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loning and Identification of Essential Residues for Thermostable β-glucosidase (BgIB) from Thermotoga maritima

        홍수영,조계만,김용희,홍선주,조수정,조용운,김훈,윤한대,Hong, Su-Young,Cho, Kye-Man,Kim, Yong-Hee,Hong, Sun-Joo,Cho, Soo-Jeong,Cho, Yong-Un,Kim, Hoon,Yun, Han-Dae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7

        A hyperthermophilic bacterium Thernotoga maritima produced thermostable ${\beta}-glucosidase$. The gene encoding ${\beta}-glucosidase$ from T. maritima MSB8 was cloned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he en-zyme (BgIB) hydrolyzed ${\beta}-glucosidase$ linkages between glucose and alkyl, aryl of saccharide groups such as salicin, arbutin, and $_pNPG$. The insert DNA contained ORF with 2,166 bp encodes a 721 amino acids (calculated molecular mass of 80,964 and pl of 4.93). The amino a.id sequence of BglB showed the similarity to family 3 glycosyl hydrolase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enzyme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81kDa by MUG-nondenaturing PAGE (4-methylumbelliferyl 13-D-glucoside-nondenaturing polyacrylamide gel electophoresis) and SDS-PACE. The ${\beta}-glucosidase$ exhibited maximal activity at pH 7.0 and $80^{\circ}C$. By exchanging two possible residues (Glu-232 and Asp-242) to Ala by site-directed mutagenesis method, it was found that these were essential for enzymatic activity. 초고온성 세균인 Thermotoga maritima로부터 ${\beta}-glucosidase$ 유전자를 클로닝한 후 대장균 숙주에서 발현시켰다. 이 효소는 salicin, arbutin, $_pNPG$과 같은 탄소원의 ${\beta}$-글루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하였다. 721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2,166 bp의 DNA 염기서열로된 유전자이였다. 다른 ${\beta}-glucosidase$ 효소들과 단백질 유사성을 비교한 결과 glycosyl hydrolase family 3에 속하였으며 MUG-nondenaturing PAGE와 SDS-PAGE에 의해 확인된 단백질의 크기는 약 81 kDa이었다. 효소활성은 pH 7.0, $80^{\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이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는 두 개의 아미노산 잔기 (232번 글루탐산과 242번 아스파르트산 잔기)를 알라닌으로 치환시켜 활성이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이 두 잔기가 효소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연결어미 ‘-(으)면’, ‘-(으)면서'의 ‘ㄴ’ 의미 기능 분석

        홍수영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硏究 Vol.43 No.-

        이 논문은 연결어미 ‘-(으)며’에서 ‘-(으)면’과 ‘-(으)면서’로의 형성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으)면’과 ‘-(으)면서’의 ‘ㄴ’이 보조사 ‘은/는’에서 온 결과임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서론에서는 표준국어대사전 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어미 ‘-(으)며’, ‘-(으)면’, ‘-(으)면서’의 의미를 분석하고, 각각의 의미에 따른 용법들을 살펴보았다. 둘째, 2장에서는 선행 연구에 기대어 연결어미 ‘-(으)며’, ‘-(으)면’, ‘-(으)면서’의 형태를 각각 ‘-(으)+ㅁ+이+어’, ‘-(으)+ㅁ+이+어+ㄴ’, ‘-(으)+ㅁ+이+어+ㄴ+서’로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연구에서 연결어미 ‘-(으)면’의 ‘ㄴ’과 ‘-(으)면서’의 ‘ㄴ’을 각각 보조사와 단순 음운 첨가 현상으로 풀이한 견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셋째, 3장에서는 연결어미 ‘-(으)면’과 ‘-(으)면서’는 ‘-(으)며’와 공통된 형태 ‘-(으)ㅁ+이+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 연결어미들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결어미 ‘-(으)면’과 ‘-(으)면서’에 결합된 ‘ㄴ’은 보조사 ‘은/는’이 다른 형태들과 결합하면서 변형된 형태로 보고, 그 의미 기능은 화자의 주의 초점 표지로 보았다.

      • KCI등재

        고랭지 적응 콩 43개 품종의 해발고도별 이소플라본 함량 비교

        홍수영,김수정,손황배,김율호,조광수 한국육종학회 2018 한국육종학회지 Vol.50 No.4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isoflavone content of 43 soybean varieties highly adaptable to highland areas. The flowering period of each cultivation zone was from July 15 to August 12 at Daewallyeong, from July 18 to August 11 at Jinbu, and from July 23 to August 13 at Gangneung. The accumulated temperature from flowering to maturity was 1,297 ℃ for Daegwallyeong, 1,391 ℃ for Jinbu, and 1,685 ℃ for Gangneung. Forty-three variet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utilities; soy sauce and tofu, bean sprouts, cooking with rice, and vegetable and early maturity. The content of isoflavone was highest at 2,579 µg/g in varieties for soy sauce and tofu usage. Five varieties (“Paldalkong,” “Sinpaldal2,” “Ilmikong,” “Sinpaldalkong,” and “Daepung”) cultivated in Daegwallyeong had over 4,000 µg/g of isoflavone. The isoflavone content of the region Daegwallyeong was differe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1 (p=0.061) compared to Gangneu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angneung and Jinbu. It is thought that the low temperature of the maturation stage during the growing period affected isoflavone accumulation. The varieties with more than 3,000 µg/g of isoflavone content in Daegwallyeong, Jindu, and Gangneung were “L29,” “Williams82,” “Ilmikong,” and “Daepung.” These were genetically and environmentally stable in isoflavone cont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functional breeding and selection of soybean varieties highly adaptable to a specific region, and to help expand soybean cultivation areas in highlands.

