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894년 고부 ‘만석보’의 위치 재검토

        홍성덕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2024 동학농민혁명 연구 Vol.2 No.-

        1894년 1월 10일 말목장터에 모인 농민들이 고부관청을 습격하고 만석보를 파괴 하면서 동학농민혁명은 시작되었다. 만석포가 파괴된 지 130년이 되었지만 동학농 민혁명 당시 만석보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1973년과 1997년 만석보를 기념하는 비석을 세웠지만 그곳이 만석보가 있었던 곳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국가유산으로 지정된 위치 역시 만석보가 있었던 곳으로 확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는 확인하기 어렵다. 만석보의 위치가 그려진 지도는 1914년 동진수리조합 설립 신청 기록에 수록되어 있다. 이 지도 역시 측량지도가 아니기 때문에 위치를 확정하기는 어렵다. 2004년 당시 확인한 나무 말뚝 역시 동학농민혁명 당시 의 것은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념비는 역사적 현장에 세워졌을 때만 그 기능을 바로 할 수 있다. 현재 만석보가 있었던 곳으로 알려진 지역은 만석보의 위치와 다르다. 문화유산 구역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이유이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만석보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을 발굴하는 것이다. 하천의 특성상 나무 말뚝을 확인 할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기억과 자료 수집을 통해서 위치를 재확인하고 바로 잡는 작업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The destruction of Manseokbo was the beginn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began on Jan. 10, 1894, when farmers gathered at the Malmok Marketplace attacked the government office and destroyed Manseokbo. However, the exact location of Manseokbo is unknown. In 1973 and 1997, a monument was erected to commemorate the Manseokbo, bu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it was where Manseokbo used to be. The location of the monument is also different from where Manseokbo used to be. A map depicting the location of Manseokbo is included in the record of applic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ongjin Repair Association in 1914. Since this map is also not a survey map,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lo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wooden pegs identified in 2004 were not from the time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monument should be erected at the historical site in order to function properly. The area where there was the Manseokbo is different from where the Manseokbo was located.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review how to determine the cultural heritage area. The most reliable way is to excavate the area where the Manseokbo is believed to have been. Due to the nature of the river, there is a possibility to check the wooden stake. In addition, the location needs to be reconfirmed and modified through memory and data collection.

