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작업기억 표상에 대한 고정해상도 슬롯 모형과 탄력적 자원 모형 사이의 쟁점에 대한 개관

        현주석(Joo-Seok Hyun) 한국인지과학회 2015 인지과학 Vol.26 No.4

        본 연구는 시각작업기억의 표상 특성에 대해 상반되는 주장을 펼치고 있는 고정해상도 슬롯 모형과 탄력적 자원 모형을 개관하고, 두 모형 간 상충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고정해상도 슬롯과 탄력적 자원모형을 태동시킨 객체 및 병렬 저장 가설을 살펴보고 두 모형의 상반되는 주장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두 모형을 지지한 구체적인 연구사례를 통해 경험적 지지 증거의 객관성을 평가하고 관련 신경생리학적 모형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모형 간의 상충을 해소하기 위한 이론적 그리고 방법론적 재고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렴적 증거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resnt study reviewed two contrasting models, fixed-resolution slot versus flexible-resource hypotheses, for the 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visual working memory (VWM), and emphasized the necessary efforts for resolving their conflicting arguments. To accomplish this goal, the review explored the background hypotheses of the object-based versus parallel independent storage models, and introduced theoretical bases for their contrasting claims. The review then evaluated validity of empirical evidence provided in the studies to support each model, and attempted an understanding of their neurophysiological background. The study further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reconsiderations to resolve their conflict as well as the necessity of obtaining converging pieces of evidence to accomplish the resolution.

      • KCI등재후보

        선분 운동 착시를 통해 본 주의 효과의 공간적 패턴

        현주석(Joo-seok Hyun),정상철(Sang Chul Chong),정찬섭(Chan Sup Chung) 한국인지과학회 1998 인지과학 Vol.9 No.4

        주의 효과의 공간적 패턴이 점진적 감소 모형이 규정하는 것과 같은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의 유도점과 선분간 거리의 함수로써 선분 운동 착시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조사하였다. 주의는 십자형 자극을 회전시킴으로써 유도되었다. 두 개의 선분이 주의 유도점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동시에 제시되었을 때에는 주의 유도점과 가까운 선분의 운동 착시가 더 현저한 것으로 보고됨으로써 점진적 감소 모형이 지지되었다. 주의가 공간적으로 떨어진 두 점에 유도되었을 때는 이심률에 따라 두 점 사이에 제시된 선분의 운동 착시 방향이 달리 지각되었다. 두 점의 이심률이 4.5도 이내 일 때는 그 두 점 사이에 제시된 선분이 주의가 유도된 쪽으로 부터 반대편으로 운동하는 것으로 지각되었다. 반면에 4.5˚ 이상일 때는 주의가 유도된 쪽을 향해 선분이 운동하는 것으로 지각됨으로써 주의 효과의 공간적 패턴이 중심-흥분 주변부-억제적 구조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In order to test whether the spatial profile of visual attention is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of the gradient model. change in the magnitude of line-motion illusion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between a locus of attention and a taget line. Attention was induced by rotating a cross-shaped stimulus. When two lines located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locus of attention were presented at the same time. the line-motion illusion of the nearer one was reported more vivid. which is an evidence supporting the gradient model. When attention was simultaneously induced to two spatially separated spots, the direction of line-motion illusion appeared to change depending on the eccentricity of the spots. While their eccentricity fell within 4.5˚ v.a., a line presented inbetween them was perceived as moving from the attention-induced side. However, it was perceived as moving towards the attention-induced side when the eccentricity fell beyond 4.5˚ , suggesting that the spatial profile of visual attention may have an excitatory-center and inhibitory-surround structure.

