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구려 율령의 형식과 제정방식

        홍승우(Hong, Sueng-woo)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6

        <집안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에는 왕릉 수묘제와 관련한 법제의 제정과 시행 과정에 대한 정보가 실려 있어서, 고구려 율령의 제정방식과 형식에 대한 단서를 찾을 수 있다. 왕릉 수묘와 같이 특정한 사안 내지는 분야에 대하여 왕명인 ‘敎’로 법령이 발포되는데, 그중에 항구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는 일부가 내용을 보완하고 문구를 수정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율과 영으로 만들어졌다. 율이 기본적인 법제로서의 성격이 강했고, 영은 수시로 발포될 수 있는 시의성이 있어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모두 특정 사안에 대한 단행법의 성격이 강하고 기본적으로 왕명 ‘敎’를 근간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율과 영에 큰 차별성은 없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고구려 율령의 형식과 제정방식은 태시율령 이후 중국 왕조의 율령보다 진한대 율령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The inscriptions written on Jian-Goguryeo-Stele(集安高句麗碑) and King Gwang’gaeto-Stele(廣開土王碑) have provided some useful informations about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process of legislation of Goguryeo. Laws and regulations for specific cases, such as system for managing royal tombs, are promulgated by royal order called Gyo(敎), and some parts of them which need to be permanently taking effect became Ryeong(令) and Yul(律), through the process such as to modify the text or complement the contents. Yul of Goguryeo had strong personality as the basic legislation. By comparison, Ryeong was promulgated to amended or extended Yul when necessary. It looks like that there was big difference between Yul and Ryeong. But Yul and Ryeong had almost same form and enactment process. It means that there was no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m. These enactment process and form of Goguryeo’s Yul-Ryeong were similar to Qin(秦) and Han(漢) Dynasty’s.

      • KCI등재

        6세기 신라 干群 경위의 구성과 성립과정

        홍승우(Hong, Sueng Woo)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1

        6세기대 신라 금석문에 나오는 간군 경위 관등을 분석하여, 당시 관등의 구성과 그 성격을 규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신라 경위의 성립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율령 반포를 전후해 건립된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의 비문과 창녕비 등 진흥왕대 비문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주변국의 사례를 포함한 여러 문헌자료를 종합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에서 왕과 함께 국정을 이끌어나갔던 6부의 핵심지배층들에게서 두 종류의 관등이 확인되었다. 하나는 喙․沙喙部인들만이 가지고 있었던 경위 관등으로, 阿干支와 그 하위 某干支관등들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여타 4부의 수장 및 유력자들이 소지한 것으로, 干支와 壹伐등으로 구성되었다. 율령 반포 당시의 간군 경위 관등은 太阿干支이하의 5개 등급이 중심이었으며, 이는 신라 마립간 아래의 喙․沙喙部유력자들을 서열화 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 것이었다. 그에 비해 상위 4개 간군 경위는 太阿干支이하 간군 관등과 동일한 성격의 것이 아니라, 6부를 구성하던 여러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에서 유래한 위호인 干支들 사이의 위계가 반영된 전통적 위호였다. 형식적으로는 이들 위호가 喙․沙喙部에 적용되었던 경위 관등 보다 상위의 지위였지만, 이들이 당시 하나의 관등제로 동일하게 기능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에 비해 진흥왕대인 6세기 중반의 금석문들에서는, 상위 간군 경위가 阿干支등과 같은 성격의 관등으로서 기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과 달리 干支와 壹伐로 구성된 부별 독자 위계제는 사라지고, 6부인 전체가 경위 관등을 소지하는 변화와 함께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6부 干支들과 壹伐등의 유력자층을 경위 관등에 모두 포괄하기 위해, 최상위 간군관등을 증설하면서 경위가 완성된 것이다. 다만 최상위 4개 간군 경위 관등은, 이전에 존재하던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인 간지들을 서열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옛 위호를 그대로 계승한 것은 아니며, 경위의 고위 관등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것이다. 이로써 신라 경위 17관등이 완비되었다. This paper analyzed Inscriptions of Silla stele in the 6th Century, such as Pohang Jungseongri Stele, Pohang Naengsuri Stele, Uljin Bongpyeongri Stele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to reveal the constitution and the nature of the top 9 Official rank of the Silla Dynasty’s Governmental Ranking system called Gyeong-wi. And based on it, reconstruct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Gyeong-wi.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re were two kinds of Governmental Ranking system for the ruling classes of Silla 6bu around 520’s, when King BeobHeung declared the law codes called Yul-Ryeong. One was a system that is limited to WheBu and SawheBu. It was composed of only 5 lower top rank, named DaeArGanji, ArGanji, IlgilGanji, SaGanji, GeobeolGanji, out of 9 top rank. The other one was for the ruling classes of 4bu except Whe and Sawhe among the Silla 6bu. It was composed of Ganji and Ilbeol which means Chief of bu and top position under the chief. At that time, the Gyeong-wi was not completed, and it was not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in the Silla 6bu.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t the reign of King Jinheung, new 4 high-top Official rank had been added on top of existing ranks. Finally, Gyeong-wi had been completed with 9 upper grades and 8 lower grades. And also it had been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of Silla Dynasty.

