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적(精神的)인 stress로 인(因)하여 간(肝)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이로 인(因)한 소화기장애(消化器障碍)

        홍석의,김강산,강병기,Hong, Seok-Eui,Kim, Kang-San,Kang, Byung-Ki 대한한방내과학회 1994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15 No.2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that Chiljung(七情) exert upon the liver system, and Spleen-Stomach functions. In oriental medicine regard stress as Chiljung(七情). No(怒), among the Chiljungs(七情) is a Shinji(神志) that the primary factors to develop the Kan(肝)s pathological process. The stress stimulates Hypothalamic Corticotpopin Releasing Center. This is why gastrin is more released than normal limit. It is caused disfunction of stomach. In result of No(怒), KanJuSoSeol(肝主疏泄)cannot do it's function. It results that KanKiBeomYi(肝氣犯胃) and KanKiSuingBi(肝氣乘脾) KanKiBeomYi caused to AiKi(曖氣), TanSan(呑酸), KanKiSuingBi caused to abdominal pain, diarrhea. In this point of view, It is important to take emotional stability, and escape from all this stress.

      • 2-머캅토싸이아졸 및 2-하이드록시싸이아졸류의 토오머화와 분해 가능성 : degradation ability

        홍석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2003 환경연구 Vol.26 No.-

        Stability of tautomers of 2-mercaptothiazole and 2-hydroxythiazole was investigated with reaction energies calculated by density functional theory in other to predict degradation of a kind of benzothiazoles such as 2-mercaptobenzothiazole and 2-hydroxybenzothiazole. Single point geometric structure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starting material structure, homodimer (or heterodimer) and products as tautomers. The result was that thiazoline-2-thione, a tautomer, was energetically more stable than the corresponding thiol as known generally. It was expected that their high stabilities were not always in agreement with their poor degradation because of the catalytic factors such as naturally occurring acid, base, metallic ions and so on.

      • KCI등재

        국민참여재판의 개시요건에 대한 고찰

        홍석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42 No.1

        The participatory trial system, which allows ordinary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trial, is going beyond 10 years. Initially, the participatory trial system was intendedto establish a final model after piloting for five years, but it still does not have thefinal form because there are a number of issues throughout the proceedings of theparticipatory trial. This paper summarizes the issues related to the requirements tostart the participatory trial and suggests desirable ways to improve the system fromthe viewpoint of effectiveness and constitutional norms. The main issues with respect to the requirements for the initiation of aparticipatory tria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cope of the eligible cases. Whether to respect the defendant’s intentions or to force the participatory trial to beinitiated by the court or law. Wheth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grounds for thedecision to exclude the participatory trial by the court. There are two criteria thatshould be applied when establishing the requirements for the initiation of participatorytrial.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system should not violate the Constitution and theeffectiveness of the system should be maximized based on the experience ofparticipatory trial system. In this respect, the scope of the eligible cases of participatory trial should bemaintained to include cases falling under the jurisdiction of a collegiate panel underArticle 32 (1) of the Court Organization Act just like now to include election crimesor economic crimes. Next, regarding the issue of reflecting the defendant’s intentionsin deciding whether to initiate a participatory trial or not, it is the most reasonable way that all eligible cas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orm of participatory trialunless the defendant clearly expresses his opposition. However, the defendant’sfrequent opposition may break the purpose of the participatory trial system andviolate the right of th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participatory trial as jur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participatory trial mandatory for certain crimes. Finally, the situation in which the courts have been overly decided to exclude theparticipatory trial and the participatory trials are not fully activated should also bechanged. So, the abstract exclusionary grounds of Article 9 (1) 4 of the Act onCitizen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 should be replaced with concrete and clear reasons. 재판에 일반 국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국민참여재판제도가 시행 10년을넘기고 있다. 5년간의 시범운영을 전제로 도입된 제도가 여전히 최종형태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은 국민참여재판의 거의 모든 진행단계에 걸쳐 수많은 쟁점이 있고, 논란도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국민참여재판제도와 관련된 여러 쟁점 가운데 국민참여재판의 개시요건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 현실적 및 헌법규범적 관점에서 바람직한 제도 개선의 방향을 제시한다. 국민참여재판의 개시요건과 관련한 쟁점은 대체로 대상사건의 범위, 피고인의 의사에따른 신청주의와 법원에 의한 강제개시 또는 의무개시의 인정여부, 법원에 의한 배제 가능성의 확대 혹은 축소 여부 및 그 절차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국민참여재판의 개시요건을 설정하는 경우에도 가장 우선되어야 할 기준은무엇보다 일반적 및 구체적인 측면에서 헌법규범적 한계를 준수하여야 한다는점, 그간 시범시행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우리의 현실적 요건을 충분히 고려하면서도 제도의 실효성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선, 국민참여재판 대상사건은 앞으로 일정기간 동안 현행법과 마찬가지로 선거범죄나 경제범죄 등 권력밀착형 범죄를 포함할 수 있도록 「법원조직법」상 합의부 관할 사건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음으로, 국민참여재판의 개시에 피고인의 의사를 반영하는문제와 관련하여서는 대상사건은 원칙적으로 모두 국민참여재판으로 진행되도록 하되, 피고인이 반대의사를 분명히 하는 경우에는 통상절차로 진행될 가능성을 열어두는 방식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피고인의 기피로인하여 국민참여재판제도의 도입 취지가 무색해지고 국민이 국민참여재판에참여할 권리가 침해될 여지가 있으므로 합리적인 기준을 통해 일정한 범죄에대해서는 국민참여재판을 의무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법원의 높은배제결정율이 국민참여재판 활성화에 큰 장애가 되고 있는 상황도 개선해야한다. 따라서 국민참여재판법 제9조제1항제4호의 일반적 배제사유는 삭제하고오랜 기간 축적되어 온 배제결정의 경험을 토대로 꼭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를 유형화하여 열거하는 개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데이터 압축을 통한 동적 메모리 랭크 구성 기법

