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실행에 대한 비평적 분석

        홍기칠(Hong KiChil)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1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critical analysis on implementing the ‘flipped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instruction outside of classroom should not only contain the key contents or information that students will learn through the off-line instruction, but also contain cues from which students can make constructive questions and critical thinking. Second, teachers for the ‘in-classroom’ learning should make model, coach, and scaffold learning activities to individuals or small groups of students based on the key contents and constructive questions made from the on-line learning ‘outside of the classroom’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be able to constitute advanced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logical thinking. Third,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suggest effect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s well as guidelines of learning assessment and support necessary finance. Fourth,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revitalize the formation of leaning communities and networks in which teacher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and share informations on the application of the ‘flipped classroom’. Fifth,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improve classroom environments and upgrade on-line systems of the ‘flipped classroom’ and provide such system from which students and teachers can use smart devices and make videos effectively. Sixth,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provide the teachers standard videos for the ‘flipped classroom’ such as videos or documents files through EBS or EDUNET. Seventh, teachers should develop strategies, such as quiz, online discussion, project learning, and discussion of the key contents, to motivat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learning through watching the on-line video lecture of the ‘flipped classroom’. Finally,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develop activities, such as broadcast program, demonstration classes, and formation of network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so that parents can get various knowledges and experiences on the ‘flipped classroom’.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거꾸로 교실에 관한 선행연구를 비평적으로 분석하여 실행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거꾸로 교실 실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밖’ 온라인 강의내용은 ‘교실 안’의 오프라인 심화학습활동과 밀접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학습에 필수적인 핵심개념이나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수준별 탐구질문과 논리적 사고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단서가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교실 안’의 학습활동은 ‘교실 밖’의 온라인 동영상 내용의 핵심개념과 탐구질문을 기반으로, 논리적 사고와 심화된 지식구성이 가능하도록 교사가 개별적으로 혹은 소집단별로 수행활동을 모델링, 코칭, 스케폴딩 해야 한다. 셋째, 교육당국은 거꾸로 교실 적용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사연수 프로그램과 학습평가기준을 마련하고 필요한 재정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당국은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거꾸로 교실 적용을 위한 학습 커뮤니티나 네트워크를 조직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교사와 학생들이 동영상 제작과 스마트 기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과 장비를 지원해야 한다. 여섯째, 교사가 수업동영상을 직접 제작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다른 교사들이 만든 수업동영상이나 EBS 강의 동영상 혹은 에듀넷의 사이버가정학습용 동영상이나 문서파일 등 표준화된 동영상을 제공하고 스마트러닝과의 연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학생들이 동영상 강의를 흥미 있게 시청하도록 퀴즈풀이, 개별적 모임활용, 개별화된 수업시간관리, 온라인 토론방 활용, 프로젝트 학습, 주요 개념의 설명 등의 동기유발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여덟째, 거꾸로 교실 실행 전에 학생들에게 거꾸로 수업방법의 장단점, 수업절차, 학습자 역할, 유의점 등을 충분히 안내해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부모를 대상으로 거꾸로 교실에 관련된 지식과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 수업공개, 교사-학부모 네트워크 구성 등 다양한 활동을 연계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