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징(吳澄) 도통관과 존덕성 공부론의 정주학적 특성

        홍린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98 No.-

        원대 유학자 오징(吳澄)은 주희의 사전제자이지만 주륙화회 혹은 육학에 귀의했다는 평 가를 받는 인물이다. 그 근거는 그가 주희 후학들의 도문학 학풍을 비판하고 존덕성을 강 조했다는 것이다. 오징이 육구연에 대해 수차례 호의적으로 언급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이 그가 학파적 정체성 및 공부방법론을 변경했다는 근거가 되기는 부족하다. 그가 주희와 육 구연에 대해 논하면서 진지와 실천을 강조한 대목은 주륙화회의 대표적인 근거이지만, 이 는 전형적인 정주학적 선지후행의 구조를 견지한 것으로, 주희 후학들의 지행분리와 대비 되는 육구연의 실천적 기풍에 호감을 표시했을 뿐이다. 또한 오징이 강조한 존덕성 공부는 육구연이 비판한 정주학적 주경공부라는 점에서 존 덕성 공부를 강조했다는 것은 육학에 귀의한 근거가 될 수 없다. 오징은 표면적으로만 주 경공부를 강조했던 것이 아니라 공부의 세부항목에서도 정주학적 공부방법을 계승했다. 대표적인 것이 미발시의 정제엄숙과 이발시의 성의(誠意) 공부이다. 오징의 주경공부 중심의 존덕성공부론은 도통론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오징 의 도통론은 정주학의 그것과 완전히 일치하며, 요순으로부터 자신에게 이르는 도통의 핵 심조건으로 주경공부를 제시했다. 그는 육구연에 대한 호의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도통을 논할 때는 단 한 번도 그를 포함시키지 않았다. 즉 인간의 선한 심성을 학문의 전제와 대 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육구연을 도통의 일원이라고 인정하기는 했지만 도통의 핵심 계 승자로 인정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필자는 오징이 주경공부를 도통의 핵심조건으로 보았 다는 점과 육구연이 주경공부에 반대했다는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그가 육구연을 도통의 핵심 계승자에서 배제한 원인을 추론했다. 오징은 성학의 일원인 점과 실천적 기풍을 들어 육구연을 우호적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정주학적 주경공부론 및 이와 밀접하게 결합된 도통론을 견지했다는 점에서 학문방법론과 학파적 정체성의 측면에서 여전히 정주학을 계승하는 입장을 고수했다고 볼 수 있다. Wu Cheng was a Confucian scholar in Yuan Dynasty and a Zhu Xi’s the forth generation of disciples. However, he is generally considered to “reconciling Zhu-Lu” or “convert to Lu JiuYuan”. The basis is that he criticized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of Zhu Xi’s disciples and emphasized honoring moral nature study. It is clear that Wu mentioned Lu positively several times, but this is insufficient to serve as the basis for changing his academic identity and study methodology. For instance, his emphasis on sincere knowledge and practice while discussing Zhu-Lu is the representative basis of “reconciling Zhu-Lu”, but this maintained the typical structure of “know first and practice it later” methodology, it is only expressing his favor for Lu’s practical spirit in contrast to Zhu’s disciples’ inconcsistency of knowledge and practice. In addition, the emphasis on honoring moral nature study cannot be a basis for “convert to Lu”, because this study emphasized by Wu is Chenghu style ZhuJing study which criticized by Lu. He did not only emphasize superficially, but also inherited the Cheng-Zhu study method in detail. Typical examples are Zhengqi-Yansu in Weifa-Shi(未發時) and Cheng-yi in Yifa-Shi(已發時). Honoring moral nature study centered on the ZhuJing study of Wu, is also closely related to his orthodox theory. It is completely consistent with orthodox theory of Cheng-Zhu school, and he suggested ZhuJing study as an essential term for Confucian orthodox. Despite his favorable assessment of Lu, he never included Lu when discussing Confucian orthodox. In other words, he agreed that Lu is a member of Confucian tradition because he made good-natured heart the premise and object of studying, but did not regard Lu as a key successor of Confucian orthodox. Considering comprehensively Wu’s regard ZhuJing study as an essential term of Confucian orthodox and Lu’s criticism about ZhuJing study, I inferred the cause of his exclusion of Lu from key successor of Confucian orthodox. Wu evaluated Lu positively becauce Lu also participated in Confucian orthodox and had practical spirit, but Wu still maintained Cheng-Zhu school’s identity and academic methodology in that he maintained ZhuJing study and Confucian orthodox theory closely related to it.

