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진해일에 의해 해안구조물에 작용하는 힘

        홍성수,하태민,조용식,Hong. Seong-Soo,Ha. Tae-Min,Cho. Yong-Sik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2

        연안 및 해안 구조물에 직접적인 파괴의 원인이 되는 지진해일 파력에 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 특히, 지진해일 대피소는 지진해일 내습에 의한 파력에 안정하게 설계되어야 하며 이를 고려하기 위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대부분 연구는 일본과 미국 등에서 이루어져왔으며, 일부 수치모형을 이용한 연구가 있으나 대부분은 수리모형 실험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지진해일이 먼 거리를 전파하는 특성상 넓은 해역에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실제지형에서 실용적으로 지진해일 파력을 검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Tsunami forces acting on coastal structures have not been relatively much paid attention by researchers. However, they should be appropriately reflected in design of coastal and harbor facilities. The temporary and permanent tsunami shelters have to be chosen to resist stably against unexpected tsunami forces. There have been only few numerical studies on the tsunami forces acting on coastal and harbor structures. In this study, a practical prediction of tsunami forces is carried out by using a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 KCI등재

        마이크로파 공정으로 제조된 PbMoO<sub>4</sub> 산화물에서 Rhodamine B의 광촉매 분해 반응

        홍성수,Hong, Seong-Soo 한국청정기술학회 2015 청정기술 Vol.21 No.3

        PbMoO<sub>4</sub> 산화물을 수열합성법과 마이크로파 공정으로 합성하여 XRD, DRS, BET, Raman, SEM 및 PL 등에 의해 특성분석을 하였고, 자외선 조사 하에서 Rhodamine B의 광분해 반응에서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XRD 및 Raman의 분석 결과로부터 대부분의 촉매들은 제조방법과 무관하게 잘 결정화된 PbMoO<sub>4</sub>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42에서 59 nm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마이크로파 공정으로 제조된 PbMoO<sub>4</sub> 촉매는 통상적인 수열합성법으로 제조된 촉매에 비해 균일한 입자를 가지고 있으며, 높은 광분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마이크로파 주사 시간을 75분으로 제조한 PbMoO<sub>4</sub> 촉매가 가장 높은 광분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모든 촉매들은 530 nm 부근에서 강하고 넓은 PL 흡수밴드가 나타났으며, 이 피크의 세기가 커질수록 광분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ad molybdate (PbMoO<sub>4</sub>) oxides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using a conventional hydrothermal method and a microwave-assisted hydrothermal method. They were characterized by XRD, DRS, BET, Raman, SEM and PL. We also investigated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these materials for the decomposition of Rhodamine B under UV-light irradiation. From XRD and Raman results, well-crystallized PbMoO<sub>4</sub> crystals have been successfully synthesized regardless of preparation method and had 42~59 nm particle size. The PbMoO<sub>4</sub> catalysts prepared using microwave-assisted process had the similar particle size and enhanced the photocatalytic activity when compared to that prepared by hydrothermal method. The PbMoO<sub>4</sub> catalysts prepared under the irradiation of microwave for 75 min showed the highest photocatalytic activity. The PL peaks appears at about 530 nm at all catalysts and it was also shown that the excitonic PL signal is proportional to the photocatalytic activity for the decomposition of Rhodamine B.

      • SCOPUSKCI등재

        나노구조 Fe-Co 연자성 합금의 제조를 위한 PECS 공정 연구

        홍성수,김대건,김영도,Hong, Sung-Soo,Kim, Dae-Gun,Kim, Young-Do 한국재료학회 2001 한국재료학회지 Vol.11 No.5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합금화 공정을 통하여 평균 10nm의 크기를 가지는 결정립으로 이루어지는 나노구조 Fe-Co 합금분말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합금분말을 PECS 공정으로 소결하여 벌크의 나노구조 Fe-Co 연자성 합금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PECS 공정은 소결온도를 700, 800, 900과 100$0^{\circ}C$로 변화시키고 유지시간을 0에서 16분가지 변화시켜주며 수행하였다. PECS 공정의 나노구조 소결체 제조에 관한 효율성을 평가하였으며 소결온도와 유지시간의 변화에 따른 소결밀도와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여 최적의 소결조건을 찾고자하였다. 또한 각 소결조건에서 제조된 소결체들의 보자력과 포화자화값을 측정하여 자성특성을 평가하였다. In this study, nanostructured Fe-Ce powder with grain size of 10nm was produced by MA (mechanical alloying) process and was consolidated by PECS (pulse electric current sintering)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bulk nanostructured Fe-Co softmagnetic alloy. PECS process was performed at 700, 800, 900 and $^1000{\circ}C$ with holding time ranging from 0 to 15min. The effectiveness of PECS Process to Produce nanostructured bulk specimens was estimated. The optimal PECS process condition for nanostructured Fe-Co powders was found through observing the change of relative density and microstructure with sintering temperature and holding time. The magnetic properties of the sintered specimens were evaluated through the measurement of coercivity and saturation magnetization.