      • KCI등재

        百濟 律令 반포 시기와 지방지배

        홍승우(Hong Sueng-Woo)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4

        백제 율령 연구는 그간 일본에서의 ‘율령국가’ 논의를 기반으로 주로 중앙통치제도와 연관하여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한국고대사에서 율령 반포를 전후한 변화양상을 검토해 보면 중앙통치제도에서는 획기적인 변화양상을 확인할 수 없다. 오히려 지방지배에서 ‘공납을 매개로 한 간접지배’에서 지방관 파견 등을 수반한 직접지배로 전환하는 것이 확인된다. 이것은 율령의 도입이 중앙정치제도의 정비를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전국을 일원화하는 지배방식을 구축하여 제민지배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이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백제 율령의 반포시기는 일원적 지방지배가 이루어지는 시점이라고 추정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오방제가 시행되었던 사비기에는 율령적인 지방지배가 이루어지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그 이전의 웅진기에도 지방민들의 편호와 인력동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율령에 기반한 지방지배가 제도적으로는 성립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전국을 일원화하는 지방지배는 한성기에 이미 시작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구체적인 시기를 검토해 보자면, 기존에 율령의 반포시기로 많이 주목되었던 4세기 근초고왕-근구수왕대는 왕권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집권적인 통치제도의 성립은 인정되는 바이지만, 율령 도입의 목적으로 보이는 전국을 일원화하는 직접지방지배가 확인되지 않아 제외된다. 여기에서 주목되는 것은 개로왕대의 지방명을 관칭하는 왕후의 존재이다. 이 왕후제는 일원적인 지방지배의 한 지표라 할 수 있는 지방관 파견의 한 유형으로 보인다. 따라서 개로왕대에는 율령이 도입되어 지방에 대한 직접 지배를 지향하는 체제가 성립하였다고 여겨진다. 다만 개로왕대 이후 웅진기까지 그러한 율령적 지방지배가 고고학적으로 확인되지 않는데, 이는 제도적으로 일원적 지방지배가 성립해 있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라, 백제가 일시적으로 국망하면서 제도를 실제로 관철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Studies of the Baekje dynasty's Yul-Ryeong Statute have been mostly examined the issue of the dynasty's central ruling system. Yet examination of certain changes that the ancient states went through during the ancient period of Korea and around the time of statute promulgation, reveals no noticeabl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central ruling system of the dynasty. In fact, it seems that at the time indirect ruling of the local regions(through the 'practice of tributary items submission') was transformed into a direct ruling(with the dispatching of officials from the center of the dynasty). This shows that the promulgation of a statute was not for consolidating a central ruling system, but was actually for the task of creating a unitary ruling method for the country and accomplishing general governing of all the people. So, the time of the Baekje dynasty's statute promulgation must have been around the time when a unified and unitary local ruling was accomplished. From that perspective, it seems that during the Sabi period, when the 5-bang system was employed, a local ruling based upon law codes(statute) was in effect. Even in the earlier Wungjin period it is confirmed that local residents were being organized into Pyeon-ho units and were being mobilized in group labor efforts, so we can surmise that a local ruling based upon law codes were already established in administrative terms around that time. The unitary local ruling seems to have initiated already during the Hanseong period. What should be noted are the Wang-Hu entities, which was an official title for the local areas' names during the Gaero-wang period. This Wang-Hu institution must have been a form of official dispatching from the central to the local regions, a barometer of its own right of a unitary local ruling system in its developing phase. So it seems that before or during the reign of Gaero-wang, law codes were promulgated and a system aiming for direct ruling of local regions was established.

