 관점과 연계하여 논의를 확장하고 하버마스 사회 비판 방식의 교육학적 수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하버마스 사회이론은 행위 조정 유형을 목적 합리적 행위와 의사소통적 행위로 구분하고 후기자본주의 사회를 세분화하여 분석하는 특징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 하버마스 이론의 방법론적 성격에 나타나는 비판 전략과 해방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전망의 차원이 검토된다. 하버마스에게 비판의 장소는 “목적합리적 이성”과 “의사소통적 이성” 사이의 갈등에 자리한다. 이때 그의 사회 비판은 “왜곡된 의사소통”을 문제화함으로써 합리적 논증 여부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노동과 상호작용의 분리에 입각한 사회 비판이 어떻게 물질적 생산 영역에서 벗어나려고 하는지 그리고 전 세계적 지배 관계, 즉 생산관계를 도외시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서 근대 이래로 자율성이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다고 보는 하버마스의 분석이 갖는 인식론적 취약성을 지적하고, “의사소통적 행위” 개념으로 요약 가능한 그의 이론이 사회적 총체성의 문제로부 터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주목한다. 이러한 논의로부터 사회 및 교육비판에 있어 이상적 담화상황을 통해 규범적 근거를 확립하는 도덕철학적 전환의 한계를 짚어보고, 지배 상태로의 주체 자신의 편입을 부단히 성찰하는 내재적 비판의 중요성을 도출한다. 논의를 종합하면서 하버마스 이론이 주체의 비판에 관여하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 행위의 맥락을 지배하고 있는 부정성을 경시하고 있는 문제에 직면해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fact that in pedagogical research, there are no critical reviews of Habermas' social theory. In a further continuation of the existing criticism of Habermas' theory, discussions are extended, st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criticism, and pedagogical acceptance of Habermas’ theory of social criticism explored.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s the two-level social theory that is extensively discussed in the works of Habermas. The social theory of Habermas divides action adjustment into goal rational action and rational communicative action, and segments late capitalist societies. Next, this study makes a positive review of criticism strategy and liberation possibility in his theoretical methodology. The criticism of Habermas lies between goal rationality and communicative rationality. His social criticism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rational argumentation by exploring distorted communication. Moreover, this study discusses how his social criticism based on the separation of labor and interaction deviates from the materialistic productive domain, and disregards the universal domination relationship, that is, a productive rel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points to epistemological vulnerability in his argument that autonomy increased in modern times, and notes that his theory summarized as the rational communicative action concept involves an issue in social totality. This study clarifies the limitations of the moral and philosophical transition that constitutes a normative foundation through ideal discourse in social and pedagogical criticism and derives the importance of immanent criticism that constantly contemplates the incorporation of the governed subject itself. In summary,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theory of Habermas is not involved in criticism of the subject and overlooks the negativity that affects the context of educational acts.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서 ‘연대’(solidarity)개념의 비판적 성찰과 교육의 과제 -하버마스의 이론과 ‘인종주의 비판’의 관점을 중심으로-

        홍은영 한국교육철학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2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previou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solidarity and discuss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immigration, thereby identifying tasks for educational purposes. In the present day, society is pluralized owing to asylum and immigration; the limited viewpoint focusing on one's own culture is problematized while the education of solidarity with others is emphasized. Though solidarity is an aim of education, it is critical to unceasingly reflect on whether such education does not marginalize the minorities betraying its original intention. As long as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ditions that cause racism persist, the idea of solidarity is compromised. Building on such critical awareness, this study first discusses Habermas' theory that identifies the relationship of mutual recognition in an ideal community grounded on rationality. While Habermas' idea of solidarity emphasizes conversations with others and the tolerance of differences, it may implicate a form of solidarity of familiar people unnoticeably and categorize and fixate the difference into 'culture'. Furthermore, it neglects the power structure that works inside the community of communic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the criticism on racism. This concept sustains the universal position to defy racism; yet, it also requests subjects criticizing the racism to constantly reflect on how they themselves are related to the racism. From the critical view of racism,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may be found by perceiving its limitations and understanding unequal social structures. Thus,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 needs to provide venues for sharing experiences of disparity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of solidarity, to examine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close relation of differences, power, and solidarity, and to emphasize the ideology of equality. 본 연구는 이주의 관점에서 기존의 연대 개념의 이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연대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함으로써 교육의 과제를 도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오늘날 망명과 이주 현상으로 인해 다원화된 사회에서 자문화중심의 제한적 관점은 문제시되고 있고 타자와 함께하는 연대성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연대는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이지만, 그러한 교육이 현실에서 본래의 의도와는 반대로 소수자를 지속적으로 주변인으로 전락되게 만들지는 않는지 부단히 성찰하는 일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인종주의를 조성하는 사회 역사적 조건이 지속되는 한, 연대의 이념은 균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먼저 상호 인정의 관계를 합리성에 기반을 둔 이상적인 공동체에서 파악하는 하버마스의 이론을 논의하였다. 하버마스 연대 구상은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와 차이의 포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친숙한 사람들 간의 연대의 형태를 은연중에 내포하고 있으며 차이를 ’문화‘의 범주로 규정하고 고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의사소통공동체 내부에 작용하는 권력구조를 소홀히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인종주의 비판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 용어는 인종주의를 타파하기 위해 보편적 입장을 견지하되, 인종주의를 비판하는 주체 스스로가 인종주의에 관련하고 있는 측면에 관한 지속적인 성찰을 요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인종주의 비판의 관점에서 보면, 연대의 가능성은 불평등한 사회 구조를 간파함으로써 연대의 한계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논의로부터 연대의 이상과 현실 간의 불일치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을 마련하고, 차이와 권력의 밀접한 관계와 연대의 사회적 조건을 항상 고려하고 평등의 이념을 강조하는 것을 교육의 과제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술기반 창업기업 중심의 벤처우대제도 법령에 관한 연구

