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원들이 인식하는 우수 원격학습자 유형 분석 : 원격대학원 진학 교사들을 중심으로

        홍성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원격교원연수 참여와 원격대학원 진학이 보편화되면서 원격교육이 교사들의 전문성을 키우는 재교육 방법으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전문가인 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 원격학습자 유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Q 방법론에 기초하여 원격교원연수 및 원격대학원의 학습경험이 있는 24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총 34개 우수 원격학습자 특성들에 대한 인식의 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의 우수 원격학습자에 대한 인식은 ‘목표중심의 자기관리형’, ‘교류지향적 협력학습형’, ‘자아조정적 학습전략가형’, ‘학생역할에 충실한 모범생형’, ‘테크놀로지 중심의 학습관리형’ 등 총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그중 가장 많은 교사들이 ‘자아조정적 학습전략가형’을 우수 원격학습자라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교사들의 성공적인 원격학습을 지원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cognitions of teachers on the successful distance learners. 24 teachers, both who had the experience of learning by distance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who studied at the distance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urvey on perception of the successful distance learners based on the Q methodology. They sorted the 34 perceptions on the successful distance learners into the Q table, and then wrote the reason why they had chosen the most agreement and disagreement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uccessful distance learner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goal-centered self-management type, relation-oriented interaction type, self-controled learning strategist type, identification as model learners type, technology-centered learning management type. This study reveal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uccessful learners and give the implications of developing the distance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 KCI등재

        활동공간에서 나타나는 계층 간 공간적 분리의 측정

        홍성연,최진무 국토지리학회 2016 국토지리학회지 Vol.50 No.3

        The recent advances in computing power and the increasing availability of detailed data on daily travel patterns have encouraged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dividual-level measures of segregation. While these methods are supposed to capture the level of social interaction between population groups more precisely, their relative merits and limitations compared to more traditional, census tract-based measures are still largely unknown. To fill this gap in the literature, we attemp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corporating individual activity spaces into the measure of exposure and isolation. In this paper, we modified a recently developed activity space-based exposure index so that the chance of contact between two individuals at a given location is subject to the amount of time they spent together there. This adjusted index was applied to a daily travel data set of over 200,000 people in the Seoul Capital Area,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existing methods. 최근 교통카드 사용정보 및 휴대전화 위치정보, 소셜네트워크의 위치태그와 같은 다양한 시공간 데이터가 쌓이면서 과거에는 매우 어려웠던, 개개인에 대한 활동공간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기술적인 발전을 토대로 기존의 장소 기반 분리 측도가 아닌 활동공간 기반 분리 측도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새로운 활동공간 기반 분리 측도의 개념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활동공간 기반 측도를 사용하여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의 소득계층별 공간적 분리현상을 살펴보고, 해당 결과를 거주지 분화 정도와 비교함으로써 활동공간 기반 측도가 갖는 장점을 실증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에 나타난 소득계층 간의 공간적 분리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통해 활동공간 기반 측도가 실제 사회구성원들의 경험을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교육현장 실무자들의 교육공학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홍성연 한국기업교육학회 201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3 No.2

        교육공학은 교수학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처방적 이론을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실천학문이다. 본 연구는 교육현장실무자들이 생각하는 교육공학의 의의, 가치, 가능성 등을 분석함으로써 실천학문으로서 교육공학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교육공학에 대한 27개의 인식들을 규명하고 Q 방법론에 기초하여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현장실무자 15명의 인식 패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장실무자들의 인식은 유형에 따라 교육공학을 ‘시대변화에 부응하는 첨단학문’, ‘교육환경 개선에 기여하는 실용학문’, ‘실무자 역량에 좌우되는 매체중심학문’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은 교육공학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을 모두 가지고 있었으며, 첫 번째 유형이 상대적으로 교육공학을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교육공학에 대해 가지고 있는 여러 인식 유형들을 밝힘으로써 향후 교육공학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various perception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cognitions of practitioners in education field. First, 27 perceptions on educational technology were verifi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s well as interviews of educational technologists and practitioners. Second, the survey of 15 practitioners majoring in educational technology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reason why they were studying educational technology.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27 perceptions among 15 practitioners in education field, on the basis of Q method, the 15 practition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Group 1 identified the educational technology as ‘high-tech studies satisfied on the social and technology change’. Group 2 identified the educational technology as ‘practical studies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Group 3 identified the educational technology as ‘media centered studies influenced by practitioners' competencies’. Finally, some limitations of research are indicated and the educational technology needs to enforce the identification of studies and to develop the practical and elaborated theories.

