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원화 국제화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현석 한국국제금융학회 2015 국제금융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원화 국제화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원화 국제화의 현황과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중장기적으로 원화의 국제적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도 제안하고자 한다. 정부는 1980년대 후반부터 원화 국제화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1997년 외환위기 이후에는 자본시장을 완전 개방하였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외환시장 및 자본시장의 자유화 추진은 유보되었다. 그러나 최근 원화-위안화 직거래가 시작되면서 위안화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동전의 양면처럼 원화의 국제적 활용도도 높여야한다는 문제를 인식하고 전면적인 외환제도 개혁방안을 발표하였다. 향후 원화 국제화를 위해서는 원화-위안화 직거래와 원화 무역결제의 활성화와 자본시장 특히 원화표시 국제채권시장의 육성과 금융개방도를 높이기 위한 외환규제 완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앞으로 일련의 정책들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점진적 규제 완화와 원화 국제화에 대한 중장기적 계획을 수립하고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need for Korean won internationalization and analyzes quantitatively its current situation and possibilities. Also it attempts to propose the mid- to long-term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utilization of Korean won as an international currency. The Korean government laid foundation for won internationalization in the late 1980s and has opened fully capital market since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However, global financial crisis reserved further deregulation of foreign exchange market and capital market. However, the recent movement such as won-yuan direct transaction and yuan financial hub policy raised again the awareness of the need of won internationalization. Therefore the long-term plan should be pursued consistently to achieve the performance of this set of policies for won internationalization.

      • KCI등재

        통화 국제화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원화 국제화에 대한 시사점

        현석,이상헌 한국은행 2013 經濟分析 Vol.19 No.1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currency internationalization with ordered logit model, classifying the currency internationalization into partial and full currency internationalization. The major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GDP, trade share, stock market valuations/GDP, issuance ratio of international bonds, and financial openness positively impact currency internationalization. Second, trade dependence and inflation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urrency internationalization. We calculate the probability of Korean won internationalization as 60 percent from the estimated results, however, if international bond issuance denominated in Korean won increases to a level similar to Australia's, the probability of Korean won internationalization rises to 85 percent. 본 연구에서는 통화 국제화를 완전 국제화와 부분 국제화로 분류하고, 순위로짓모형을 이용하여 각 통화의 국제화 유형별 확률을 시산하였다. 실증 결과, 통화 국제화에 양(+)의 효과를 주는 요인은 GDP 비중과 무역 비중, 주식시장가치/GDP와 자국통화표시 해외채권발행 비중, 그리고 금융 개방도 등이다. 반면에 무역의존도와 인플레이션은 통화 국제화에 음(-)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모형에서 시산된 원화의 부분 국제화 확률은 60%로 나타났다. 원화의 경우, 경제규모 측면에서 부분 국제화의 선결조건들을 충족하고 있지만 자본시장의 발전 정도나 외환시장의 개방이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만일 우리나라가 호주와 비슷한 수준으로 국제채권 발행 비중을 높인다면 원화의 부분 국제화 가능성은 8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아시아통화표시 해외채권 발행과 환율 변동성에 관한 실증연구: 아시아 국제채권시장 발전에 관한 시사점

        현석 한국국제금융학회 2012 국제금융연구 Vol.2 No.2

        To achieve ABMI’s policy goal of utilizing regional savings for regional investments, more cross-border bond issuance and investment using Asian currencies are required. However, cross-border transactions of Asian currencies are tightly regulated and consequently are not so active because of the concerns that cross-border transactions increase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According to empirical findings in this paper, the cross-border transactions and the issuance of international bonds in local currencies do not increase the exchange rate volatility. Therefore, for further development of Asian bond markets, domestic(local) bond market development should accompany international (cross-border) bond market development which can enhance the financial intermediation function in the region. To do so, closer policy coordination and stronger financial cooperation is necessary among Asian countries. 아시아 역내 저축을 역내 투자로 활용하고자 하는 ABMI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경을 넘나들며 아시아통화로 채권발행과 투자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국경간 거래는 환율의 변동성을 높인다는 막연한 우려 때문에 까다롭게 규제되어 아시아통화표시의 국경간 채권발행과 거래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본 논문의 실증결과에 따르면 통화의 국경간 거래나 해외채권발행은 환율의 변동성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시아채권시장의 발전을 위해 각국의 국내 채권시장 발전과 함께 역내 국경간(국제)채권시장도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아시아 국가 간의 더욱 긴밀한 금융협력과 정책적 협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Advancing Regional Financial Safety Nets: Asia’s Realities and Europe’s Experience