      • SCOPUSKCI등재

        헤테로폴리산 촉매에 의한 탄화수소로의 메탄올 전환반응 (Ⅰ)

        홍성수,이호인 ( Seong Soo Hong,Ho In Lee ) 한국공업화학회 1991 공업화학 Vol.2 No.4

        탄화수소로의 메탄올 전환반응에 대한 헤테로폴리산 화합물의 역할과 적용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탄화수소의 수율과 저급 올레핀의 선택도를 높히기 위하여 반응온도, 메탄올 분압 및 접촉시간 등 반응조건의 영향과 촉매의 이온교환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들의 산의 세기는 치환된 금속이온의 종류에 따라 달라졌고, 탄화수소의 수율과 프로판에 대한 프로필렌의 선택도는 상대 금속이온의 전기음성도와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다른 헤테로폴리산 화합물과는 달리 암모늄염은 상당히 높은 촉매활성과 저급 올레핀에 대한 파라핀의 높은 선택도를 보여 주었다. The catalytic performance and availability of heteropoly compounds for the conversion of methanol to hydrocarbons have been studied. The effects of reaction conditions such as reaction temperature, methanol partial pressure and residence time and the effects of ion-exchange of the catalysts were examined for enhancing the yield of hydrocarbons and the selectivity of low olefins. Their acid strength depended on the kind of countercation, and the yield of hydrocarbons and the selectivity for propylene to propane were closely related to the electronegativity of the corresponding countercation. In contrast to the other heteropoly compounds, the ammonium salt showed a considerably high catalytic activity and a high selectivity for paraffins to low olefins.

      • SCOPUSKCI등재

        실리카 담지 12-몰리브도인산 촉매상에서의 아산화질소에 의한 메탄의 부분산화반응

        홍성수,우희철,주창식,이근대,( Seong Soo Hong,Hee Chul Woo,Chang Sik Ju,Gun Dae Lee,J . B . Moffat ) 한국공업화학회 1994 공업화학 Vol.5 No.1

        실리카에 담지된 혜테로폴리산 촉매에서 아산화질소에 의한 메탄의 부분산화반응을 연구하였다. 여러 가지의 반응조건, 즉 반응온도, 반응물의 분압, 접촉시간, 촉매의 담지량 및 전처리온도 등이 전환율이나 생성물의 선택도 및 속도론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었다. 20wt%로 담지된 촉매가 전환율과 포름알데히드의 수율에 있어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주었다. 메탄의 전환반응에서의 속도식을 구한 결과, 메탄에 대해서는 1차식을 보여 주었고, 아산화질소에 대한 반응차수는 약 0.4였다. 또한 전체반응의 겉보기 활성화에너지는 30.78 ㎉/mole 이었다. 반응물 중에 첨가된 소량의 사염화탄소는 메탄의 산화반응에서 실리카 담지 HPMo촉매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반응물에 첨가된 물은 오히려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partial oxidation of methane with nitrous oxide on silica-supported metal-oxygen cluster compounds, known as heteropoly acids, has been studied. The effects of several variables such as reaction temperature, partial pressure of reactants, residence time, loading of the catalysts, and pretreatment temperature, on the conversion and product distribution were observed. The kinetics also has been studied. The conversion and yield of formaldehyde show maximum values at a loading of 20 wt%. The apparent reaction order of methane conversion is ca. 1.0 with respect to CH_4 and ca. 0.4 with respect to N_2O. In addition,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y is 30.78 ㎉/mole. The addition of small quantities of tetrachloromethane to the reactant stream enhanced the activity of the silica-supported HPMo in the oxidation of methane, whereas water introduced to the reactant decreased the activity of catalyst under present study.