      • KCI등재

        대학의 지원과 자기결정성 요인이 신입생의 대학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성연,김인수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ent support and sub elemen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utonomy, relatedness and competence on first-year student outcome. For this,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tested and revised. 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379 first-year students in A university,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student support had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relatedness and competence, Secondly, relatedness and competence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university satisfaction and further expectation. Thirdly, student support and autonomou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university satisfaction and further expectation via relatedness and competence. This result implies that student support to promote relatedness and competence will be effective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achievement, university satisfaction and futuer expectation. In addition, student support to promote autonomous need to be provided systematically. 대학생들이 대학생답게 생활하도록 이끄는 내적동기인 자기결정성은 대학의 다양한 지원을 통해 강화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교육성과로 이어진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신입생에 대한 대학의 지원이 자기결정성 요인인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다시 학습성과, 대학만족도, 미래기대와 같은 대학교육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경로모형을 가정하고, 이를 총 379명의 신입생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학의 지원은 관계성과 유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관계성과 유능감은 학습성과, 대학만족도, 미래기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관계성은 대학만족도에, 유능감은 학습성과에 .7이상의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대학지원과 자율성은 관계성과 유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습성과, 대학만족도, 미래기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대학은 신입생의 관계성과 유능감을 증진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하며, 자율성에 대한 지원은 심리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계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논의 부분에서 결과의 의미와 대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가적으로 기술하였다.

      • KCI등재

        대학 강의 개선을 위한 수업컨설팅 사례 분석

        홍성연(洪性蓮)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3

        수업컨설팅은 대학의 대표적인 교수지원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A 대학의 사례를 통해 수업컨설팅이 강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A 대학에서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15명의 교원들의 수업컨설팅 자료, 그룹 인터뷰 자료, 학생 만족도 평가 자료 등을 토대로 수업컨설팅 절차, 교수들의 참여 동기, 진단된 문제와 개선 방향, 수업개선의 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A대학은 학기 별로 전문 컨설턴트에 의한 일대일 수업컨설팅과 동료컨설팅이 혼합된 형태의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수업컨설팅 참여 교수들은 학생들의 낮은 수업 참여도, 미흡한 학습 내용 이해, 저조한 강의평가 점수 등을 이유로 수업컨설팅을 신청하였다. 수업컨설팅 결과, 교수들의 교수활동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았으며, 학생들의 학습 촉진 미흡, 강의의 비구조화, 원활하지 못한 상호작용, 교수기법의 부정확한 적용, 불필요한 행동습관 등이 수업의 문제점으로 진단되었다. 이 중 교실에서의 행동수정과 같이 상대적으로 적은 노력이 요구되는 개선안은 쉽게 수업에 반영되었다. 수업컨설팅 전후 시행된 9문항의 학생 강의만족도 조사에서 15명의 참여 교수 중 11명의 교수에게서 상승한 강의만족도 문항이 하락한 강의만족도 문항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컨설팅은 참여 교수자들에게 ‘교수(teaching)’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는 점에서 대학교육의 질 개선에 유의미한 방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which is based on videotaping of class, and to analyze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in instructional consultation, problems in teaching and learning, proposals of improvement, and the result of students" satisfaction. Fifteen professors of university A located in the capital area participated in instructional consultation in 2009. As a result, professors indicated the motives of participating in this consultation to be bad interactive relationship of their students, low students" satisfactions, improvement of teaching styles, obtaining special types of teaching methods, etc. The consultant identified the problems in encouraging students" study, organizing of teaching contents, having interactive relationship with students, applying special teaching methods, and unnecessary teaching habits, and then suggested the improvement strategies. The professors changed their teaching strategies, such as unnecessary teaching habits, that were easy to improve preferentially. After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11 professors got the increased scores of students" satisfaction items.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program is effective for providing with professors reflections o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