      • KCI등재

        〈集安高句麗碑〉에 나타난 高句麗 律令의 형식과 守墓制

        홍승우(Hong, Sueng-Woo) 한국고대사학회 2013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2

        새롭게 발견된 〈集安高句麗碑〉는 高句麗의 律令과 王陵 守墓制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집안고구려비〉에 나타난 고구려의 令은 왕의 敎를 법제화한 단행법령과 그 단행법령들을 집성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황제의 詔令을 법제화한 중국 秦漢代 법제와 유사한 측면이다. 고구려의 律 역시 수묘제와 관련한 행정법규적인 성격의 것이 있었음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율이 형법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법제 혹은 법전의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확인시켜 준다. 이 역시 진한대 법제와 같다. 따라서 고구려 율령은 그 형식적인 측면에서 진한대 율령과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고구려가 일찍부터 樂浪郡 등 중국 군현과의 교류 속에서 중국 법제를 도입하여 자신들의 상황에 맞게 변용하여 사용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 〈집안고구려비〉로 인해 〈廣開土王碑〉에 기재되어 있는 守墓人烟戶에 관한 법령들의 제정 목적과 순서, 그리고 수묘역 수행 인원수가 분명해졌다. 廣開土王代에 수묘인 연호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수묘인 烟戶頭의 이름을 새긴 석비를 세웠고, 또 수묘인의 매매를 금지하는 법령을 제정하였다. 하지만 수묘인을 체계적으로 차출하는 규정이 마련되지 않아 문제 발생의 소지가 있었기 때문에, 광개토왕의 유교를 받은 長壽王이 고구려 전역에서 수묘인연호를 차출하는 규정을 제정하여 〈광개토왕비〉를 통해 공시하였던 것이다. 아울러 광개토왕대까지 수묘역 수행 단위가 20가였던 것이 30가로 변화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Newly discovered Jian-Goguryeo-Stele(集安高句麗碑) has provided new informations about Law Codes(Yul-Ryeong/律令) and System for guarding and managing royal tombs called Sumyoje(守墓制) of Goguryeo. Ryeong(令) described upon Jian-Goguryeo-Stele was Royal order(王敎) refined into a form of legal clause and assembles of that. So we can call it GyoRyeong(敎令), and it is similar to the Qin(秦) and Han(漢) Dynasties’ Ryeong. Yul(律) written on the stele did not mean only penal code, administrative regulations were also included in it. This is also similar to the Qin and Han Dynasties’ Law system. Thus Goguryeo’s Law Codes, which can find out from the formal aspects are similar to the Qin and Han Dynasties’ Law Codes. Jian-Goguryeo-Stele also shows the change of Goguryeo’s Sumyoje. It tells to us the sequence and purpose of the enactment of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the households assigned to the task of guarding and managing the royal tombs, called Sumyoin-Yeonho(守墓人烟戶), written upon King Gwang’gaeto-Stele(廣開土王碑). First, King Gwang’gaeto make a stone monument carved the name of the Head of Sumyoin-Yeonho in order to prevent the confusion of tending tombs. Then also promulgated regulation to prohibit the buying and selling of Sumyoin-Yeonho. But In spite of these enactment of legislation, the problem still remained in Sumyoje. Because there was no provision to mobilize Sumyoin-Yeonho systematically, If some trouble happens to Sumyoin-Yeonho, Sumyoje does not work correctly. King Gwang’gaeto pointed that problem, and his son King Jangsu(長壽王) promulgated provision to mobilize Sumyoin-Yeonho from entire territory of Goguryeo, At that point, the number of Sumyoin-Yeonho increased from 20 to 30.