      • KCI등재

        전라감영 복원의 의미와 과제

        홍성덕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60

        In October, 2020, Jeollagamyeong was restored. This paper is going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restoration of Jeollagamyeong since 1996, and suggest the meanings of the restoration and problems to be solved henceforth. The restoration of Jeollagamyeong has an important meaning in Jeollabuk-do society that it not only spotlights the history of Jeollabuk-do, but also recovers Jeonju city’s identity. The project to restore Jeollagamyeong was bound to connect to the ways of revitalizing Jeonju’s downtown area, and it took 24 years to get agreements. Restoring Jeollagamyeong, the discussion processes between Jeollabuk-do and Jeonju city could be evaluated as a model of governance administration. The restoration committee has been entrusted with exclusive rights and decided to restore Jeollagamyeong not by the governments’ will but by respecting the ideas of experts and citizens. They proceeded the excavation and study of the restoration site in order to secure the authenticity of restoration, and thus recorded the results of excavation of the site including the building (the old province hall). While restoring the gamyeong, provincial hall of the Joseon era, they intended to create the double space-time while including the building of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One thing to keep in mind for the practical use of the restored buildings is that even though Jeollagamyeong is restored based on Joseon style, it will be used by the present citizens. It means though the restoration should be done based on the buildings and cultures of the Joseon, it should have present senses. To achieve the goals, the restored Jeollagamyeong has urgent things to decide: the main body of its management, scale of further restoration, visions for practical use and decisions of future businesses. Further, as done during the process of its restoration, the solutions for the problems should be solved under the same governance system. I suggest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Restoration and Re-creation Committee of Jeollagamyeong should be maintained, and the project should be proceeded step by step based on the agreements of all the related to set management rules and future visions according to historical and cultural viewpoints. 2020년 10월 전라감영이 복원 준공되었다. 본 논문은 1996년부터 시작된 전라감영 복원 논의 과정을 살펴보고 복원의 의미와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전라감영 복원은 전라북도 역사재조명과 전통문화중심도시 전주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차원에서 지역사회 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감영 복원의 논의가 시작된 것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도시가 팽창함에 따라 협소한 도청사의 신축 과제가 제시되면서부터이다. 1996년 신축 도청사 부지가 결정되면서 청사 이전 이후 구청사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하였고, 전라감영의 수부로서 전라감영의 복원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감영 복원 문제는 구도심 활성화 방안과 연계되었고 논의를 모아가는 과정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 복원 논의 과정은 전라북도와 전주시의 거버넌스 행정의 모범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복원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회에 복원 과정에 대한 일체의 권한을 부여한 것이다. 위원회는 관 중심의 복원이 아닌 전문가와 시민 중심의 합의를 도출하였다. 복원의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사 연구와 발굴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철거되어 사라질 근현대 유산(구 도청사)에 대한 기록화 작업을 병행하였다. 조선시대 감영을 복원하지만 근현대라는 중층의 시공간을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복원된 건물은 전라감영 중 감사영역에 해당하는 선화당, 관풍각, 연신당, 내아, 내삼문 등이었다. 복원 건물에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설비를 갖추었다. 활용과 관련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은 조선시대 감영 건물을 복원하였으나 그 건물을 활용하는 것은 조선시대가 아닌 현재라는 점이다. 이는 감영 건물의 활용에 대한 비전과 방향에 관한 합의를 도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활용은 감영의 본질 즉 조선시대의 감영·감영문화를 기반으로 하되 현재적 의미가 발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제 복원 준공된 감영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운영의 주체, 추가 복원의 규모, 활용 비전·사업의 정립 등이다. 복원 과정에서 그러했던 것처럼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거버넌스체제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전라감영복원재창조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면서 조직 편의 논리가 아닌 역사문화적 관점에서 운영과 미래 비전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고 단계별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그에 앞서 당면한 운영 문제는 전문성을 가진 단체 또는 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탈유교사회 유림 네트워크 분석 시론