      • KCI등재

        오징(吳澄) 지행론 연구 - 지행분리에 대한 공부론적 해결 모색을 중심으로 -

        홍린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2 No.-

        The essence of Confucianism lies in practice, and thus the issue of the consistency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was a major point of contention in the history of Confucian philosophy. Wang Yangming (1472-1528) criticized the pursuit of knowledge by the scholars of the Cheng-Zhu school, who valued the traditional learning of the Classics, for failing to contribute to moral practice and for rapidly losing the original spirit of self-cultivation. However, when dividing knowledge into that which is needed for everyday moral practice and that which is related to complex and abstruse moral judgments, Wang Yangming emphasized the latter, while the Cheng-Zhu school emphasized the former. The Yuan dynasty Confucian scholar Wu Cheng (1249-1333), who was known 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Lu Jiyuan’s view point about knowledge and practice, actually demanded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purpose of Gewu-zhizhi (格物致 知) study within the context of Neo-Confucianism. Although he criticized the lack of consistency among the adherents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 on the surface, he still supported the Cheng-Zhu school’s view point about knowledge and practice and the associated Gewu-zhizhi study method, emphasizing that the ruling class responsible for politics and education should accumulate extensive moral knowledge. However, Wu Cheng did not simply advocate for the study of the classics. He identified the potential for a separation between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studying, and sought to combine the two by reinterpreting the concept of Bowen-yueli (博文約禮). His interpretation is distinguished from Zhu Xi's establishment of an area of Yueli (practice) separately from Bowen (knowledge), combining the two goals of completing moral knowledge and practice belonging to the study of Gewu-zhizhi. 유학의 본령은 실천에 있고, 따라서 지행일치 문제는 유가 철학사상의 주요 쟁점이었다. 왕양명(1472-1528)은 정주학 전통의 학인들의 지식을 추구하는 공부가 도덕실천에 어떠한 기여도 하지 못하는 점과 본래의 심성수양지학의 취지를 급속히상실하고 속학으로 전락했던 점을 비판했다. 다만 “앎”을 비근하고 일상적인 도덕실천을 위한 앎과 복잡하고 난해한 도덕 판단과 관련된 앎으로 나누어 볼 때 정주학은 전자를, 양명학은 후자를 더 중시하는 특징을 보였다. 육왕학적 지행관으로 경도된 것으로 알려진 오징은 실제로는 여전히 정주학의 자장 속에서 격물공부의 본래취지를 회복할 것을 요구했다. 그가 비록 표면적으로는 정주학 전통의 학인들의 지행불일치의 문제를 여러 차례 비판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정주학적 지행관 및 그로부터 비롯된 격물치지 공부방법을 옹호했으며, 정치와 교화를 담당할 주체인 사대부들이 광범위한 도덕지식을 축적해야 함을 강조했다. 그러나 오징이 격물공부를옹호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그는 격물공부가 함축하고 있는 공부론적 지행분리의가능성을 포착하고 박문약례(博文約禮)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양자의 공부론적 결합을 모색했다. 그는 박문(지식)과 약례(실천)를 각각 도문학과 존덕성에 배정하는주희의 해석에서 벗어나 양자를 모두 도문학에 배속함으로써 분리된 것으로 이해될여지가 있었던 도덕 인식주체와 실천주체의 완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격물공부안에서 결합시켰다.

