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보호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홍세희 ( Se Hee Hong ),노언경 ( Un Kyung No ),정송 ( Song Ju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6 조사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그를 보호하는 요인들(개인체계의 자아존중감, 가족체계의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또래체계의 친구애착, 학교체계의 교사의 지지) 간의 관계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2014년까지 출판된 연구들을 수집하여 효과크기(Hedges’s g)를 추정하였다. 무선효과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평균 효과크기를 추정하였고, 효과크기들의 이질성을 파악하기 위해 조절변수(연구특성변수)를 이용하여 메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출판편향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보호요인들 중 자아존중감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고(-.970), 그 다음으로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519), 교사의 지지(-.430), 친구애착(-.389) 순으로 나타났다. 메타 회귀분석 결과, 조절변수들의 효과는 보호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친구애착을 제외하고는 출판편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 개입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meta 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protective factors (i.e., self-esteem in individual system, positive parenting attitude in family system, attachment of friends in peer system, teacher’s support in school system). Effect sizes in terms of Hedges’s g were computed using studies published in Korea till 2014. Based on random-effect model, mean effect size was estimated and meta-regression was conducted using moderator variables(i.e. study characteristics) to find heterogeneities of the effect sizes. Finally, publication bias was evaluated.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protective factors, self-esteem had the largest effect size (-.970), followed by positive parenting attitude(-.519), teacher’s support(-.430), and attachment of friends(-.389). According to metaregression, the effects of moderator variables were different across the protective factors. There was no publication bias except for attachment of friends.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possible to develop systematic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event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 KCI등재

        남자청소년의 온라인게임 이용시간 변화형태에 대한 잠재계층 추정 및 비행형태와의 관련성 검증

        홍세희(Hong, Sehee),노언경(No, Unky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이용시간 변화형태에 따른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잠재계층 구분에 영향을 주는 생태체계적 요인을 밝히는 동시에 각 잠재계층이 저지를 가능성이 높은 비행의 종류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의 5년 간 종단자료에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잠재계층은 온라인 게임 이용시간의 변화형태에 따라 고수준유지집단, 급변화집단, 감소집단, 증가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생태체계적 변수 중에서 자기통제력, 가족폭력, 부모애착, 부모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모든 잠재계층에서 비행 종류의 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비행 종류에 따른 가능성을 살펴보면, 모든 잠재계층에서 사이버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지위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잠재계층 별 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을 살펴보면, 급변화집단에 속한 청소년들이 전반적으로 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은 반면, 증가집단에 속한 청소년들이 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학생 시기부터 다양한 배경 변수를 통해 온라인 게임 이용시간의 변화형태에 따른 잠재계층과 비행을 예측하고 적절한 예방 및 대비책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많이 활용되지 않은 성장혼합모형을 확장시켜 적용했다는 측면에서 연구방법론적으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ubgroups (i.e., latent classes) in online gaming depending on male adolescents’ change patterns in online game time, testing the effects of eco?system variables, and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diverse delinquency. In order to do this, we applied growth mixture models to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four latent classes (high?level maintaining group, rapidly changing group, decreasing group, and increasing group) were identified, and self?control, family violence, parental attachment, stress from parents, and academic stres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All groups showed similar patterns for the diverse types of delinquency, in the sense that cyber delinquency is possible in the highest degree, and status delinquency is the next highest. Among the latent classes in online gaming, the rapidly changing group showed the highest probability of delinquency, but the increasing group showed the lowest probability of delinquency.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predicting latent classes according to various background variables that are susceptible to delinquency and also can be helpful in suggestions for developing appropriate prevention programs. The present study also contributed methodologically by applying an advanced, novel statistical model, growth mixture models, to substantive issues.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시간 변화에 있어서의 잠재계층 도출과 영향요인 검증

        홍세희(Hong Se-Hee),노언경(No Un-Ky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게임시간 변화에 따라 구분되는 하위집단(잠재계층)의 수와 그 형태를 알아보고, 각 잠재계층과 성별,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공격성, 정서조절능력, 학업스트레스, 학업동기, 사회성 사이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다.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1, 2, 3차년도 종단자료에 Nagin(1999)의 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를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변화 형태에 따라 5개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고, 그 형태에 따라 점진적 증가집단, 저사용 수준집단, 중사용 수준집단, 고사용 수준집단, 저사용 수준으로 회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항 로짓분석을 통해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성별,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공격성, 정서조절능력, 학업스트레스, 학업동기 변수가 잠재계층의 결정요인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 중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을 바탕으로 잠재계층을 예측하여 온라인 게임 중독에 빠질 위험이 있는 청소년들을 위한 적절한 대비책을 찾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변화의 형태에 따른 잠재계층을 도출하고 그 잠재계층을 결정짓는데 각 독립변수의 효과를 검증하는 종단연구 방법은 아직 많이 응용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연구 방법론적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the subgroups (i.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early adolescents' change patterns in on-line game time and to test the effects of individual variables on determining the latent classe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we applied Nagin's(1999) 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 to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Our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ive latent classes, which could be defined based on the following patterns; the gradually increasing group, thelow-level using group, the intermediate-level using group, the high-level using group, and the rapidly decreasing group. By adding gender, self-control, self-esteem, aggressiveness, emotion regulation, academic stress, academic motivation, and social skills to the unconditional latent class model, we tested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the latent classes. Multinomial logit analysis showed that the gender, self-control, self-esteem, aggressiveness, emotion regulatio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motivation variable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heterogeneity in the study of early adolescents' on-line game to facilitate a more refined targeting of intervention programs.

