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문관측용 위성통신시스템의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홍성택,박재현,정회경,Hong, Sungtaek,Park, Jaehyun,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9

        한정된 위성통신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통신망에 대한 성능과 사용량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본 논문에서는 K-water 홍수예보 경보망으로 운영 중인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운영 효율성과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심국과 관측국간에 다운로드 및 업로드의 속도를 측정하는 FTP 및 핑 시험과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방법을 도입하였다. 도입한 시험방법에 의한 전송속도를 측정한 결과, TCP 가속기의 영향은 관측국에서 다운로드시 120% 속도 향상이 되었으며, 데이터의 크기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였고, 트래픽 분석에서는 네트워크상에 접속되는 프로토콜 종류와 사용량을 파악하였다. 도입한 위성수문관측시스템의 성능 시험 및 트래픽 분석을 통하여 위성통신시스템의 환경보완 및 개선점을 도출하여 통신망의 운영 효율성과 안정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order to efficiently use defined satellite network resources, it is a priority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and usage of the network. In this paper, in order to analyze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 system in th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operated by K-water flood forecast and alarm network, FTP and ping testing and network traffic analysis methods of measuring download and upload speed between central and observational countries were introduc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transmission speed by the introduced test method, the effects of TCP accelerators have been improved by 120% upon download from the observational station. Through the performance test and traffic analysis of the satellite hydrologic observation system introduced,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improvement points of th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were derived so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could be expected.

      • KCI등재

        강수량계 종류별 성능시험 및 불확도 분석

        홍성택,박병돈,김종립,정회경,Hong, Sungtaek,Park, Byungdon,Kim, Jonglib,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2 No.7

        정확한 강수량의 측정은 댐 및 하천의 운영, 농어촌 및 산림녹화, 안전관리 등 사용분야가 광범위하며, 재난재해를 대비하고 강우발생시 경제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집수형 강수량계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통합검증시스템에 의한 강수량계 종류별 특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전도형 강수량계는 0.0041 mm, 무게식 강수량계는 0.0045 mm, 표면장력식 강수량계는 0.0039 mm으로 불확도가 산출되었으며, 강수량계의 종류 및 특성에 따른 불확도는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시험을 통하여 강수량계 종류에 따른 기상관측 및 수문관측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Precipitation ha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dams and rivers, supply of dranking water for urban and industrial complex, farming and fishing, forest greening, and safety management. In order to prepare for disasters and to obtain economical effects in case of flood damage, it is necessary to measure accurate precipitation.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characteristics tests for various types of rainfall gauge using integrated verification system, which can analyze the performance of collective type rainfall gauge. The uncertainty for tipping bucket rain gauge was 0.0041 mm, where weight type and surface tension type was 0.0045 mm and 0.0039 mm respectively. Therefore, the uncertainty according t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cipitation system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uncertainty is also influenced greatly by the resolution.

      • KCI등재

        상수관로 압력계 최적 위치선정을 위한 데이터기반 시험분석

        이호현,홍성택,Lee, Hohyun,Hong, Sungtae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6

        먹는 물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상수도 관로에 있어서 압력계에 대한 설치와 관리 방안이 미비함에 따라 압력데이터 신뢰성의 확보 및 운영관리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관망 및 펌프 등 운영관리 효율화 및 SWM(Smart Water Management)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부 계측 센서의 정확한 데이터 취득을 통하여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게이트 밸브와 버터플라이 밸브를 중심으로 관로의 직경(D)을 기준으로 전단 -3D에서부터 후단 7D까지 압력계를 설치하여 밸브의 개도율을 조절하며 데이터를 취득하는 직관 거리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관로에 수직으로 상단(180°)부터 하단(0°)까지 45° 각도 간격으로 압력계를 설치한 후 수직 위치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압력계의 최적 위치선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management and installation methods of pressure gauges in water supply pipeline are not efficiently regulated and their installations are different in each site. In this paper, various domestic and overseas documents are examined about the pressure gauge.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management such as pipeline network and pump operation, water pressure needs to be measured as accurate as possible, by which decision making for optimal pipe network can be achieved. To get the goal, the installation of pressure gauge should be reviewed about where and how to install. In this study, an optimal horizontal distance test is conducted, in which pressure value variation is monito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up and down stream distances and valve flow control, and a optimal vertical position test is also analyzed by installing the pressure gauges vertically from the up(180°) to the bottom (0°) of the pipeline.