        홍성덕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5 No.-

        본 연구는 근현대 전환기 유학자의 사회관계망 분석과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 시론적인 글이다. 식민지배와 함께 한국은 탈유교사회로 전환되었다. 식민지 근대는 전통의 해체를 요구하였고 전통의 해체는 유교문화에서 벗어나는 것을 의미했다. 그럼에도 전통적 유림이 유교문화를 배척한 것은 아니었다. 사회가 근대사회로 재편되는 과정에서도 유학자는 사회관계망 형성을 통해 유학의 계승을 놓지 않았다. 탈유교사회 속에서 삶을 영위한 유학자들의 사회관계망 분석을 통해 근대 한국사회에서 유교의 본질과 위상이 어떠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조선 유학의 지형도를 분명히 할 수 있고, 근현대 유학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현대 한국사회에서 유학이 가지는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탈유교사회에서 유교문화가 가지는 규범성이 파악하고 21세기 건강한 한국사회를 위한 유학의 기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사회관계망 분석은 유학자의 개인 문집에서 관계형성자를 추출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사회관계망 분석은 시계열적으로 재배열되어야 하며, 유학자의 지리 정보와 인적 네트워크 형성의 관계를 밝혀야 한다. 유학자와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 밀집도를 파악하기 위한 증거 자료를 제시해야 하며, 관계의 위계성 여부로 검증되어야 한다. 유학자 사회관계망 시스템에는 기본적으로 근현대 유학자뿐 아니라 일반 사람들의 인적 정보가 축적되어야 하며 출처정보가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시스템은 인명DB와 출처DB를 중심으로 설계되고 유학자 상호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유형 분류와 기술(記述) 내용이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불특정의 두 유학자가 상호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분석해 시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근현대 유학자에 대한 정보는 전근대보다 상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내용이 많다. 따라서 시스템은 확장과 변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This paper is a kind of an essay to suggest the directions to analyze social networks of Confucian scholars in modern and contemporary era and construct the appropriate system for the study. With the beginning of Japanese colonial ruling, Korea became a post-Confucian society. The colonial modern times required deconstruction of Korean traditions, which forced Korea to get out of its Confucian culture. However,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didn’t exclude their Confucian culture. Even in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as a modern society, the scholars didn’t give up inheriting Confucianism constructing their own social net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social network in the post- Confucian society,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essentials and status of Confucianism at that time. Wit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topographical map of Joseon’s Confucianism more clearly, and change the studying paradigms of modern and contemporary Confucianism. In addition, we may understand the diversity that the Confucianism has in contemporary Korea. Further, understanding the canonicity of Confucian culture in the post-Confucian society, we can suggest the functions of Confucianism for the healthy Korean society for the 21st century. The social network analysis begins from extracting relation-promoters from scholars’ personal anthologies. Social network analysis should be rearranged according to time series, an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each scholar and the relations of personal network formation should be clarified. Further, corroborative data to understand the relation density among scholars should be suggested, and they should be verified upon the hierarchy of relationships. In the Confucians’ social network system, there should be included human information of both modern and contemporary scholars and common people, and the information of the sources should be provided as well. For this, the system should b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database of names and their sources, and categories of types and description explaining mutual relationships among scholar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how two unspecified scholars could be linked should be analyzed and provided visually. In fact, inform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scholars is rather difficult to get than that of premodern scholars. Thus, the system should be designed to be expanded and changed more easily.