        홍석인(Seokin Ho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4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압축을 통해 메모리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적랭크 서브세팅 기법 (Dynamic Rank Subsetting, DRAS)을 제안한다. DRAS 기법은 하나의 메모리랭크 (Rank)를 두 개의 서브랭크 (Sub-rank)로 동작되도록 하여, 데이터가 절반 크기로 압축될 경우 압축된 데이터를 하나의 서브랭크에만 저장한다. 이를 통해 DRAS 기법은 압축된 데이터에 대한 읽기 및 쓰기 동작의 메모리 대역폭을 두 배로 높일 수 있고, 동적 전력 소모도 절반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만약 데이터가 절반 크기로 압축되지 않는다면 기존 메모리 시스템에서와 같이 데이터를 두 서브랭크에 저장한다. 따라서 DRAS 기법은 데이터가 압축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기존 메모리 시스템 수준의 메모리 대역폭과 전력 효율성을 보장한다. 메모리 시뮬레이터를 사용한 실험 평가를 통해 DRAS 기법이 컴퓨터 시스템 성능을 평균 12% 향상시키고 메모리 시스템의 전력소모를 평균 24%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In this paper, we propose Dynamic Rank Subsetting (DRAS) technique that enhances the energy-efficiency and the performance of memory system through the data compression. The goal of this technique is to enable a partial chip access by storing data in a compressed format within a subset of DRAM chips. To this end, a memory rank is dynamically configured to two independent sub-ranks. When writing a data block, it is compressed with a data compression algorithm and stored in one of the two sub-ranks. To service a memory request for the compressed data, only a sub-rank is accessed, whereas, for a memory request for the uncompressed data, two sub-ranks are accessed as done in the conventional memory systems. Since DRAS technique requires minimal hardware modification, it can be used in the conventional memory systems with low hardware overheads. Through experimental evaluation with a memory simulator, we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memory system by 12% on average and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of memory system by 24% on average.