      • 품종 및 재배지대별 수수의 생육특성 및 기능성 비교

        홍수영,진용익,윤영호,김수정,이예진,남정환,김형정,정진철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04

        수집된 수수의 지대별 생육특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황금찰수수 등 11종의 수수를 4월 30일 플러그묘상에 파종하여 온실에서 20℃로 관리하였다. 파종 30일 후 강릉, 진부, 대관령에 각각 5월 26일, 28일 그리고 29일에 정식하였으며 출수기, 성숙기, 초장, 경태, 수량, 항산화활성 그리고 총 페놀함량 분석하였다. 지대별 출수기는 강릉이 7월20일에서 8월7일 사이였으며 진부는 7월28일에서 8월12일, 대관령은 8월12일에서 8월28일이었다. 출수기까지의 적산온도와 강수량은 강릉이 1696℃와 383mm, 진부가 1727℃와 554mm, 대관령이 2033℃와 793mm였다. 또한 성숙기는 강릉이 8월19일에서 9월9일 사이였으며 진부는 8월24 일에서 9월5일 사이었다. 성숙기까지의 적산온도와 강수량은 강릉이 2502℃와 667ml, 진부가 2373℃와 815mm 였으며 대관령은 9월말까지 성숙이 되지 않았다. 품종별 성숙기까지의 재배일수는 강릉이 86~107일, 진부는 89~101일 소요되었다. 지대별 초장과 경태의 생육양상을 비교해 본 결과 초장의 경우는 정식 30일경 까지는 강릉과 진부가 비슷하게 성장하다가 그 이후에는 진부에 정식한 수수가 더 크게 자랐으며 경태의 경우에는 생육초기부터 강릉보다 진부가 더 굵게 자랐다. 대관령의 경우 초장이 타 지역에 비하여 모든 품종 에서 덜 자랐으며 경태의 경우는 초기 30일에는 2~5mm 로 왜소하였으나 60일경에는 가장 최성기로 어떤 품종에서는 강릉이나 진부에서 보다 더 굵게 자라다가 9월말에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강릉과 진부에서 수확 한 수수의 천립중을 보면 황금찰수수, 붉은찰수수, 꼬마단수수, 몽당수수, 흰수수, 검은찰수수, 찰수수의 경우 에는 강릉이 더 무거웠고 메수수, 까치수수, 목탁수수, 괴산재래수수의 경우에는 진부가 더 무거웠다. 천립중 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체 수량을 보면 강릉에 비해 진부의 경우가 더 많았으며 특히 까치수수는 642kg/10a 로 가장 많았다. 페놀함량을 보면 강릉의 경우 평균 31,839ug/g으로 24,932~43,315ug/g범위에 있었으며 진부 는 평균 34,032ug/g으로 27,148~41,454ug/g 범위였다. DPPH법을 이용한 항산화활성은 목탁수수의 경우에만 강릉에서 높았고 나머지 품종은 진부에서 높았다.

      • KCI등재

        쑥 당-추출액의 발효 중 효모 다양성과 향기성분 변화

        홍수영,정외자,이희율,이진환,황정은,김수철,주옥수,조계만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8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5 No.7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yeast diversity,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during fermentation of mugwort sugar extracts (FMSE). The pH and sucrose levels decreased, while the acidity and reducing sugar,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increased during FMSE. Oxalic and succinic acids appeared to be the predominant organic acids in FMSE. Based on 26S rRNA sequencing, a total of 7 different yeast species including Candida lactis-condensi, Hanseniaspora uvarum, Hyphopichia burtonii, Saccharomyces cerevisiae, Saccharomyces paradoxus, Torulaspora delbruechii, and Zygosaccharomyces pseudorouxii were identified in 5 sampling sites. The prevalence of S. cerevisiae was highest (95%) at 30 days and decreased to 7.5% at 60 days, whereas the abundance of C. lactis-condensi increased from 90% at 60 days to 100% at 90 days of fermentation.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 3-methyl-1-butanol, considerably increased from 65.95% to 82.98% after 30 days of fermentation and slightly decreased thereafter. In addition, the levels of benzyl alcohol, phenylethyl alcohol, and 5-hydroxymethyl-2-furancarboxyaldehyde increased to 2.56%, 5.48%, and 2.54%, respectively, whereas isopentyl alcohol substantially decreased to 0.12%, at 120 days of fer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