      • KCI등재

        본페로니 다중 분석 기반 대기오염 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임병연,임현근,홍성택,정회경,Lim, Byeongyeon,Lim, Hyunkeun,Hong, Sungtaek,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8

        지역 내의 도시들은 인구수, 계절, 교통량, 산업단지 등의 변수에 따라 대기오염의 수치가 다르게 관측되기 때문에 소규모 지역에 대해 정확하게 모니터링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대기오염 물질 SO2, PM10, NO2, CO, O3이 관측되는 소규모 지역에 대해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를 통해 비교분석 하였다. 그리고 본페로니(Bonferroni) 다중 비교분석을 기반하여 기간별 대기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해 지도를 각 소규모 도시의 좌표와 연동하여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규모 도시들에 대한 대기오염 물질을 시각화 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에 대한 대기오염 물질을 보다 정밀하게 사용자에게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대기오염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로부터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Cities in the region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accurately monitor small areas because the number of air pollution is differently observed depending on variables such as population, season, traffic volume, and industrial complex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small areas where representative air pollutants SO2, PM10, NO2, CO, and O3, which adversely affect the human body, are observed throu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 addition, based on Bonferroni's multiple comparative analysis, the air pollution level by period is shown. The map for the monitoring system was linked with the coordinates of each small city to visualize air pollutants for small cities based on the analysis data.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monitoring system of air pollutants for the region more precisely, and to prevent them from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air pollution in everyday life.

      • KCI등재

        가속도계를 이용한 탄성파 기반 누수탐지 기술 분석

        최광묵,이호현,신강욱,홍성택,Choi, Kwangmook,Lee, Hohyun,Shin, Gangwook,Hong, Sungtae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4 No.9

        상수도 배관은 땅속에 매설되어 있어서 배관의 노후화에 따른 누수를 맨눈으로 탐지하기가 불가능하며, 누수음을 감지함으로써 배관의 누수를 탐지하는 기술이 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상수도 배관의 양단에 두 개의 가속도계를 부착·취득한 데이터 간의 도달 시간 차이를 계산하여 누수 지점을 탐지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배관의 누수 시험은 17.2m의 배관에 4.3m, 8.6m, 12.9m 지점에 밸브를 설치하고, 밸브의 개도율을 30%, 70%로 변경해 가면서 누수 지점을 분석하였으며, 밸브가 30%, 70%씩 개방된 정도의 배관 내 압력 강하에 대해서는 누수를 탐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기 단계의 누수를 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 적용한 알고리즘으로부터 초기의 누수 지점의 탐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Water pipes are laid on the ground, making it impossible to visually detect leaks due to aging of pipes, and technology to detect leaks in pipes is mainly used to detect leaks in pipes by detecting leaks. In this paper, two accelerometers wer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constant water piping to calculat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acquired data to detect leakage points. The leak test of piping was performed by installing valves at 4.3m, 8.6m, and 12.9m points on piping 17.2m, and changing the development rate of valves to 30% and 70%. Leakage can be detected for pressure drop in piping, which is 30% and 70% open valve. It is very important to detect leakage in the early stage, and it is judged that detection of the initial leak point from the algorithm applied in this paper will be possible.

      • 수도사업장 탄소중립을 위한 복합센서 적용 방안 연구

        조현식(Hyunsik Jo),김현준(Hyunjun Kim),조연구(Yeonju Cho),김국일(Kukil Kim),홍성택(Sungtaek Hong)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정부의 에너지 소비 구조 혁신, 에너지산업의 글로벌 경쟁령 강화를 위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수립과 저탄소 경제로의 이행 필요성 증대에 따른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그린 뉴딜 정책이 수립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따른 취수장, 정수장, 가압장 등 수도사업장에서도 공정별 제어 계측 요소 및 에너지 소비현황 등을 분석하여 4차산업혁명을 위한 인공지능형 복합 센서 개발 및 실증방안 연구를 통하여 에너지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함으로써 정부정책 및 경영방침에 적극 부응하고, 탄소중립(Net-Zero) 정수장을 실현하기 위한 부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