      • KCI등재

        무선재추출법에 기초한 사건관련전위 자료분석에 대한 탐색적 고찰

        현주석 ( Joo-seok Hyun ) 한국감성과학회 2017 감성과학 Vol.20 No.2

        In hypothesis testing, the interpretation of a statistic obtained from the data analysis relies on a probabilistic distribution of the statistic constructed according to several statistical theories. For instanc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a mean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conditions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probabilistic distribution of the mean differences (e.g., Student`s t) constructed under several theoretical assumptions for population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logic and advantages of random-resampling approach for analyzing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where a hypothesis is tes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empirical statistics that is constructed based on randomly resampled dataset of real measures rather than a theoretical distribution of the statistics. To motivate ERP researchers` understanding of the random-resampling approach, the present study further introduced a specific example of data analyses where a random-permutation procedure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random-resampling principle, as well as discussing several cautions ahead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to ERP data analyses.

      • KCI등재

        현상학적, 생태학적 비판에 기초한 영상기억의 타당성

        현주석(Joo-Seok Hyun) 한국인지과학회 2019 인지과학 Vol.30 No.4

        영상기억은 시각기억 처리 과정의 최초 저장 기제로서 오랫동안 이론적인 타당성을 인정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관심이 대폭 증가한 시각단기기억과 시각장기기억에 비해 영상기억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관심의 부족은 영상기억 및 시각지속 현상에 대한 이론 및 방법론적 이해의 결여가 그 원인인 것으로 짐작된다. 본 연구는 영상기억 및 시각지속 현상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경험적 연구 사례를 개관해 영상기억에 대한 상세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더 나아가 영상기억의 타당성에 대한 현상학적, 생태학적 비판들의 핵심 내용들을 토대로 향후 영상기억 연구의 방향을 가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Since last several decades, iconic memory has been accepted theoretically valid for its role of the first storage mechanism in visual memory process. However, there have been relatively less interests in iconic memory among researchers than their interests in visual short- and long-term memory. Such little interests seem to arise from a lack of detailed understandings of theories and methodologies about iconic memory and visual persistence. This study aimed to achieve the understandings by reviewing theories and empirical studies of iconic memory and visual persistence. The study further discussed future direction of iconic memory research according to the essential aspects of phenomenological and ecological criticisms against the validity of iconic memory.

      • KCI등재
      • KCI등재

        기억자극의 과제 무관련 세부특징 정보가 과제 관련 세부특징에 대한 시각단기재인에 미치는 영향

        현주석(Joo-Seok Hyun) 한국인지과학회 2012 인지과학 Vol.23 No.2

        시각단기재인 과정에 대한 유사성 합산 모형은 단기기억에 저장된 기억 표상들과 재인검사 자극간 유사성의 합산치가 재인의사결정을 좌우한다고 제안한다[1]. 본 연구는 수직 공간주파수를 달리하는 두 Gabor 자극에 대한 공간주파수 재인 과제에서 과제와 무관한 기억자극의 위치 정보가 재인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의 매 시행에서 참가자는 시야 좌우에 제시된 서로 다른 두 Gabor 자극의 공간주파수를 기억하고 약 1초 뒤에 제시된 재인검사 자극과의 동일성 여부를 보고하였다. 재인검사 자극은 기억 항목과 동일하거나 기억된 항목을 기준으로 공간주파수 차원에서 1 또는 4 최소식별단위 만큼 표적과 유사한 미끼자극이었다. 또한 재인검사항목이 제시되는 위치는 재인이 요구된 기억항목의 위치를 기준으로 동일하거나 혹은 반대편 시야 위치에 제시되었으며, 참가자는 검사자극의 위치변화를 무시하고 공간주파수 차원의 재인 반응만을 요구받았다. 실험 결과 미끼자극에 대한 오인반응(false recognition)은 기억항목과 미끼자극 간 유사성 합산치가 커짐에 따라 증가했다. 아울러 과제와는 무관하게 검사항목의 위치 변화가 있었던 조건의 경우 없었던 조건에 비해 이러한 오인 반응의 빈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 무관련 위치 변화에 의한 미끼자극에 대한 오인 반응의 감소는 재인과제의 요구와는 관계없이 무관련 세부특징이 과제 관련 세부특징에 대한 재인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시각단기기억에 저장되는 정보가 세부특징들의 독립적 표상이 아닌 세부특징 간 공고한 결합에 의해 표상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summed-similarity model of visual short-term recognition proposes that the estimated amount of summed similarity between remembered items and a recognition probe determines recognition judgement decision (Kahan & Sekuler, 200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task-irrelevant location change on the recognition decision against two remembered Gabor gratings differing in their spatial frequencies. On each trial in Experiment, participants reported if two gratings displayed across the visual fields are the same or not as the probe grating displayed after about a second of memory delay. The probe grating would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memory items (lure) by 1 or 4 JND units. The location of the probe would also vary randomly across the left and right visual field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memory item.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their recognition task exclusively to the spatial frequencies of the memory items and the probe while ignoring the potential location change of the probe. The results showed that false-recognition rates of the lure probe increased as the summed similarity between the memory items and the probe increased. The rates also further increased in the condition where the probe location wa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memory item compared to the condition where the probe location was the same. The increased false-recognition rates indicate that information stored into visual short-term memory is represented as a form of well-bound visual features rather than independent features.

