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전적인 커피 로스터리 운영을 위한 중요도 연구

        홍선주 한국커피협회 2017 한국커피문화연구 Vol.3 No.1

        The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customer satisfaction research affecting the operation of coffee shops and was design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and start-up of Coffee Roastery. As growing the increase income level and raising awareness of modern people, the interest of coffee is rising up. Roastery Coffee Shop, which offers delicious coffee, serves fresh and high-quality coffee, is gaining popularity. More and more consumers are turning to the atmosphere of going to the Roastery Cafe, where consumer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flavor of coffee and the taste of high-quality bean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study the importance of the operation needed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the coffee industry amid the low survival rate of the coffee business. More than 20 operators were surveyed of operating in coffee rastery in 5 to 10 years, then the factors have been determin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opinions through the reliability analysis.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the Coffee Roastery factors was derived.

      • KCI등재

        예비 중등 교사의 직소우(Jigsaw) 모형 경험에 관한 연구

        홍선주,김인수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 양성교육에서 교수․학습방법을 교재를 통해서 예비교사에게 제시하는 대신에, 해당 방법을 적용한 수업을 직접 예비교사들이 참여하게 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연구” 수강생인 예비 중등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직소우 모형을 3주에 걸쳐 적용하였다. 3주 동안 수집된 자료는 총 125부로, 성찰저널 75부, 전문가 학습지 25부, 주제 정리 학습지 25부였다. 이 중에서 성찰저널 75부가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예비교사의 직소우 모형 경험은 직소우 모형에 대한 총체적 지식 체득, 직소우 모형을 적용한 수업 운영 능력 함양, 직소우 모형의 활용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배양이라는 세 개의 상위 범주와 아홉 개의 하위 범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의 직소우 학습 경험은 두 가지로 귀결되었다. 첫째, 직소우 학습 경험은 모형에 대한 지식습득과 더불어 모형을 활용하는 기술을 총체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직소우 학습 경험으로 예비교사는 해당 모형을 통한 학습의 의미와 유용성을 명확하게 인식하였고 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activity centered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on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purpose, a cooperative class based on the Jigsaw learning model was applied and 125 materials which include 75 reflection journals were collected. Those reflection journal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9 graduate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six factors with three categories. In conclusion, results show that learning experience through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model makes pre-service teachers acquire procedural knowledge and reconstruct knowledge about jigsaw learning model. Results also show that learning experience makes pre-service teachers create practical knowledge.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participation experience based Jigsaw learning model makes pre-service teachers form a positive attitude of applying jigsaw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their class in future.

      • KCI등재

        학업성취 우수 일반고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특성: 중소도시 2개교 사례 분석

        홍선주,김현진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high-performing high schools through analyzing two high school cas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ive factors in high-performing high schools, two representative cases of high-performing high schools from two different regions were selected and contrasted and compar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ases.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document analysis, group meetings with principals and teachers, classroom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lass teachers and students were adopted. A qualitative approach was applied for the data analysis. In results, School A indicated tailored curriculum according to students' performance, balance between students' empowered rivalry culture and good friendships, teachers' passion, flexible teaching methods for different level classes, and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understanding rather than knowledge delivery. School B indicated reading, discussion, and essay curriculum for enhancing students' creativities, mutual respect and sharing culture of teachers and students, students' trust for teachers' responsibilities,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understanding,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extra-curriculum activities such as lesson diary and mentoring.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performing high schools includes implementing the curriculum tailored to school context and student characteristics, teaching based on students' understanding, and constructing the culture of trust and sharing between school members including students, teachers, and principals.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학업성취가 우수한 일반고를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통해 학업성취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학교 내적 요인들의 특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지역적 여건이 상이한 중소도시 두 곳에서 학교를 각각 선정하여, 학교의 지역적 여건 및 그에 따른 학생집단의 특성 차이에 따라 어떠한 요인이 유사하게 혹은 차별화되어 학업성취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지 학교의 상황적 맥락과 관련지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성취 우수 학교의 교장, 교감, 부장교사 등에 대한 집단면담, 교과 수업 관찰 및 수업 교사와의 심층 면담, 수업 참여 학생들에 대한 집단면담 등 다각적인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고등학교의 경우 다각도로 복잡한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학생 간 자율 경쟁 시스템의 정착 및 좋은 교우관계의 유지, 교사의 열정, 수준별 수업에서 각 수준에 부합하는 유연한 수업방법의 적용, 지식 전달이 아닌 학생 이해 중심의 수업방법의 활용 등의 특성이, B고등학교의 경우 창의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독서‧토론‧논술수업 강화, 학생과 교사 간 상호존중과 소통의 문화와 교사의 책임감에 대한 학생의 신뢰, 개념 이해를 촉진하는 수업방법의 활용, 수업일기나 교과멘토제와 같은 수업 외적 요소의 효과적 활용 등의 특성이 우수한 학업성취도 유지의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학교는 처한 환경과 학생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교사는 학생의 내용 이해를 최우선으로 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실행하며, 학생과 교사 등 모든 구성원 간 신뢰와 소통의 문화를 구축할 때 학업성취의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우수등재