      • SCOPUSKCI등재

        메탄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환원반응에 관한 연구

        홍성수,양진섭,김병기,주창식,이근대 ( Seong Soo Hong,Jin Seop Yang,Byung Kee Kim,Chang Sik Ju,Gun Dae Lee )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4

        여러 종류의 담체에 담지된 니켈 촉매상에서 메탄에 의한 이산화탄소 개질반응에 대해 연구하였다. 여러 가지 담체중에 천연 제올라이트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고, 염기성 담체에 비해 산성 담체에 담지된 니켈 촉매의 활성이 좋았으며 촉매의 비활성화도 느리게 진행되었다. 천연제올라이트에 담지된 니켈 촉매의 담지율이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고, 10wt.% 이상으로 담지된 경우에는 활성의 변화가 그다지 일어나지 않았다. 반응물중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비에 따라 전환율과 생성물의 수율이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CH₄/CO₂의 비가 1일 때 가장 높은 수소 및 일산화탄소 수율을 나타내었다. 촉매의 비활성화는 반응중에 생성되는 코크에 침적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코크는 주로 메탄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었고 코크의 형상은 whisker형으로 촉매의 비활성화 속도를 느리게 하였다. We have studied the reforming of carbon dioxide with methane over various supported nickel catalysts. The nickel supported on natural zeolit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nd the nickel on acidic support showed higher activity and slow deactivation compared to nickel on basic support. The activity of nickel on natural zeolite increased with increasing loading ratio and showed almost constant activity above 10wt.% loading of nickel. The conversion and yield of products were affected by the mole ratio of reactants and the highest yields of CO and H₂ were obtained at CH₄/CO₂=1. The deactivation of catalyst was caused by deposition of coke which was formed by the decomposition of methane. The shape of coke was shown to be whisker type carbon, and it brought out the slow deactivation of catalyst.

      • KCI등재

        수열합성법으로 제조된 Bi<sub>2</sub>MoO<sub>6</sub>에서 로다민 B의 광촉매 분해 반응

        홍성수,Hong, Seong-Soo 한국청정기술학회 2019 청정기술 Vol.25 No.2

        EGME, GL 및 EG와 물을 용매를 사용하여 $Bi_2MoO_6$ 산화물을 수열합성법으로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이들 촉매들의 물리적 특성을 XRD, DRS, BET, SEM 및 PL 등으로 분석하였고 제조된 촉매들을 사용하여 가시광선 조사 하에서의 로다민 B의 광분해 반응에서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XRD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촉매들은 수열합성법에 의해 이 합성조건에서 용매의 종류와 관계없이 Aurivillius 구조를 가진 ${\gamma}-Bi_2MoO_6$의 결정화가 잘 이루어졌으며 12에서 18 nm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합성온도가 $140^{\circ}C$ 이하에서는 $Bi_2MoO_6$ 산화물의 특성피크가 잘 나타나지 않았으나, $16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Bi_2MoO_6$ 산화물의 특성피크가 잘 나타났다. 모든 촉매들은 자외선 영역부터 470 nm보다 낮은 파장의 가시광 영역에서 강한 흡수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Bi_2MoO_6$ 산화물들이 가시광 영역에서도 광촉매 활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EGME를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된 $Bi_2MoO_6$ 촉매가 가장 높은 광분해 활성을 나타내었고 $180^{\circ}C$에서 합성된 촉매가 가장 높은 광활성을 보여주었다. 모든 촉매들은 560 nm 부근에서 강하고 넓은 PL 흡수밴드가 나타났으며, 이 피크의 세기가 커질수록 광분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_2MoO_6$ catalysts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using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GME), glycerol (GL), ethylene glycol (EG), and water as solvents by a conventional hydrothermal method. The synthesized catalysts were characterized by XRD, DRS, BET, SEM, and PL, and we also investigated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these materials for the decomposition of Rhodamin B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The XRD results revealed the successful synthesis of 12-18 nm, well-crystallized ${\gamma}-Bi_2MoO_6$ crystals with an Aurivillius structure regardless of solvent. In addition, the $Bi_2MoO_6$ catalysts prepared below $140^{\circ}C$ showed an amorphous phase; however, those prepared above $160^{\circ}C$ showed well-crystallized ${\gamma}-Bi_2MoO_6$ crystals. All the catalysts have a similar absorption spectrum from the ultraviolet region up to the visible region less than 470 nm. This result suggests that all the $Bi_2MoO_6$ catalysts are potential visible-light-driven photocatalysts. The $Bi_2MoO_6$ catalysts prepared using EGME as a solvent showed the highest photocatalytic activity. In addition, the $Bi_2MoO_6$ catalysts prepared at $180^{\circ}C$ showed the highest photocatalytic activity. The PL peaks appeared at about 560 nm at all catalysts and the excitonic PL signal was proportional to the photocatalytic activity for the decomposition of Rhodamin B. This suggests that the stronger the PL intensity, the larger the amount of oxygen vacancies and defects, and the higher the photocatalytic activity.

