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과 공간의 융합, 몰입형 예술 연구:중국 자금성 권근재에 나타난 파노라마 페인팅을 중심으로

        호창,배윤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1

        This study began with the origin and propagation of Immersive Art. The scope of this study focuses on immersive murals, and narrated mainly by art history, literature and concrete examples. First, it analyzes the aesthetic concept of immersive mural painting, and studies the process of how mural painting and space achieve immersive aesthetics through specific examples from the East and the West. Secondly, the construction of China's immersive mural can be seen as the conflict and integration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The Juanqinzhai Panoramic Paintings through localization Western techniques, improves the immersive experience through mutual subjective intervention from fresco to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art fusion across regions in the history of art through the dissemination of Immersive Art, and to provide theoretical support for the conflict, integration and symbiosis of Eastern and Western art culture.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examples presented, it is pointed out that the eastern and Western mural art is composed of religious paintings as the center. Second, through Jacques Derrida's 'Parergon', one can feel the sense of framing or transboundary communication between the fresco and the space. Third, the immersive experience provides the audience with the fantasy of the work and space, and integrates the new experience with the real world, allowing people to see the higher level of 'Sublime'.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the immersive mural integrates the audience and the mythical scene in space, integrates the work of art, space and audience, and enables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mselves in a more three-dimensional way. 본 연구는 몰입형 예술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의 범위는 몰입형 벽화를 중심으로 하며 주로 예술사학 문헌자료와 구체적인 예를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먼저, 몰입형 벽화의 미적 개념을 살펴보고, 동서양의 구체적인 예를 통해 벽화와 공간이 몰입의 미학을 실현하는 과정을 고찰한다. 다음으로는, 중국의 몰입형 벽화는 동서양의 대립과 융합으로 구축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를 권근재 파노라마 페인팅의 ‘서법중화(西法中化)’를 통해 고찰하고, 벽화-공간 간의 상호주관적 개입을 통한 몰입의 강도를 높여가는 과정을 고찰한다. 연구의 목적은 몰입예술의 전파를 통해 예술사에서 지역을 초월한 예술적 융합을 요약하고, 동서양 예술문화의 갈등-융합-공생을 위한 이론적 뒷받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시한 예를 통해서 동서양의 벽화 예술은 종교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도출한다. 둘째, 데리다의 파레르곤(Parergon)을 통해 벽화가 가지는 공간의 틀 혹은 경계를 넘나드는 소통의 느낌을 설명한다. 셋째, 몰입형 예술은 관객에게 작품과 공간이 제공하는 환상이 실제의 세계와 통합되는 새로운 경험을 통해서 한 차원 높은 ‘숭고미’를 만나게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몰입형 벽화의 환상적 의도는 관객과 신화적 장면의 공간적 융합을 통해서 예술작품-공간-관객을 하나로 묶어 줌으로써 관객이 작품을 보다 입체적으로 체험하도록 한다.

      • SCOPUSKCI등재

        양지꽃(Potentilla fragarioides) 지상부의 항산화물질

        최용화,김명조,이행순,윤봉식,호창서,곽상수,Choi, Yong-Hwa,Kim, Myong-Jo,Lee, Haeng-Soon,Yun, Bong-Sik,Hu, Changxu,Kwak, Sang-Soo 한국생약학회 1998 생약학회지 Vol.29 No.2

        Six antioxidative compounds in the aerial parts of Potentilla fragarioides were isolated by a bioassay guided purification using a DPPH free radical. They were identified as (+)-catechin, isoquercitrin, quercitrin, $quercetin-3-O-{\beta}-D-glucopyranosyl-{\beta}-D-xylopyranoside$, caffeic acid, and 4-O-caffeoyl-L-threonic acid on the basis of $^{1}H$ and $^{13}C-NMR$ and MS data.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ive compounds $(RC_{50}:\;7.5{\sim}10.5\;{\mu}g)$ except for quercitrin $(16\;{\mu}g)$ was more effective than those of ${\alpha}-tocopherol$ $(12\;{\mu}g)$ and BHA $(14\;{\mu}g)$.

      • SCOPUSKCI등재

        해당화(Rosa rugosa) 잎의 항산화물질

        최용화,김명조,이행순,호창서,곽상수,Choi, Yong-Hwa,Kim, Myong-Jo,Lee, Heang-Soon,Hu, Chang-Xu,Kwak, Sang-Soo 한국생약학회 1997 생약학회지 Vol.28 No.4

        To search for useful antioxidants from plant materials,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y in the methanol extracts of 30 Chinese medicinal plants using DPPH method. The highest activity $(RC_{50}:\;12\;{\mu}g)$ was showed in the methanol extract of Rosa rugosa, followed by Potentilla fruticosa $(14\;{\mu}g)$, P. fragarioides $(16\;{\mu}g)$. And Geum aleppicum $(18\;{\mu}g)$. From the leaves of R. rugosa, two antioxidative compounds were isolated by a bioassay guided purification and identified as isoquercitrin and ${\beta}-glucogallin$ on the basis of $^1H-,\;^{13}C-\;NMR$, and FAB-MS data. ${\beta}-Glucogallin$ is the first report in this plan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eta}-glucogallin\;(RC_{50}:\;8.5\;{\mu}g)$ was more effective than those of ${\alpha}-tocopherol\;(12\;{\mu}g)$ and BHA $(14\;{\mu}g)$.

