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자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도박신념 매개효과

        홍성예,장현아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irrational gambling belief, life stress and gambling behavior in male college students. Functional Assessment of life stress scale, gambling behavior,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 scale were conducted for 148 male college students aged 20 to 25.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in variables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PROCESS macro version 3.3 (Model 4; Hayes, 2017) was used to analyze mediation effect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life stress, gambling behavior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 were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ed. Secondly, irrational gambling belief appeared to have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cor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gambling behavior. Even if the life stress remains the same, a reduction in irrational gambling belief can lead to a reduction in gambling behavior.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Prevention and Alternatives,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활 스트레스와 도박행동과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재학 중인 20~25살의 148명 남자 대학생에게 생활 스트레스척도, 도박행동척도, 비합리적 도박신념척도를 사용하여 설문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 변인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PROCESS macro version 3.3 (Model 4; Hayes, 2017)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 도박행동, 비합리적 도박신념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생활 스트레스와 도박행동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남자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가 높고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강할수록 도박행동으로 나타나며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줄일 수 있도록 돕는다면 생활 스트레스가 높아도 도박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예방 및 대안,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소득계층별 활동공간의 비교 분석: 커널 밀도 기반의 분리 측정

        홍성연(Seong-Yun Hong),오지(Jiye Oh),김예린(Yelin Kim),강수민(Soomin Kang)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2

        소득 수준, 또는 소득계층에 따른 거주지의 분리는 도시의 불균형한 발전과 사회적 갈등을 초래할 수 있는 요소로 오랫동안 연구됐다. 그러나 소득계층에 따른 공간적 단절과 고립은 비단 거주지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여러 장소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16년 시행된 가구통행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소득계층의 활동공간 분포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서울과 인천의 공간적 계층화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활동공간 내 다양한 장소의 소득계층별 커널 밀도를 중첩 분석한 결과, 거주지에 기반한 기존의 분리지표보다 소득계층 간 단절 정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장소의 유형에 따라 분리의 양상이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리 도시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계층화의 양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특정 장소에 한정되지 않은, 활동공간 전반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낮은 해상도의 표본 데이터를 사용하여 탐색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나, 향후 보다 정교한 활동공간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해진다면 좀 더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sidential segregation by income has been a topic of research for several decades, as i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cause unequal development in urban areas and conflicts in society. However, the segregation and isolatio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can happen not only in residential areas but also in other places of their daily activity spaces.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location and extent of activity spaces for different income groups and explore the spatial stratification of Seoul and Incheon, South Korea. The activity space of each income group was retrieved from the National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and its kernel density surface was compared to evaluate the degree of segreg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with low household income experience more isolation and separation from those with a higher income level in schools and leisure areas than in residential neighbourhoods. This implies that the level of residential segregation can underestimate the current situation in society, and therefore, that a systematic approach to exploring the degree of segregation in activity spaces should be more widely us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소득계층별 공간적 분리 탐색

        오지,이영호,정예원,홍성 한국교통연구원 2019 交通硏究 Vol.26 No.1

        With the rapid accumulation of data on individual movements in daily life, transport data have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for various urban studies. In the field of population segregation,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relied on the census data, and consequently limited its spatial scope to residential areas. In this paper, therefore, we attempt to measure and analyse segregation between income groups across various social spaces, such as workplaces and schools, using the National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To measure the level of segregation, we employed two indices: the index of dissimilarity and the exposure inde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segregation varies from place to place, implying that spatial segregation between income groups is greatly affected by the nature of the place.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capture the actual experience of people in the society, the level of segregation should be estimated across difference places in activity spaces, and the use of transport data, such as the National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will become essential for such comprehensive analysis of segregation. 최근 일상생활에서 개개인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데이터가 축적되면서 생성된 교통데이터는 교통 정책 수립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구조와 변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우리 사회는 1960년대 산업화 이후 단기간에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었지만 그 이면에는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의 심화라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는 계층 간 공간적 분리와 단절로 이어져 왔다. 이러한 공간적 분리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는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거주지라고 하는 특정한 장소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교통데이터인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거주지뿐만 아니라 직장, 학교 등 다양한 공간에서 나타나는 소득계층 간 분리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분리의 측정에는 노출지수와 상이지수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장소에 따라 계층 간 분리 정도가 매우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소득계층 간의 공간적 분리가 장소의 특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반증하는 결과이며,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이 실제 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계층 간 분리와 단절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거주지를 포함한 다양한 장소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간적 분리와 계층화 연구에서도 가구통행실태조사와 같은 교통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개인의 활동공간 전체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