      • SCOPUSKCI등재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수열합성법에 의한 PbMoO<sub>4</sub>의 합성 및 그들의 광촉매 활성

        홍성수,Hong, Seong-Soo 한국공업화학회 2016 공업화학 Vol.27 No.3

        $PbMoO_4$를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수열합성법으로 합성하였고, XRD, Raman, TEM, PL, BET 및 DRS 등에 의해 특성 분석을 하였다. 이들을 사용하여 자외선 조사 하에서 Rhodamine B의 광분해 반응에서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XRD 및 Raman의 분석 결과로부터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손쉬운 수열합성에 의해 잘 결정화된 $PbMoO_4$ 구조를 가진 촉매들이 합성되었으며 52에서 69 nm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여 합성된 $PbMoO_4$는 P-25와 순수한 $PbMoO_4$ 보다 높은 광촉매 활성을 나타내었다. pH 9에서 합성된 $PbMoO_4$ 촉매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모든 촉매들은 540 nm 부근에서 강하고 넓은 PL 흡수밴드가 나타났으며, 이 피크의 세기가 커질수록 Rhodamine B의 광분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ad molybdate ($PbMoO_4$) was successfully synthesized using a facile surfactant-assisted hydrothermal process and characterized by XRD, Raman, TEM, PL, BET and DRS. We also investigated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these materials for the decomposition of Rhodamine B under UV-light irradiation. From XRD and Raman results, well-crystallized $PbMoO_4$ crystals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with the particle size of 52-69 nm. $PbMoO_4$ catalysts prepared in the presence of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CTAB) enhanced the photocatalytic activity compared to that of using P-25 and pure $PbMoO_4$ catalysts. The maximum photocatalytic activity of $PbMoO_4$ catalyst were observed when preparing it in pH 9 solution. The The PL peak at about 540 nm were observed for all catalysts and the excitonic PL signal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respect to the photocatalytic activity of Rhodamine B.

      • SCOPUSKCI등재

        알칼리족 금속이 첨가된 LaCoO<sub>3</sub> 산화물에서 메틸 오렌지의 광촉매분해 반응

        홍성수,Hong, Seong-Soo 한국화학공학회 2017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5 No.5

        마이크로파 공정으로 제조된 순수한 $LaCoO_3$와 금속이온이 첨가된 $LaCoO_3$ 페롭스카이트 산화물에서 메틸오렌지의 광촉매 분해반응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순수한 $LaCoO_3$와 세슘 이온이 첨가된 $LaCoO_3$ 산화물들은 제조법과 무관하게 페롭스카이트 구조를 보여주었다. UV-Vis DRS 결과에 의하면 모든 촉매들은 가시광 영역에서 흡수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화학흡착된 산소종은 메틸오렌지의 광촉매 분해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화학흡착된 산소의 비율이 높을수록 더 높은 광촉매 활성을 보여주었다. We have investigated the photocatalytic activity for the decomposition of methyl orange on the pure $LaCoO_3$ and metal ion doped $LaCoO_3$ perovskite-typeoxides prepared using microwave process. In the case of pure $LaCoO_3$ and cesium ion doped $LaCoO_3$ catalysts, the formation of the perovskite crystalline phase was confirmed regardless of the preparation method. From the results of UV-Vis DRS, the pure $LaCoO_3$ and cesium ion doped $LaCoO_3$ catalysts have the similar absorption spectrum up to visible region. The chemisorbed oxygen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methyl orange and the higher the contents of chemisorbed oxygen, the better performance of photocataly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