      • KCI등재

        「佐左官貨食記」에 나타난 百濟의 量制와 貨食制

        홍승우(Hong Sueng-Woo) 한국목간학회 2009 목간과 문자 Vol.4 No.-

        百濟 量制는 그간 사료의 영성함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백제 木簡들이 속속 발견되면서 백제 양제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支藥兒食米記」 목간은 일별 식미 분급량을 정리한 것인데, 여기에 大升·小升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백제가 사비시기에 양제를 개혁하여 대용량 양제로 전환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용량 양제와 관련해서는 「佐官資食記」 목간에서 보다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좌관대식기」에서는 升 단위를 숫자로 표시하지 않고 半·甲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半은 5升(1/2斗)을, 甲은 2.5升(1 /4斗)을 뜻하는 용어였다. 이는 기존 단위 2.5升을 기준단위로 하는 새로운 단위량이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사비기 백제에서 기존양제를 2. 5배 늘린 양제가 시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양제의 변화는 백제 사회 내부의 절실한 필요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중국의 제도문물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양제 변화가 수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좌관대식기」에서 升 단위는 대용량으로 변화했으나, 斗 단위는 여전히 기존의 소용량 단위가 그대로 사용된 것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한편 「좌관대식기」를 통해 백제에서 ‘貨食’이라고 부르는 일종의 賑恤制度가 시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농경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시행되었던 救荒 정책의 일종으로 백제에서는 정연화된 제도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Due to lack of sufficient data, not a lot of studies have been done upon the scaling system of the Baekje dynasty. Yet recently found, many pieces of wooden strips fashioned by the Baekje people seem to be changing all that. For example, a wooden strip entitled ‘Jiyag'a Shikmi-gi(支藥兒食米記)’ reveals, how a supply of edible rice was distributed to the people on a day-to-day bas is, and it also lets us know that scaling units such as ‘Dae-seung/大升’ or ‘So-seung/小升’ were used at the time. This again means that the Baekje people actually turned to a larger-sized scaling system, during the Sabi-capital period. We can secure more information regard ing this larger-sized scaling system from a wooden strip entitled ‘Jwa'gwan Daeshik-gi(佐官貨食記)’. In this ‘Jwa'gwan Daeshik-gi’ strip, we can see that, instead of an ordinary ‘Seung/升’ system to indicate measurements, units like ‘Ban/半’ and ‘Gab/甲’ were being used at the time ‘Ban(半/Half)’ was an equivalent of 5 Seung/升 units(which could also be measured as 1/2 Du/斗 units), while ‘Gab(甲/Quarter)’ could be translated into 2.5 Seung/升units(which was the same of 1/4 Du/斗 units). This shows us that a new standard measuring method based upon 2.5 units of the traditional Seung/升 unit was adopted and being used at the time. In other words, we can see that the scaling system of the Sabi period featured 2.5 times of enlargement compared to the previous scaling system. This kind of change in the scaling system may not have been derived out of the internal needs of the Baekje society. It rather seems like a result that came from the Baekje people's embracement of the Chinese culture and all the institutions. We can see that from ‘Jwa'gwan Daeshik-gi’ again, as the Seung/升 unit was clearly modified into a larger one, while the Du/斗 unit still remained as a minor unit from the earlier periods. Also, from ‘Jwa'gwan Daeshik-gi’ we can confirm that a social relief order referred to as ‘Daeshik(貨食/lending food)’ was issued throughout the Baekje society at the time. Social relief policies targeting years that saw particularly low harvests were rather typical in the history of East Asia, and we can see that Baekje had a rather refined and institutionalized one.