        홍은영,안기돈,성을현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2

        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 진입에 발맞추어 벤처기업을 둘러싼 사업 환경도 급변하고 있다. 최근 정부는 이에 대응하고자 벤처기업의 유형과 대상범위의 확대 등 벤처확인제도를 개편 시행한 바 있다. 본 연구는 기술기반 창업기업 시점에서 현재의 벤처 우대제도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본 제도와 관련한 시행령 등 법제도 개선 시 필요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가법령정보센터와 대한민국법원종합법률 웹페이지에서‘벤처’를 키워드로 한 탐색을 통해 569개의 관련조항을 확인하여 분석하였고, 569개의 조항에 대한 혜택을 분석하기 위해 규정근거별, 수단별 및 내용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규정근거별 분석결과에 의하면 너무 많고 복잡한 볍령체계 때문에 벤처우대제도를 인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혜택수단별의 경우 우대확대가 매우 적고 부담완화에 치중되어 있다. 혜택내용별로는 재무와 생산 분야의 혜택에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네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매우 복잡한 벤처우대관련 조항의 현실적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새로운‘벤처우대제도’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부담완화에 치중된 혜택수단을 기업성장을 촉진시키는 우대확대 조항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재무와 생산분야에 치우친 혜택내용을 연구와 인력을 확대하고 시장개척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벤처우대제도의 사각지대를 발견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In the rapidly changing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business environment surrounding venture companies is also changing rapidly. In recent years, the government has reorganized the venture verification system, including expanding the types and scope of venture companies.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venture preferential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based start-up companies and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a plan for improving the legal system. For analysis, The relevant provisions were confirmed through a search using “venture” as a keyword in the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and the Korean Court of General Law. Then, meaningful texts were extracted along with relevant data to secure basic data and analyzed by benefits, by means and by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Venture preferential treatment system is focused on 'reduction of burden' by the means of benefits, and on ‘financial’ and 'production' by benefits. In conclusion, four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presented. First,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venture-related clauses. Second, the venture preferential treatment system is mainly focused on mitigating the burden, so efforts are needed to find a balance. Third, the venture preferential treatment system is mainly focused on the 'non-research' field, so the benefits of the 'research' field should be expanded. Finally, efforts to discover and overcome blind spots in the venture preferential system should be supported.

      • KCI등재

        우리시대의 죽음담론에 대한 시론- 푸코의 담론이론과 아리에스의 ‘죽음의 역사’를 통하여 -

        홍은영 한국의철학회 2013 의철학연구 Vol.16 No.-

        이 글은 오늘날 우리시대에 경험하는 죽음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과정 및 체험이 보편적인 것인지 아니면 우리시대에 특수한 담론에 불과할 뿐인지를 푸코의 담론이론과 아리에스의 ‘죽음의 역사’를 통해 그 접근가능성을 탐색해봄으로써 우리시대의 죽음담론이 자리하고 있는 지형도를 드러내보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죽음이라는 인간 삶의 한 지점을 사회가 어떻게 조망하고 구성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프랑스의 역사학자인 아리에스에 의해 고증된 죽음에 관한 역사 자료를 푸코의 관점에서 재검토하여 그 의미를 따라가 봄으로써 죽음담론이 형성하는 우리시대의 현상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검토과정은 계몽주의 이념아래 과학적 계량화 과정에서 죽음에 관련된 담론들이 어떤 변화를 겪게 되는지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추적 과정은 우리가 과거의 지배적 관점에 동화되지 않고 현재를 바라볼 수 있는 계기와 가능성을 열고, 현재 우리가 죽음 담론과 관련하여 ‘참’으로 받아들이는 지식과 절차 속에 내재되어 있는 잠재적 문제점을 드러낸다. 이러한 문제제기는 우리 사회에서 앞으로 증폭될 죽음 담론에 대한 다양한 논의의 시발점과 토대로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산학협력 코디네이터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홍은영,최종인,Hong, Eunyoung,Choi, Jong-I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1

        산학협력의 성공요인 중의 하나인 "산학협력 코디네이터"를 통하여 기업은 대학 연구기관과의 밀접한 협력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지속적인 성장을 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수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공요인 분석을 통해 산학연관 각 주체간에 산학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협력 코디네이터의 개인역량으로서 업무적극성은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인 과제규모와 기술DB 발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기관의 지원의지로서 센터직원 수의 확보는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인 과제규모, 코디네이터 과제도출, 신임교수 참여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기업 교류 정도는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인 과제규모, 기술DB 발굴, 신임교수 참여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개인적인 역량 중 조직유지와 센터장의 리더십, 지자체의 지원의지는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관심과 확대를 통하여 더 적극적인 지원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enterprise to strengthen growth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rough close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how to seek more participation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rom Industry,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and Government (I-U-R-G) using success factor analysis of "Excellent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ordinator".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indicated that Coordinator' business aggressiveness positively affect the volume of business and technology DB excavation. Second, it i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agency staff positively affect the volume of business, the number of Project derived by Coordinator and new professors participation rate. Third, it is indicated that the Fellowship of the Enterprises positively affect the volume of business, technology DB excavation and new professors participation rate. Lastly, it is indicated that organization maintains, center chapter leadership, and local government'commitment don't have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I-U Cooperation of SM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ope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that affect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SMEs, I-U cooperation coordinator needs more continuous attention and support from Industry, University, Research institution, and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