      • 제토-다치아(Geto-Dacia)의 잘목시스(Zalmoxis) 신앙과 불멸에 대한 관념

        (Lee, Ho-Cha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7 동유럽발칸학 Vol.9 No.1

        잘목시스에 관한 거의 모든 연구는 기원전 5세기의 역사가 헤로도토스의 저서 Istoria 역사 IV권의 93-96장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헤로도토스는 잘목시스의 행적과 불멸에 대한 그의 가르침을 피타고라스의 개인적 행적이나 피타고라스 교단의 영적 조망과 구조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착각하여 잘목시스를 피타고라스의 노예였다가 해방된 자로 기록하였다. 헤로도토스가 역사를 집필할 그 즈음에 그리스, 이탈리아, 다뉴브 강 하류 등지에는 잘목시스와 마찬가 지로 영혼이 불멸한다는 사상을 전파하던 밀의종교들이 퍼져 있었는데, 그들은 디오니소스-자그레우스의 신화를 사상적 바탕으로 삼고 있던 오르페우스 밀교와 피타고라스 교단이었다. 때문에 당시의 그리스인들은 잘목시스가 가르쳤다는 ‘불멸’을 단순히 피타고라스교단이 전수한 ‘영혼불멸론’과 같은 개념이었을 것으로 오해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피타고라스를 정점으로 하는 그리스 밀의 종교에서는 인간의 영혼이 본래 우주 창조의 근원인 절대영혼과 하나였 지만 분화되 나와 독립된 개체가 되었다고 믿는 반면, 잘목시스의 가르침에서는 ‘인간’과 ‘인간의 삶의 터전인 대자연’과 ‘대자연의 질서 법칙을 관장하는 우주 창조의 근원’이 하나의 유기체라는 관념을 가지고 있었던 걸로 추정할 수 있다. 인간이 우주 창조의 근원에서 각각 홀로 분리되어 나온 독립적 개체가 아니라 대자연과 함께 하나의 거대한 유기체(有機體 organism)에 속하는 아주 작은 기관(器官organ) 중 하나라고 가정하면 보면 인간은 곧 우주 창조의 근원과 같은 생명을 나누는 것이기에 우주 창조의 근원이 생명을 다하기 전 까지는 결코 죽지 않는 존재가 되는 것이다. 인간이 죽음을 끝이라고 의식하는 것은 대자연을 인간과 한 몸이 아니라 나와는 별개인 이용물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면서 스스로 우주 창조의 근원과도 소통을 단절시켰기 때문에 생겨난 것일 뿐이다. 자연계의 모든 생명은 모습만 사라질 뿐 그 존재의 본질 자체는 항상 자연계의 일부로 언제나 남아 있다. 잘목시스가 가르친 ‘불멸’이라는 것이 바로 이런 개념의 불멸이 아니었을까 추정된다. 아직까지는 잘목시스 신앙의 비밀이 완전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잘목시스 신앙은 그리스의 밀의 종교들보다 한 층 더 성숙된 신앙이었고, 상생의 정신을 고취시킨 신비하고 역동적인 참된 영적 신앙이었을 것이다. 잘목시스의 사상은 제토-다치아의 후손들인 루마니아 인들의 정신세계나 문화 속에 남겨져 있는 그 흔적들을 철저히 찾아내어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 질 때 비로소 제대로 밝혀질 것이다. 만약 잘목시스의 가르침이 문자로 전수되었다면, 소크라테스의 철학이나 불교의 가르침 노자, 장자의 도교 못지않은 위대한 사상으로 남아 전 인류의 영적 성숙에 지대한 영향력을 주었을 지도 모른다. Herodotus was told by the Euhemeristic Pontic Greeks that Zalmoxis was really a man, formerly a slave(or disciple) of Pythagoras, who taught him the "sciences of the skies" at Samos. Zalmoxis was manumitted and amassed great wealth, returned to his country and instructed his people, the Getae, about the immortality. Zenon reiterates the idea that Zalmoxis was Pythagoras' slave. However, Herodotus, who declines to commit himself as to the existence of Zalmoxis, expresses the opinion that in any case Zalmoxis must have lived long before the time of Pythagoras. According to Herodotus, at one point Zalmoxis traveled to Egypt and brought the people mystic knowledge about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eaching them that they would pass at death to a certain place where they would enjoy all possible blessings for all eternity. Zalmoxis then had a subterranean chamber constructed (other accounts say that it was a natural cave) on the holy mountain of Kogaion, to which he withdrew for three years (some other accounts considered he actually lived in Hades for these three years). After his disappearance, he was considered dead and mourned by his people, but after three years he showed himself once more to the Getae, who were thus convinced about his teachings: an episode that some considered to be a resurrection. Plato says in the Charmides dialogue that Zalmoxis was also a great physician who took a holistic approach to healing body and mind; not just the body, as was the Greek practice. In my opinion, Zalmoxis was a great philosopher who taught that gods and nature and human being are connected like one organism. Descendants of Geto-Dacia, Romanian people inherits doctrine of Zalmoxis. For instance, the Romanian spirit is synthesized into the masterpiece of the Romanian folk, the poem <Mioriţa, A little lamb>, where a young shepherd is warned by his little white-black lamb, that his fellow shepherds plan to murder him and take his flock. The young shepherd instead of resisting, accepts his fate. This means that death is just a destiny of all of us and it is a transition to nature where we are come from, not a end of existing. Concepts of immortality taught by Zalmoxis in Geto-Dacia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an idea of the young shephe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