      • KCI등재

        경산 소월리 목간의 내용과 성격

        홍승우(Hong, Sueng Woo)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1 동서인문 Vol.- No.16

        이 논문은 경산 소월리 유적 출토 신라 목간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새로운 판독을 통해 그 서식과 내용을 파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목간의 성격과 작성 목적에 대한 단서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간은 기본적으로 ‘지형(+上·下)+田·畓+숫자(+結·負)’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전답의 위치와 면적을 정리한 장부이다. 또 ‘得’과 ‘買’자를 통해 전답의 변동 사항도 정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라 호적류 문서에서 토지에 대한 정보를 발췌하여 정리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목간을 통해 신라가 농지들의 구체적 위치와 면적을 철저히 파악하고 관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재된 전답의 면적을 고려할 때, 촌 이상 행정단위 전체 전답의 집계 장부로 보기는 힘들며, 어떠한 가호나 관청 등의 기구에서 보유한 혹은 관리하는 전답의 위치와 면적을 정리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 다만 그 형상을 볼 때, 조세 수취 등을 위한 공적인 정식 장부라기보다는, 해당 전답을 경작하거나 관리하는 데 활용하기 위한 임시 장부였을 가능성이 크다. This paper is a basic study of the Wooden Tablet excavated at the Sowol-ri site in Gyeongsan, wherein the Chinese inscriptions are deciphered and analyzed to propose a reading of the contents. The Wooden Tablet follows the document format, indicating the ‘place name + location [on(上) · under(下)] + farmland type [upland field (田) · paddy field (畓)] + field size [GyeolBu (結負)]’. In other words, it constitutes a book that summarizes the details of the location and area of a specific field. In addition, a change in ownership is recorded on the Wooden Tablet. It is presumed that this is an extract of information on the farmland in the documents of a Silla family register. However, considering the area of the fields listed, it is difficult to assert whether the document refers to the entire farmland of the village (村) or a higher local administrative unit. In that sense, it can be describe as a tentative book on farmland owned or managed by a certain individual or government office.

      • KCI등재

        『三國史記』 職官志 武官條의 기재방식과 典據資料

        홍승우(Hong, Sueng Woo)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7

        이 논문은 『三國史記』 職官志武官條의 형식과 기재방식을 검토하여, 그 전거자료의 종류와 성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관조는 侍衛府, 諸軍官, 凡軍號, 衿ㆍ軍官花의 네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시위부는 직관지 상ㆍ중의 관부들과 동일한 형식과 기재방식을 가지고 있어 같은 성격의 전거자료에 의거했다고 볼 수 있다. 제군관 항목은 군관직별로 정원과 연혁, 군단별 배속 인원, 착금 여부, 임명가능관등을 기술하고 있어, 관부를 기준으로 정리되었던 직관지상ㆍ중과 다른 형식을 가진다. 하지만 구성 내용이나 기재방식은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또 기본 전거자료가 특정 시점의 일괄 자료가 아니라, 개별 군관직 혹은 일련의 군관직군별로 있었던 것도 직관지 상과 유사하다. 따라서 제군관 항목의 기본 전거자료 역시 직관지 상ㆍ중과 유사한 ‘격’ 형식의 법 조문 혹은 그것을 정리한 자료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기본 전거자료 이외에 착금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추가 자료도 사용되었다. 범군호 항목은 군단에 대한 규정인 법 조문 자체가 주요 전거자료이며, 금색에 대한 내용을 가진 추가 자료를 주로 활용하여 내용을 보강하였다. 금ㆍ군관화 항목은 제군관 항목과 범군호 항목의 내용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한 추가 자료였기에, 무관조에 들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nature of the original sources of the third volume of Samguksaki(三國史記) Jikgwanji(職官志). The third volume of Jikgwanji have several topics. This study only treated military organization part. The military organization part also contains four different articles which are Siwibu(Royal Guard), military officers, military forces, Decoration material for officers and forces. Article of Siwibu has almost same contents and description style with the first and second volume. So the original sources may be the same too. The Contents of article of military officers are information about military officers such as assigned number for each force, governmental rank and history. Article of military forces contains information of 23 military forces such as organization, history and color of Geum which is decoration material for forces. These articles looks like have different style of description compare to first and second volume’s. But the contents are similar and also there are some common form of description appears. So the original sources of these articles have similar nature with the first and second volume’s. And These articles have main original source and additional ones. Main sources would be Gyeok(格), which were essentially royal orders refined into a form of legal clauses about military officer and forces. Additional sources provide information about history and Geum. The last article of miliatry organization part would be the additional source.