      • KCI등재

        글꼴의 네모틀 모양 및 삐침이 한글 낱자와 단어에 대한 시각 탐색에 미치는 영향

        현명(Myung Hyun),현주석(Joo-Seok Hyu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6

        본 연구는 한글 글꼴의 대표적 시각 특성인 네모틀 및 삐침 여부가 한글 낱자 및 단어에 대한 시각 탐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실험 1에서는 한글 낱자가, 실험 2에서는 두 음절 단어가 탐색 자극으로 사용되었으며 두 연구 모두 표적에 특정 글꼴이 부여된 경우 방해자극은 그와반대되는 특성을 가진 글꼴을 가지도록 처치하여 탐색 정확도와 탐색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탐색 항목의 개수를 4, 8, 12개로 달리해 이에 따른 탐색 수행의 변화 역시 측정했다. 그 결과두 실험 모두 네모틀 표적(탈네모틀 방해자극)에 비해 탈네모틀 표적(네모틀 방해자극)을 탐색하는 것이 그리고 삐침있는 표적(삐침없는 방해자극)에 비해 삐침없는 표적(삐침있는 방해자극)을탐색하는 것이 더 수월했으며, 이러한 수월성은 탐색 항목의 개수가 4개일 때보다 8개 이상일때 더 분명했다. 또한 낱자를 사용한 실험 1에 비해 두 음절 단어를 자극으로 사용한 실험 2에서 글꼴이 탐색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이는 탈네모틀과 삐침없음 글꼴을 보유한 표적에 대한 탐색이 일반적으로 수월함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네모틀과 삐침 글꼴이 한글 낱자 및 단어의시각적 현출성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quared and serif fonts, which are representative visual properties of Korean fonts, on visual search for Korean letters and words. Korean letters and two-syllable words were used for search stimuli in each Experiment 1 and 2, and in both experiments, the distractors were manipulated to have the opposite font characteristic against the characteristic of a target while search accuracies and RTs were measured. The number of search items also varied to 4, 8, and 12 along which the search performance was measured. The results of both experiments showed it easier to search for a target without a squared font (among distractors with it) than the target with the squared font (among distractors without it), and to search for a target without serifs (among distractors with them) than the target with the serifs (among distractors without them), and these advantages were more evident in larger setsizes. The influence of font characteristics was also greater in Experiment 2 where two-syllable words were used for search stimuli than in Experiment 1 for a single Korean lett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arching a target without a square shape or serifs would be generally easier, and further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square and serif fonts can influence visual saliency of Korean letters and words.