      • KCI등재

        조선후기 한일외교체제와 대마도의 역할

        홍성덕 동북아역사재단 201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1

        Japanese scholars understand that the Joseon government and Tsushima domain were the main sites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paper offers a different idea by suggesting that Tsushima domain performed diplomatic operations under the command or the connivance of the Edo Bakufu. One should remember that the peace negoti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did not begin on a one-to-one basis during the process of restoring diplomatic ties after the Imjin Waeran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The reopening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was closely related to the peace negotiations between Japan and Ming China. Thus, it was unavoidable that the main Japanese participant in diplomatic negoti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was Tsushima, not the Japanese government, because of the unstabl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conditions of both central governments. The Giyu Agreement of 1609 was the diplomatic basis of Joseon and Japan relations. Japanese scholars’ evaluation of the Giyu Agreement displays the fatal flaw of connecting Joseon and Tsushima with no consideration of the “pre-modern” situation because their evaluation comes from misinterpreting promises as an agreement. According to international law, promise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n agreement. Meanwhile, Joseon strengthened diplomatic policies toward Japan based on the Giyu Agreement. Tsushima, which was the mediator between the two countries,forged kings’ documents for the purpose of successful diplomatic negotiations. Although the forgeries were revealed, neither Joseon nor Japan punished the governor of Tsushima. Instead, the Japanese government introduced into Tsushima the Iteian monk rotation system for managing diplomatic documents directly. From that point, Tsushima concentrated on friendly trade with Joseon, which was done by sending various chawae , or temporary goodwill envoys. The Joseon government controlled the activities of these envoys by restricting their activities to nearby Japanese offices and limiting their diplomatic delegations. Through spatial and personal control, the Joseon government was able to stop people from smuggling and meeting without permission. More detailed regulations on the operation of Japanese offices and the exchange of goods were established, and the new diplomatic line of Munuihaeng -Byeolchawae was introduced. It is definitely false to evaluate the late Joseon period only based upon the thirty years around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It is necessary for historians in Japan to shed their exclusive, patriotic viewpoint. They should admit that Japan’s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the Joseon government were conducted while the Edo Bakufu was still being established. Further, the features of seongsingyorin (true foreign relationships) should be studied based upon the Edo Bakufu’s dominance of foreign diplomacy toward the Joseon government from 1635. 조선후기 한일관계에 대한 평가는 국교재개기 대마도주의 국서개작(위작) 사건에 묻힌 듯 전 시기를 조망하지 못하고, 외교의 주체에 대한 두 나라의 상반된 견해가 맞서 있다. 교섭의 주체가 조선과 쓰시마번이라는 일본 내의 연구와 에도막부의 명령 또는 묵인 아래 이루어진 것으로 대등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기본적으로 조선후기 한일관계는 조선전기의 형태를 전제로 하고 있다. 다만 조선전기 두 나라의 정치ㆍ외교적 환경과 조선후기의 그것은 동일한 사상적 토대위에서 다르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대적 차이를 고려해야만 한다. 국교재개기에 유념해야 할 것은 두 나라의 강화교섭이 조선과 일본의 일대일 관계로부터 시작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명나라와 일본의 강화협상 연장선에 조선과의 강화논의는 맞물려 있다. 그리고 강화교섭의 공감대는 자국 중심의 교섭 방향을 결정지었다. 즉 조선의 差重之計와 강화조건 제시, 국서개작 및 僞犯의 묵인 등과 대마도를 매개로 한 일본의 강화교섭전략 그리고 대마도주의 국서개작 묵인, 통신사의 조공사절화와 같이 서로의 입장을 앞세운 교섭이 진행되었던 것이다. 바로 그 사이에서 대마도주는 사활을 건 외교협상을 벌일 수밖에 없었다. 1609년 조선은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두 나라 외교관계의 기본틀을 만들었다. 기유약조에 대한 일본 연구자들의 평가는 국제법적 해석을 토대로 지적했듯이 ‘전근대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조선과 대마도를 연결짓는 오류를 벗어나고 있지 못하다. 반면 조선은 기유약조를 통해 대마도를 중심으로 하는 대일본 외교정책을 강화하였다. 국왕사의 파견을 허락하면서 가능하지 못하도록 한 것도 임진왜란 이후 조선이 가지고 있었던 대일본 외교정책의 근간이 되었다. 국교재개 이후 특히 1630년대 국서개작사건 이후 에도막부는 이정암윤번제를 시행하여 모든 외교문서를 직접 장악하였다. 이후 대마도는 대조선 통교무역에 집중하게 되었고 이는 다양한 명목의 임시사절인 차왜의 파견으로 이루어졌다. 한편 조선의 대일통제는 왜관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통제와 외교사행을 제한하는 인적통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내용적으로는 밀무역을 방지하기 위한 물적통제와 왜관 안팎에서 벌어지는 두 나라 사랍들의 접촉에 의한 사회ㆍ경제통제가 진행되었다. 왜관의 운영과 물자의 교류에 대한 많은 세부적인 규정들이 만들어지고, 인적통제는 문위행-별차왜의 새로운 외교라인의 형성으로 정착되었다. 문위행-별차왜는 외교실무전문가로서 17세기 중반 이후 두 나라의 직접적인 외교교섭 창구였다. 국교재개 전후 30여년의 시대적 환경만으로 조선후기 전 시기를 평가해 버리는 것은 명백한 오류이다. 폐쇄적 자국중심의 사고로부터 벗어나 일본의 에도막부가 정착해 가는 과정 속에서 국교재개교섭을 평가하고 아울러 1635년 이후 에도막부의 대조선외교권 장악을 바탕으로 성신교린의 성격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전주향교 완영책판(完營冊板) 보존현황 및 활용방안