      • KCI등재

        창녕 교동11호분 출토 명문대도 재검토

        홍승우(Hong, Sueng-Woo)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1

        이 논문은 고대 창녕 지역의 성격과 정치체의 실체를 밝히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창녕의 출토 문자 자료인 창녕 교동11호분 출토 명문대도를 다시 살펴본 것이다. 이 명문대도는 한반도에 있는 유일한 삼국시대 명문도검으로서 그간 많은 주목을 받았고, 고대 창녕의 성격과 역사·문화적으로 신라에 귀속되는 시점에 대한 단서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정밀한 검토와 분석을 위한 자료가 부족하여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기 힘든 측면이 있었다. 근래에는 한반도 제작 상감대도에 대한 고고학적 분석이 이루어지면서, 그 제작 시기와 제작지에 대해 의미있는 연구의 진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고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백제 혹은 가야와의 관련성이 강조되면서, 상대적으로 신라와의 관계를 부정하는 경향이 강하였고, 그 결과 신라와 연결될 수 있는 요소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부족한 한계가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 의식 하에 먼저 새로운 시각 자료를 가지고 판독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8자로 글자수를 수정하였고, 판독을 확정하였다. 아울러 명문은 특정한 인물이나 행위를 기술한 것이 아니라, 범용적인 길상구였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더하여 원두 장식과 각자 양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신라와의 관계 속에서 창녕 지역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This paper is a part of the work to clarify the character of the ancient Changnyeong area and the substance of the political group. To achieve that purpose, I try to review the Grand Sword with inlaied chinese characters and circle pommel which excavated from Gyodong tomb no.11. Until now, many researchers paid attention to it, so there were not a few studies, but there are also difficult points in which sufficient results have been accumulated. This is because it is a unique material that cannot be founded in other areas, and it was difficult to research.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existing research on this sword, and read the inscription on it, and reconsidered the maker and giver of it.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there were 8 inlaied chinsese characters on the Sword and they were just auspicious phrase. And also it was revealed that the maker and giver of the sword could be related to Silla dynasty not Bakje or Gaya.

      • KCI등재

        扶餘 지역 출토 백제 목간의 연구 현황과 전망

        홍승우(Hong, Sueng-woo) 한국목간학회 2013 목간과 문자 Vol.10 No.-

        1983년 부여 관북리에서 최초로 백제 목간이 발견된 이래, 백제의 마지막 수도였던 부여 지역에 있는 궁남지 유적, 쌍북리, 능산리사지, 동남리, 구아리 등에서 계속해서 목간들이 출토되고 있다. 지금까지 공개된 부여 지역 출토 백제 목간 중 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62점 정도이다. 그 숫자가 많지는 않지만, 소략한 사료로 인해 한계가 있었던 백제사 연구에 큰 활력이 되고 있다. 부여 지역 출토 백제 목간에 대한 연구들은 다양한 방면에서 이루어졌는데, 사비도성의 구조에 대한탐색, 율령이나 지방제도와 같은 백제 제도의 복원, 일본 목간과의 비교 검토를 통한 국제 교류의 양상 파악 등이 주요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향후 추가적인 백제 목간의 출토가 기대되는데, 앞으로 백제 목간 연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선행 성과들을 종합하는 정리 작업이 필요하다. 이 글은 그 작업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Baekje wooden strip was found in Puyeo(扶餘) Gwanbukri(官北里) in 1983, for the first time. Since then, Baekje wooden strips have been found continuously in Puyeo area, which was the capital at the end of the Baekje dynasty. Gungnamji(宮南池) ruins, Ssangbukri(雙北里), Neungsanri(陵山里) temple ruins, Dongnamri(東南里), and Guari(舊衙里) are major findspot. Until now, a number of Puyeo area excavated Baekje wooden strips that we can recognize characters on it is about 62. It is not a large number. But They are very valuable historical materials in the study of Baekje history. So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them. And there have been many achievements. Research of structure of Sabi(泗?) Capital city, Restoration of Baekje system, such as Yul-Ryeong(律令) and local ruling system, and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through comparison with Japan wooden strips are major achievements. This article is created to organize the contents of Puyeo area excavated Baekje wooden strips and summarize studies about them so far. It would be useful for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