      • KCI등재

        네모틀 및 세리프 여부에 따른 한글 활자체의 가독성과 시감각 특성

        가야금(Yageum Ka),현주석(Joo-Seok Hyu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1

        한글 활자체는 일반적으로 세리프 장식의 유무와 네모틀 여부에 따라 세리프 또는 산세리프활자체, 네모틀 또는 탈네모틀 활자체로 분류된다. 한글 활자체들이 가지는 시감각 요소들을 분석하고 읽기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요인에 따라 선정된 48가지 한글 활자체의 덩이글 영상에 대해 주관적 가독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활자체들의 시감각 특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네모틀 활자체의 덩이글이 탈네모틀 활자체에 비해 평가된 가독성이 높았으나, 세리프 및 산세리프 여부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경계선, 꼭짓점, 특징점 및 얼룩의 개수를 추정하기 위해 영상처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모틀 활자체가 탈네모틀 활자체에 비해 시감각 정보량이 많았으나, 세리프와 산세리프 활자체 사이에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는 세리프 유무와 관계없이, 탈네모틀보다 네모틀 활자체의 가독성이 더 우수함을 시사하며, 나아가 네모틀 활자체가 보유한 더 많은 시감각적 정보량에 기인한 것으로 짐작된다. 결론적으로, 가독성 높은 활자체 디자인을 위해서는 네모틀 활자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Korean typefaces in general are categorized as either of serif or sanserif and square or non-square typefaces according to whether they have serif decorations or not, and whether they are squared-shaped or not. In order to analyze the visual sensory factors of Korean typefac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reading experience,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subjective legibility and visual sensory characteristics for 48 Korean text images made of typefaces selected according to these two factors. The rated legibility was higher for the texts of square typefaces than those of non-square typefaces while no such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erif and san-serif ones. The subsequent image processing analyses for estimating the number of edges, corners, keypoints and blobs also yielded a greater amount of visual sensory information in the texts of square typefaces than those of non-square types while showing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serif and san-serif ones. The results indicate that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serifs, Korean texts made of square typefaces would have better legibility than those of non-square typefaces, and further suggest that such advantage may arise from the greater of visual sensory information in the square typefaces. In conclusion, it may be desirable to use a square typeface for a highly readable typeface design.

      • KCI등재

        한글 글꼴의 세리프 및 네모틀 여부에 따른 친숙성과 선호도

        이하은 ( Haeun Lee ),현주석 ( Joo-seok Hyun ) 한국감성과학회 2021 감성과학 Vol.24 No.4

        Korean typefaces are characterized on two axes: a font is either serifed or non-serifed, and it is either square-frame or non-squared. A serifed font entails small strokes that are regularly attached to the ends of larger strokes. Conversely, fonts without these marks are termed sans-serif. One of the exclusive features of Korean typeface of the square-frame type is that in such fonts, vowels and consonants often with their final vowels, are harmonically plac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virtual square. We hypothesize that serifed and squared-frame typefaces are more popular and preferred owing to their widespread use throughout history. A survey incorporating Korean pangrams written with serif, sans-serif, squared, and non-squared typefaces was designed to test the present hypothesis. We found that people typically preferred and were more familiar with squared typefaces compared to non-squared typefaces. Howev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serifed and san-serif typefaces. Furthermore,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familiarity and preference ratings only where the typefaces had squared and serifed featu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Korean typefaces with the squared feature were more well-known and, therefore, more preferred to the typefaces without it. The results further indicated that Korean typefaces with the squared feature can be recommended for people’s familiarity to it and the comfort it provides, and their emotional relevance and sensibility enhanced if serifs are added.

      • KCI등재

        얼굴표정의 긍정적 정서에 의한 시각작업기억 향상 효과

        한지은 ( Ji Eun Han ),현주석 ( Joo Seok Hyun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4

        The present study examined memory accuracy for faces with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emotional expressions to test whether their emotional content can affect visual working memory (VWM) performance. Participants remembered a set of face pictures in which facial expressions of the faces were randomly assigned from pleasant, unpleasant and neutral emotional categories. Participants` task was to report presence or absence of an emotion change in the faces by comparing the remembered set against another set of test faces displayed after a short delay. The change detection accuracies of the pleasant, unpleasant and neutral face conditions were compared under two memory exposure duration of 500ms vs. 1000ms. Under the duration of 500ms, the accuracy in the pleasant condition was higher than both unpleasant and neutral conditions. However the difference disappeared when the duration was extended to 1000ms. The results indicate that a positive facial expression can improve VWM accuracy relative to the negative or positive expressions especially when there is not enough time for forming durable VWM represen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