      • KCI등재

        청소년의 폭력 빈도 변화의 잠재계층에 대한 준모수적 집단 중심 방법의 적용

        홍세희(Hong Se-Hee),노언경(No Un-Kyung),이현정(Lee Hyun-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폭력 빈도 변화 형태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주는 생태체계적 요인들(성별, 자기통제력, 공격성, 부모애착, 자녀학대, 교사애착, 비행친구수)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학교 2학년 패널 1∼5차년도 종단자료에 준모수적 집단 중심 방법(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을 적용하였다. 준모수적 집단 중심 접근 방법 중에서 폭력 수는 빈도변수(count variable)이며 0빈도가 과다한 변수이므로 zero-inflated Poisson (ZIP)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폭력 빈도 변화 형태에 따라 3개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고, 그 형태에 따라 비폭력집단, 감소집단, 급감소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항 로짓분석으로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성별, 자기통제력, 공격성, 자녀학대, 비행친구 수가 잠재계층을 결정하는데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변수들을 바탕으로 폭력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을 예측하고 적절한 대비책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방법론 측면에서는 변화형태에 따라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독립변수들과 잠재계층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최신 종단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subgroups (i.e., latent classes) which exist based the change patterns in violence frequency among adolescents and to test the effects of eco-system variables(gender, self-control, aggression, parent attachment, parental abuse, teacher attachment, and the number of delinquent friends) on determining latent classes. With these aims in mind, we applied Nagin’s(1999) 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 to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Because antisocial behaviors such as violence typically have excessive 0 frequencies, a zero-inflated Poisson model was us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ree latent classes could be identified, which, in turn, could be defined based on the patterns as follows; a non-violence group, a decreasing group, and a suddenly decreasing group. By adding the variables of gender, selfcontrol, aggression, parent attachment, parental abuse, teacher attachment, and the number of delinquent friends to the unconditional latent class model, we tested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the latent classes. Multinomial logit analysis indicated that gender, self-control, aggression, parental abuse, and the number of delinquent friend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class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heterogeneity in the study of adolescents’ violence to facilitate more refined targeting of intervention program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연구동향

        홍세희(Hong, Sehee),조기현(Jo, Kihyun),이현정(Lee, Hyunjung),손수경(Son, Sookyoung),김효진(Kim, Hyojin),윤미리(Yoon Miri),강윤경(Kang, Younky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청소년 회복탄력성의 연구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전체 구조를 확인하고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국내 모든 학술지에서 주제에 ‘resilience’를 포함하는 논문을 수집하여 청소년 대상의 연구만 선별하였다. 연구 결과, 중심성은 학교적응, 사회 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높았다. 이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연구에서 학교와 또래, 가족, 교사 관계가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클러스터 분석 결과, 23개로 분류되었고 이 중 5개의 클러스터 집단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주로 학교적응과 가족과 사회적 지지와 심리, 문제행동, 학업성취와 학업중단, 청소년활동과 긍정적 심리변인, 시설청소년과 탄력성으로 분류되었다. 구조적 공백은 자아존중감인 것을 확인하였다. 주제별 분석은 문제행동, 개인내적 심리요인, 개인외적 환경요인으로 중심성과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한 결과, 문제행동의 핵심 주제어는 비행과 문제 행동, 개인내적 심리요인은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개인외적 환경요인은 학교적응, 학교 탄력성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의 흐름을 거시적으로 파악하였다. 시기별 분석은 2001-2009년에는 보호 요인, 2010-2018년에는 학교 적응이 중심성이 높았고 구조적 공백은 삶의 의미와 자아존중감으로 각각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 회복탄력성과 관련한 핵심 연구주제의 특징과 지식 구조를 분석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방법론적으로 네트워크 분석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청소년 회복탄력성의 핵심 주제를 분석하여 청소년 실천 및 연구 분야의 발전에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resilience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e purposes of network analysis, journal articles that presented “resilience” as a keyword were use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entrality was high in terms of school adjustment, social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dicating that school, peer, family, and teacher relationships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topics in the resilience research amongst adolescents. In terms of cluster analysis, 23 clusters were classified and 5 major clusters were identified. The structural hole was found to be self-esteem. The thematic analysis focused on problem behavior, individual internal psychological factor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Moreover, the flow in research trends is grasped at the macro level through ego network analysis. During the periods of 2001-2009 and 2010-2018, protective factors and the school factor showed high levels of centrality, and life meaning and self-esteem represented structural holes, respectively.

      • KCI등재
      •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강도 및 흡음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홍세희(Hong, Se Hee),이호진(Lee, Ho Jin),파르잔룩(Parr, Jean-Luc),윤영수(Yoon, Young Soo) 한국콘크리트학회 2021 한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강도 및 흡음 특성을 평가하였다. 경량굵은골재의 대체혼입은 콘크리트의 밀도 및 강도를 감소시켰다. 하지만, 경량골재 내 공극은 흡음 성능을 개선시켰으며, 강섬유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strength and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were evaluated. Substitution mixing of lightweight coarse aggregates reduced both density and strength of concrete. However, pores in lightweight aggregates improved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and steel fibers were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