      • KCI등재

        2000년대 이래 주자학에 대한 역사적 연구의 조류* – 지성사 및 예학 연구를 중심으로 –

        홍린 대동철학회 2023 大同哲學 Vol.105 No.-

        오늘날 주자학은 여전히 이기·심성론을 위주로 진행되고 있고, 이는 서양철학의 형이 상학, 존재론, 인식론의 틀에 맞추어 동양철학의 존재를 증명하고자 했던 현대 신유가의 노력의 연장선이라 할 수 있다. 전통시대 사상가들의 개념과 명제를 형이상학과 인식론으 로 구성하는 철학적 작업은 그들이 처했던 역사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할 때 단 장취의와 오독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지성사와 예학 등 주자학에서의 역사적 연구는 개념과 명제를 통해 제시했던 표면적인 의미 뿐 아니라 여기에 함축된 문제의식과 지향점 을 확인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국내 지성사 연구들은 정주학의 출현을 요청했던 사대부들의 정치·사회·문화적 정 체성과 “학문”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들은 여러 주자학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 는 “누가, 왜(무슨 문제로 인해, 무엇을 하기 위해)”라는 문제를 돌아볼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주자 예학은 주자학적 이상의 실현방법과 공부론의 현실적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가치 를 가진다. 주자 예학에 대한 연구는 가례家禮와 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를 중심으 로 이루어졌다. 가례와 관련해서는 주희의 친작 여부, 명청왕조와 조선에서의 전파 및 해석의 역사에 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 가례는 일상적 의례 실천에 관한 지침서의 성격이 있지만, 보편적 도덕원칙인 리는 구체적 의례행위로 실현된다는 점에서 가례 전 승 및 주석에 대한 연구는 주자학적 가치와 이상을 현실에 실현하려는 노력을 반영한다. 의례경전통해에 대한 심층적 연구는 아직 충분히 진행되지 못한 상태로, 정현정의 박사 논문에서 편찬 의도, 여조겸 등 학자들과의 토론과정, 목차와 구성, 편찬 과정 및 이 과정 에서 참고한 경전 등에 대해 비교적 상세한 논의를 진행한 것 이외에는 가례와의 비교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Today, the study of Zhu-Xi is still focused on Li-Qi theory and the theory of mind-heart and nature, which is a continuation of the modern Neo- Confucian effort to prove the existence of Asian philosophy by fitting it into the metaphysics, ontology, and epistemology of Western philosophy. Organizing the concepts and propositions of traditional thinkers into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must b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y lived, it would reduce the possibility of misinterpretation. Historical studies of Zhu-Xi in cluding intellectual study and study of Rites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not only the surface meanings of concepts and propositions, but also the problems and orientations implied by them. Domestic intellectual studies revolved a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larship” and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identities of the literati who called for the emergence of Cheng-Zhu study. They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questions of “who” and “why”(for what problem, for what purpose), which have been overlooked by many studies. The study of Zhu-Xi’s rites are valuable in terms of how to realize the ideal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Zhu-Xi. The study of Zhu-Xi’s rites is focused on the Family Rituals and General Explanation of the Classic of Rites. Regarding Family Ritual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authorship of Zhu Xi and the history of its transmission and interpretation in the Ming-Qing dynasties and Jo-seon. While Family Rituals is a guide to daily ritual practice, the universal moral principle of li(理) is realized through specific ritual acts, so the study of the transmission and commentary of the Family Rituals reflects an effort to realize Zhu’s values and ideals in practice. In-depth studies of the General Explanation of the Classic of Rites have yet to be conducted, and other than Jung's doctoral dissertation, which provides a relatively detailed discussion of the intentions of the compilation, the process of discussion with scholars, the table of contents and organization, the compilation process, and the scriptures consulted in the process, comparative studies with Family rituals have been conducted.

      • KCI등재

        주희 이고(李翶) 멸정론(滅情論) 비판의 타당성 재고

        홍린 ( Hong Ly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5 No.-

        본 논문은 당대 유학자인 이고(李翶, 772-841) 「復性書」의 “멸정론”에 대한 개념 분석을 통해 주희가 그에게 제기했던 “도불의 학설”이라는 비판이 타당한지 여부를 논한 것이다. 주희는 이고의 멸정론이 도덕감정을 포함한 감정 일반의 소멸이라고 간주하고, 그의 방법이 도교와 불교로부터 유래했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주희의 비판은 남송 당시에 유행했던 허무적멸의 불교 특히 선종의 명심견성(明心見性)식의 수행방법에 대한 비판과 결을 같이 한다. 주희의 비판이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이고는 정말로 모든 감정 활동의 정지를 방법으로 하여 불교적 경지를 수양 목표로 삼았어야 한다. 그러나 그는 결코 모든 감정활동을 정지할 것을 요구하지도 않았고, 유학적 도덕인격의 완성을 수양목표로 설정했다. 다만 그는 “情” 개념에 중의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서 비판을 초래했다. 그는 감정 일반이 아닌 선한 본성을 해치는 욕망으로서의 감정만을 소멸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그가 서로 다른 층위의 “情” 개념을 한 문장 안에서 동시에 사용하거나 성인의 감정 유무를 논하는 대목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고의 “性”과 “情”개념은 수평적 대립(도덕감정의 근원과 욕망으로서의 감정)과 수직적 구조(도덕본성과 도덕감정)를 모두 함축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중적 관계는 송대 성리학에서도 반복되는 만큼, 이들 중 하나만을 지목하여 그의 학문적 의의를 재단해서는 안 된다. This paper discussed whether Zhu-xi’s criticism of Tang dynasty scholar Li-Ao (772-841)’s 「The discourse of revitalizing hunman nature」as "the theory of extinction of emotion" was reasonable through the concept analysis. Zhu-xi regarded Li-Ao's extinction of emotion argument as the extinction of the general emotion, including moral emotions, and criticized that his method originated from Taoism and Buddhism. Such criticism of Zhu-xi has ideological foundations; criticism of Buddhism cuktivation, which was popular at the time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especially of Zen-Buddhism's method of carrying out the "MingXinJianXing(明心見性)" cultivation. In order for Zhu-xi's criticism become a a valid criticism, Li-Ao really should have aimed at cultivating Buddhist status by stopping all emotional activities. However, he never demanded that all emotional activities be suspended, and he set the completion of his Confucian moral character as a disciplinary goal. However, he drew criticism by giving the concept of "emotion(情)" quite different meanings. He argued that emotions should be extinguished only as a desire to harm good nature, not as a general emotion. This is evident in the passage in which he simultaneously uses the concept of "emotion" at different levels in one sentence or discusses whether an Sage has emotions. Li-Ao's "human nature(性)" and "emotion(情)" concepts imply both horizontal confrontation(the origin of moral emotions and emotions as desire) and vertical structure(the moral nature and moral feelings), and this dual relationship is repeated in Song dynasty Neo-Confucianism. Thus his academic significance should not be evaluated by only one implication of them.