        홍성덕,김철배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5 고문화 Vol.65 No.-

        본 연구는 전주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完營冊板에 대한 조사연구이다. 완영책판은 조선시대 전라감영에서 서적을 간행할 때 사용하던 책판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朱子大全』『性理大全』 등 총 11종 4,290판이 보관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 조사한 결과 769개가 많은 총 10종 5.059개의 책판이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주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완영책판의 종류는 『資治通鑑網目』, 『東醫寶鑑』, 『朱子大全』, 『栗谷全書』, 『性理大全』, 『增修無?錄諺解』, 『史記』, 『史略』, 『湖南三網錄』, 『朱書百選』 등 총 10종이다. 이들 서적을 모두 제작할 경우 책판은 10,621개 21.238면이 필요하다. 이를 기준으로 볼 때 장판각 소장 완영책판의 현존율은 책판 47.6%. 面數 46.3%이다. 또한 중복된 면이 219면이므로 실제적인 면수 현존율은 45.2%이다. 육안조사에 의한 충해피해의 정도는 5.51% 258개이며, 90.19%의 책판 4,562개에서는 쪼개짐이나 균열의 피해가 조사되었다. 이런 이유는, 책판 좌우에 있는 마구리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무리한 압력을 가하여 책판과 마구리를 고정하였던 철심부를 중심으로 가로로 쪼개지거나 균열이 발생하였기 때문으로, 마구리의 不存率이 92.2%인 점과 연관되어 있다. 탈첨자와 같은 補刻의 흔적은 2.89%인 292면에서 발견되었으며. 보각한편 4점이 책판 이송과정에서 수습되었다. 복각의 경우 총 216면이 2개 이상 복각되었고, 동일책판이 2개 복각된 것은 213개, 동일책판이 3개 복각된 것은 3개가 각각 보존되어 있다. 완영책판은 조선시대 지방 관청에서 사용한 책판으로는 유일한 것으로 문화재적 가치는 매우 크다. 특히 전라도 지역의 기록문화전통과 연계해 볼 때 완영책판의 효율적인 보존관리와 심도있는 조사연구가 요망된다. This study researches the publishing circumstances and the woodblocks used in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t Jeollado in Joseon dynasty. Wanyung woodblocks indicate the printing blocks which were used in Jeolla local office. Known so far, there were 11 sorts of 4,290 blocks existing there, including Seongridaejeon and Jujadaejeon. Actually, there has 10 sorts of 5,059 blocks been kept. They are Jachitonggam, Dongeuibogam, Jujadaejeon, Yulgokjeonseo, Seongridaejeon, Jeungsuwonrokeonhae, Sagi, Saryak, Honamsamgangrok, and Juseobaekseon. To print and bind all of the books mentioned above, 10,621 woodblocks and 21,238 pages are needed. Judging from this results, the current existing rate of jangpangak woodblocks is 47.6% of blocks and 46.3% of pages each. Considered the 219 redundant pages, the actual page rate is 45.2%. Damage from insects are investigated as 5.51 % and 90.19% of the woodblocks have been splitted or cracked by the examination of the naked eyes. The woodblocks were splitted or cracked by strong pressure around the nail on them when they were removed, and it had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absence rate of the handles of them, 92.2%. The traces of added or omitted words were discovered on 292 pages(2.89%), 3 revised letters were collected during transporting them. 216 pages of blocks were newly producted, 213 blocks were redundant, and 3 of them had 3 pages. Wanyung woodblocks are the only blocks that the local government office had in Joseon dynasty, so its value as cultural treasure is enormou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of Jeonju with the record culture tradition of Jeollado, the effectiv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and in-depth study is imperative.

      • KCI등재

        한국경제(韓國經濟)의 성장요인분석(成長要因分析)(1963~92)

        홍성덕,Hong, Seong-Deok 한국개발연구원 1994 韓國 開發 硏究 Vol.16 No.3

        우리나라 경제(經濟)는 1960년대초 이후 거의 지속적(持續的)인 고도성장(高度成長)을 이룩하여 왔다. 이와 같은 고도성장(高度成長)이 가능하였던 원인(原因)으로서는 1960년대초 이후 수출주도형(輸出主導型) 공업화정책(工業化政策)의 계속적이고 성공적인 추진을 들 수 있으며, 또한 정치적(政治的), 사회(社會) 경제적(經濟的) 여건과 요인들도 고도성장(高度成長)에 기여(寄與)했을 것이다. 본고(本稿)는 인적(人的) 및 물적(物的) 부존자원조건(賦存資源條件)과 그에 따른 자원(資源)의 배분(配分) 및 생산성변화(生産性變化)등과 관련된 우리나라 경제성장요인별(經濟成長要因別) 기여도(寄與度)를 Edward F. Denison의 접근방법에 의해서 추정했으며 1963~92년간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 접근방법으로 추정한 1963~82년간에 대한 Kim and Park(1985) 의 측정결과를 수정발표된 국민계정자료(國民計定資料)에 의해서 1972년부터 수정하고 1992년까지 연장추정하였다. 추정결과는, 과거 우리나라의 고도성장요인(高度成長要因)이 구체적으로 무엇이었던가 하는 문제에 대한 해답과, 선진국가(先進國家)의 성장요인(成長要因)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일반적(一般的)인 경제성장과정(經濟成長過程)의 보다 확실한 이해를 위한 자료로서, 또는 우리나라의 장내(將來) 성장잠재력(成長潛在力)을 전망(展望)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