      • KCI등재

        선거운동의 자유와 규제에 관한 헌법적 고찰

        홍석한(Hong, Seok Han) 한국헌법학회 2013 憲法學硏究 Vol.19 No.4

        선거운동의 자유는 헌법상 기본권으로서 민주주의의 실현에서 선거가 갖는 중요성과 선거의 핵심적 목표를 실현하는데 선거운동의 자유가 차지하는 비중 및 기능을 고려할 때 다른 기본권에 비해서도 보다 중요한 기본권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그러나 공직선거법은 선거운동의 주체와 기간을 제한하고, 선거운동의 방법을 매우 포괄적으로 제한 또는 금지함으로써 원칙적 자유와 예외적 제한의 관계마저도 사실상 전도시키고 있다. 이처럼 선거운동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는 공직선거법 규정들은 오랜 기간에 걸쳐 헌법재판소의 심판을 받아왔지만, 헌법재판소는 매우 소극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 선거운동의 자유를 제한하는 입법에 대해 그 합헌성을 확인해주는 결정을 반복하고 있으며, 위헌으로 결정한 예는 극히 드물다. 선거운동의 자유에 관한 입법은 국가기관과 국가기관이 행사하는 권력의 정당성을 근거지우기 위한 선거제도의 중요한 영역이다. 또한 선거운동 규제입법은 선거권, 표현의 자유 등 민주주의의 핵심이 되는 기본권을 제한하는 것이며, 특히 입법자 스스로의 이해관계가 직접 매개된 영역의 입법이다. 이에 입법형성의 자유는 극도로 축소된다고 보아야 하고, 그에 상응하여 헌법재판소가 규범통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필요성과 그 정당성이 강조된다. 이에 비하여 헌법재판소는 지나치게 입법자의 판단 내지 국회의 입법형성의 자유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선거운동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자신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는 기본적으로 헌법재판소가 과잉금지원칙과 평등권 침해 및 명확성원칙 위배 여부에 관한 심사기준을 일관적으로 적용하지 않는데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헌법재판소는 선거운동 규제입법에 대한 심사기준을 분명히 정립해야 할 것이며, 최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의해 선거운동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의견이 국회에 제출되기도 하였는바, 국회가 선거운동의 자유를 위해 지속적으로 표출되고 있는 국민적 열망에 부응하지 않는다면 헌법재판소는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보임으로써 자신의 소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 The freedom of election campaign is one of the constitutional rights. On top of thi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election and the great function of the election campaign to realize democracy, the freedom of election campaign should be guaranteed more than other constitutional rights. However, the Public Officials Election Act excessively limits the subject who can campaign, the runup to an election, and the means of campaign to make the freedom of election campaign to be nominal. Although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been conducting the evalu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many clauses in the Act, it's been maintaining a very conservative attitude and repeatedly rules that the most regulations limiting the freedom of election campaign are constitutional. The legislation on the freedom of election not only forms a nucleus of the electoral system that is legitimizing the power of the state, but limits the most important constitutional rights for democracy such as the right to vote and the freedom of political expression. Especially, the legislators have a direct stake in the election system. Thus, the freedom of legislative formation of the legislators is very much reduced and correspondingly the Constitutional Court's power to control of norms is relatively expanded. Furthermore, it should be regarded as a responsibility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to apply a rule strictly. On the contrary to this, the Constitutional Court tends to emphasize the legislators' freedom of legislative formation on the grounds of the fair election and political reality. so clearly shows a passive attitude in the deciding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election campaign regulations. This attitude that is much to be deprecated is also caused by wrong and inconsistent standards to apply for the clauses restricting the freedom of election campaign such as the principle of proportion, principle of equality, and principle of clarity. Lately,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an amendment opinion on the Public Officials Election Act to ease restrictions on election campaign. Despite this, if the National Assembly pay no attention to meet the consitutional spirit of the freedom of election campaign, the Constitutional Court must establish appropriate review standards and also perform it's responsibilities with strict constitutional review.

      • KCI등재
      • KCI등재

        생물 시스템에 대한 초고압 처리 효과

        홍석,박완수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999 산업 식품공학 Vol.3 No.3