      • KCI등재

        현대 한국인의 “예의(禮儀)” 인식과 선진시기 예(禮)의 정치적 함의

        홍린 ( Hong Lyn ) 한국공자학회 2022 공자학 Vol.47 No.-

        80년대 이래 문화심리학에서는 한국 특유의 심리현상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했고, 그 중 체면, 눈치, 의례성, 권위주의 등은 그 연원이 유교문화의 “예”와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지목되었다. 다수의 연구자들은 이와 관련하여 외면적 형식주의와 허식성, 억압적 질서의 옹호 등 역기능을 부각시켰으며, 이들이 기존의 불평등하고 억압적인 질서를 옹호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비판이 예의 변질에 대한 것이라면 타당하지만, 이것이 곧 예의 본래 취지라고 한다면 이는 상당한 오해라고 할 수 있다. 상고시대 예는 제의에서 기원하여 사회 전반의 행위·통치 규범으로 확대되어 사실상 오늘의 법률에 해당하는 구속력을 가졌다. 예에서 서열관계가 중요한 요소이기는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목적은 질성의 회복과 유지에 있었으며, 이는 예가 가지는 강자에 대한 제약과 약자에 대한 보호의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제4장에서는 이 점을 논증하기 위해 상급자와 강자가 일치하는 경우와 불일치하는 경우 예가 설명되는 방식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분석했다. 예의 위반에 대한 제재는 형벌에 처하는 것이 아닌 명분의 부정을 통해 강자 혹은 상급자의 입지를 약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가장 극적인 사례가 맹자와 순자의 역성혁명론이다. 명분의 상실은 구성원들이 지지를 철회했으며, 사실상 그 지위를 유지할 정당성과 동력의 상실을 의미한다. 이는 현대 한국사회에서 체면이 상급자의 행위반경을 제약하는 방식에도 여전히 반영되어 있다. 체면의 근거는 윗사람이라면 지녔을 것이라고 기대되는 도덕성, 품위, 능력이며, 만약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체면을 상실할 시 사실상 그 지위에 걸맞은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워진다. Since the 1980s, cultural psychology has begun to pay attention to Korea's unique psychological phenomena, and among them,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face, Nunchi, Ritualized Social Behavior, and authoritarianism is closely related to the “Li(禮)” of Confucian culture. In this regard, many researchers have highlighted adverse functions such as external formalism, ostentatiousness, and the advocacy of an oppressive order, and evaluate that they are acting as a mechanism for advocating the existing unequal and oppressive order. It is valid if this criticism is about the deterioration of “Li”, but if this is the original purpose of “Li”, it would be a considerable misunderstanding. Since prehistoric age, “Li” was originated from a proposal and expanded to the widespread norms of behavior and governance, effectively having binding force corresponding to today's law. Although hierarchy is an important factor in “Li”, the more fundamental purpose was constraint on the strong and protection of the weak. To argue this point, I discussed the way in which “Li” is explained by dividing the case where the superior and the strong are correspond and the case where they are not correspond. Violating “Li” does not mean that sanctions were imposed through punishment. Instead, they imposed sanctions on the strong who violated “Li” through denial of justification. The most dramatic example is the revolution theory of Mencius and Xun-zi(荀子). The loss of justification means the loss of legitimacy and power to maintain the status, as it means that the people withdrew their support. This is still remained in the way in which face presses the range of behavior of superiors in modern Korean society. The basis for face is the morality, dignity, and ability that the superiors are expected to have, and if they fail to meet these expectations and lose face, it is more likely to be difficult to play a role suitable for their position.