        학업성취 우수 일반고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특성

        홍선주,김현진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학업성취가 우수한 일반고를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통 해 학업성취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학교 내적 요인들의 특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지역적 여건이 상이한 중 소도시 두 곳에서 학교를 각각 선정하여, 학교의 지역적 여건 및 그에 따른 학생집단의 특성 차이에 따라 어떠한 요인이 유사하게 혹은 차별화되어 학업성취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지 학교의 상황적 맥락과 관련지 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성취 우수 학교의 교장, 교감, 부장교사 등에 대한 집단면담, 교 과 수업 관찰 및 수업 교사와의 심층 면담, 수업 참여 학생들에 대한 집단면담 등 다각적인 방법으로 자료 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고등학교의 경우 다각도로 복잡한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학생 간 자율 경쟁 시스템의 정착 및 좋은 교우관계의 유지, 교사의 열정, 수준별 수업에서 각 수준에 부합하는 유연한 수업방법의 적용, 지식 전달이 아닌 학생 이해 중심의 수업방법의 활용 등의 특성이, B고등학교의 경우 창 의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독서 토론 논술수업 강화, 학생과 교사 간 상호존중과 소통의 문화와 교사의 책임 감에 대한 학생의 신뢰, 개념 이해를 촉진하는 수업방법의 활용, 수업일기나 교과멘토제와 같은 수업 외적 요소의 효과적 활용 등의 특성이 우수한 학업성취도 유지의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학교는 처한 환경과 학생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교사는 학생의 내용 이해를 최우선으로 하는 교수 학습 방안을 실행하며, 학생과 교사 등 모든 구성원 간 신뢰와 소통의 문화를 구축할 때 학업성취의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지역 여건에 따른 ‘학업성취 우수 중학교’의 특성 분석

        홍선주,이미경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3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high- performing middle schools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ose schools. The study investigated two middle schools: A and B middle schools. The characteristics accounting for high student achievement of A middle schools include following: providing individualized after-school programs, using small group discovery learning in classes, reorganizing curriculum content, providing strong principal's leadership, and establish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between schools and parents. The characteristics of B schools identified as follows: implementing program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mall school in a rural area, providing individualized teaching, focusing on the basic content of curriculum, supporting students based on their needs. The characteristics of high-performing middle schools identifi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onsidering school environment and student traits in developing educational plans and managing schools, having teachers who are passionate about their teaching and utilizing various teaching strategies based on student learning styles and subject content, and providing strong principal leadership.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성취가 우수한 중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학업성취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학교 내적 요인들의 특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특히 도시지역과 읍면지역의 우수 학교 각 한곳을 선정하여, 학교의 지역적 여건 및 그에 따른 학생 집단의 특성 차이에 따라 어떠한 요인이 유사하게 혹은 차별화되어 각각 학업성취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지 학교별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성취 우수 학교의 구성원에 대한 면담, 교과 수업 관찰 및 수업 교사와 학생 면담 등 다각적인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소도시 A중학교의 경우 자체의 학력 향상 계획에 의거한 다양한 방과후 교육과정 운영, 소집단 발견학습 실시,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재구성, 학교장의 리더십과 교사들의 팔로워십의 조화, 학부모와의 협조적 관계 구축 등의 특성이, 읍면지역 B중학교의 경우에는 소규모 학교의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 운영, 개별지도 실시,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기본에 충실한 수업 운영, 학생 복지에 초점을 둔 학교 운영 등의 특성이 우수한 학업성취도 유지의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학교가 환경적 여건을 고려한 최적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교사가 열정을 토대로 학생 집단의 특성에 부합하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을 실행하고, 학교장이 이러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운영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학교를 운영할 때 학업성취의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