        초고압 처리는 생물 시스템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며, 구체적으로 형태학적, 생화학적, 유전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세포막 및 세포벽의 변화도 초래한다. 그로 인해 일정 수준의 고압처리는 미생물의 성장과 증식을 억제하고 더욱이 매우 높은 초고압은 완전히 균체를 불활성화 시키는데, 일반적으로 gram 음성 미생물은 gram 양성에 비해 더 낮은 압력에서 생물활성을 잃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압력과 열을 병용하면 세균 포자도 사멸시킬 수 있다. 초고압 처리에 의한 미생물 살균은 배지의 pH, 구성성분, 삼투압 및 온도 등의 인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미생물과 달리 효소는 고압처리에 의해 활성을 잃을 수도 있으나 오히려 활성이 증가할 수도 있다. 고압에 의한 효소의 불활성화는 분자내 구조가 변형되거나 또는 활성부위에서 형태적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으로 일부 효소의 경우 고압처리 하여도 불활성화는 가역적으로만 일어난다. 한편 초고압에 의한 생화학 반응의 변화는 주로 부피의 증감에 따른 변화로서 압력에 의해 분자간의 공간이 감소하거나 연쇄 반응이 증가하는데 기인한다. High pressure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extend the shelf life of foods, to modify the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of foods, and to store foods without refrigeration and freezing. The shelf life of foods is increased principally by the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spores, and undesirable enzymes using the appropriate pressures. In this review, the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biological system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microorganisms, enzymes, and biochemical reactions. High pressure induces a number of changes in biological systems, including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genetic changes, as well as the changes in the cell membrane and cell wall of microorganisms. Moderately high pressures decrease the rate of microbial growth and reproduction, and especially very high pressures cause the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In general, gram-negative bacteria are inactivated at a lower pressure than the gram-positive. The inactivation of spores is also caused by combining pressure treatment with heating above 60℃. Microbial inactivation by high hydrostatic pressures depends largely on pH, composition, osmotic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media. Exposure to high pressure results in the activation or inactivation of enzymes. Enzymatic inactivation takes place as a result of pressure alteration of intramolecular structures or conformational changes at the active site. Thus, the inactivation of some enzymes pressurized to a certain extent is reversible. The biochemical reactions most affected by high pressure treatment are the reactions with reactants that undergo either a decrease or an increase in the volume. Pressure causes a decrease in the available molecular space, or an increase in chain interactions.

      • SCOPUSKCI등재

        TPD 및 TPR 에 의한 바나듐 - 몰리브덴 - 인 혼합산화물 촉매의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홍석,정지훈,천진우 한국화학공학회 1991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29 No.2

        VMoP 혼합산화물 촉매상에서, 몰리브덴과 인의 조성 변화에 따른 methylcyclopentane(MCP)과 cyclopentadiene(CPD)의 산화반응을 연구하였고, 여러 반응온도에서 전환율과 무수말레산(MA)의 선택도를 관찰하였다. 또한 CPD의 산화반응 실험에서 최대의 MA 선택도를 보인 V : Mo : P=1 : 1.34 :0.11의 촉매를 사용하여, 질소와 공기의 흐름에서 숭온탈착 실험을 하였다. 산화반응 실험결과 바나듐에 대한 몰리브덴과 인의 조성비가 증가할수록 MCP와 CPD의 전환율은 감소하였다. 한편 MA 선택도의 경우에는, 반응물로 CPD를 사용했을 경우 몰리브덴과 인의 조성비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선택도가 증가했으나, 반응물로 MCP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Mo와 P의 조성비가 너무 크게 증가했을 경우 오히려 선택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승온탈착 실험결과 4개의 탈착피크가 관찰되었고 각 피크는 산화반응결과 확인된 생성물의 수와 일치하였다. 또한 이 반응의 주요 생성물인 무수말레산과 무수푸탈산은 촉매의 서로 다른 활성점에서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Oxidation reactions of methylcyclopentane(MCP) and cyclopentadiene(CPD) on the V-Mo-P mixed oxide catalyst were investigated with the composition of Mo and P. The conversion of MCP and CPD and the selectivity of MA were also examined at various reaction temperatures. Studies of activation points on the catalyst surfaces were performed through the temperature programmed desorption. In the oxidation of CPD, the highest value of MA selectivity was observed by using the V-Mo-P mixed catalyst(V : Mo : P=1 : 1.34 : 0.11). The conversion of MCP and CPD resulted in decreasing with increasing composition ratio of molybdenum and phosphorous in the V-Mo-P mixed oxide catalyst. The selectivity of MA in the oxidation of CPD resulted in increasing with increasing composition ratio of molybdenum and phosphorous in the catalyst. However, the selectivity of MA in the oxidation of MCP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molybdenum and phosphorous composition ratio. In the temperature programmed reaction(TPR) spectrum, four desorption peaks were observed and the number of the observed peaks were same as the number of reaction products. It was founded the main product of those oxidation reactions, MA and PA, were produced at different activation point of the cataly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