      • KCI등재

        권근 『周易淺見錄』의 군신공치론연구 - 安民을 위한 조화로운 상태의 추구 -

        홍린 ( Lyn Hong ) 한국공자학회 2024 공자학 Vol.52 No.-

        권근은 같은 시기 활동한 정도전과 비교하여 군권과 서열질서를 옹호했다는 평가와, 상대적으로 온건하지만 경연 및 간관 제도 등 군권에 대한 견제장치를 설치했다는 평가를 모두 받고 있다. 본고는 『주역천견록』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가 국정운영 주도권의 소재를 확정하기보다는 군신관계의 다양한 상황에 따른 유연한 지침을 내리고 있다고 평가한다. 우선 유약한 군주의 경우 강명한 신하들의 도움을 받아야 하지만 신하에게 과도한 주도권을 내주어서는 안 되고, 강명한 신하들 역시 유약한 군주라고 해서 넘보아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특히 강명한 군주가 재위할 시 군주를 범하려는 시도는 도덕적 오명과 일신상 불행을 초래한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군주가 신하를 높여야 하며 신하는 두려움과 조급함을 참고 자신과 뜻이 맞지 않는 군주를 거부하는 주체적인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리고 이러한 군신조화는 안민이라는 유가의 정치적 이상을 추구할때에만 정당화됨을 강조했다. 권근의 군신공치론의 특징은 군주-신하 간 권리의 배분 문제를 논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화를 이루어서 공동의 목표인 안민을 달성할 것을 주문한다는 것이다. In comparison to the contemporary Jung Do-jeon, Kwon Geun's evaluations diverge, oscillating between advocating royal authority and hierarchical order, and relatively advocating restraint measures within the royal authority, such as Remonstration’s System(臺諫) and King’s education(經筵). This paper analyzes his work, 'Zhouyi Qianjianlu(周易淺見錄)', to argue that instead of definitively determining the locus of political leadership, Kwon Geun provides flexible guidance based on various circumstances within the monarch-officials relationship. Firstly, in the case of a vulnerable monarch, assistance from prominent officials is deemed necessary; however, yielding excessive leadership authority to officials is cautioned against. Even for distinguished officials, overlooking a vulnerable ruler is not advisable. Particularly, during the reign of a prominent monarch, attempts to transgress against the monarchs are warned to lead to moral condemnation and personal misfortune. However, on the other hand, monarchs must elevate their officials, and officials, while harboring fear and urgency, should maintain a proactive attitude in rejecting monarchs with whom they disagree. In this context, Kwon Geun emphasized that monarchs and officials must pursue the political ideal of 'peace and security for the people(安民)' together rather than colliding. The distinctive feature of Kwon Geun's monarch-officials relationship theory lies not in the discussion of the distribution of rights between monarchs and officials, but in asserting that they should flexibly harmonize in different situations to achieve the common goal of 'peace and security for the people'.

      • KCI등재

        S2‐Net: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with SRU‐based self‐matching networks

        박천음,이창기,홍린,황이규,유태준,장재용,홍윤기,배경훈,김현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9 ETRI Journal Vol.41 No.3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is the task of understanding a given context and finding the correct response in that context. A simple recurrent unit (SRU) is a model that solves the vanishing gradient problem in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using a neural gate, such as a gated recurrent unit (GRU) and long short‐term memory (LSTM); moreover, it removes the previous hidden state from the input gate to improve the speed compared to GRU and LSTM. A self‐matching network, used in R‐Net, can have a similar effect to coreference resolution because the self‐matching network can obtain context information of a similar meaning by calculating the attention weight for its own RNN sequence. In this paper, we construct a dataset for Korean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and propose an S2‐Net model that adds a self‐matching layer to an encoder RNN using multilayer SRU.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2‐Net model has performance of single 68.82% EM and 81.25% F1, and ensemble 70.81% EM, 82.48% F1 in the Korean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test dataset, and has single 71.30% EM and 80.37% F1 and ensemble 73.29% EM and 81.54% F1 performance in the SQuAD dev datas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