        현석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3 국제학논총 Vol.38 No.-

        This study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financial safety nets in Asia and Europe. It also explores the reasons behind the non-implementation of an Asian Monetary Fund (AMF)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as well as the competitive dynamics between Japan and China to maintain their influence in Asia. The discussion of US opposition to the AMF is also includ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uropean Stability Mechanism (ESM) and the Chiang Mai Initiative for Multilateralization in Asia (CMIM) is also presented, with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to the CMIM, including increasing its funding, establishing a permanent body, and moving to a paid-in capital structure. It analyzes the long-term challenges facing Asia, referring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7-2009 and the introduction of the ESM in 2012, which reduced the need for European countries to hold large amounts of foreign exchange reserves. It also examines the challenges to the operation and effectiveness of CMIM and provides directions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CMIM in the current state of the global economy and the challenging environment of the coronavirus pandemic.

      • KCI등재

        아시아채권시장 표준화와 아시아 자율규제기구에 관한 연구

        현석,황세운 한국국제금융학회 2018 국제금융연구 Vol.8 No.1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current status of SROs in major Asian nations, and proposes ways how to revitalize self-regulations and to facilitate cooperation among SROs (Self Regulatory Organization) in the Asian cross-border bond markets. By doing so, we attempt to review what role an Asian SRO should assume in developing cross-border bond markets in the region. Asian countries need to coordinate and integrate regional bond markets through standardized cross-border bond issues and transactions. For the Asian Bond Standard, an Asian SRO that responds to rapidly changing market conditions is necessary. The SRO needs to be able to cope with diverse demands from bond issuers, investors, and market participants. Taking account of the differences in regulations and market development stages across Asian nations, a market-oriented self regulation for the Asian cross-border bond market is preferable. If deemed necessary in the future, Asia may need to establish a independent body called the Asian SRO, an regional organization similar to Europe's ICMA, that will be responsible for self-imposed controls, and devising standard rules and regulations for cross-border transaction in the whole Asian bond markets. 본 연구는 아시아 주요국의 자율규제기관 현황과 유럽의 국제자율규제기구인 국제자본시장협의회(ICMA)의 사례 분석을 토대로 아시아채권시장 표준화를 위한 아시아 자율규제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를 계기로 추진되고 있는 아시아채권시장 발전에 관한 논의가 실질적인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채권 표준화를 통하여 채권 발행과 투자의 장벽을 낮추고 국경간 거래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시아에는 유럽연합(EU)과 같이 아시아채권시장 표준화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단일 의사결정기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공적규제기관이 국경간 채권 발행과 거래의 표준안을 만드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아시아 각국 정부의 금융협력을 바탕으로 자율규제기관을 중심으로 채권시장 표준안을 제정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Identification of 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 and Implications for Financial Architecture in Korea

        현석,NAOYUKI YOSHINO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3 Global economic review Vol.42 No.4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s put a spotlight on concerns about financial system stability. Currently, there are discussions about how to identify 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 (SIFIs) and how to strengthen regulatory measures for these SIFIs. Against the backdrop,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IFIs by measuring inter-sectoral financial transactions with the flow of funds (FOF) account as a measure of interconnectednes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banks or insurance companies can be SIFIs only in terms of size. However, foreign banks’ branches (FBB) and credit-specialized institutions can also be SIFIs in terms of interconnectedness. Especially the systemic importance of FBB in Korea has increased considering the fact that financial crisis in Korea resulted mainly from foreign exchange market. Therefore, more specific discussions and regulatory measures for SIFIs will be required from the perspective of capital market development and Korea’s situation.

      • KCI등재

        Infrastructure Bond Markets Development in Asia: Challenges and Solutions

        현석,Donghyun Park,Shu Tian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7 Global economic review Vol.46 No.4

        To sustain economic growth momentum, Asia needs to continue investing heavily in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ports, and power plants. Financing the region’s huge demand for infrastructure investments is an essential issue for policy-makers across the region. Against the backdrop of expanding fiscal burdens of Asian governments and more stringent capital requirements on bank lending, local currency bonds can serve as an alternative for infrastructure financing in Asia. In this paper, we use empirical analysis to identify the major determinants of infrastructure bond market development. Evidence indicates that an economy’s size is positively related to infrastructure bond market development. Furthermore, we find that Project Bond Initiative, a European Union initiati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Europe. The implication for Asian policy-makers is that deepening regional integration of Asian bond markets would help Asian economies to reach an efficient economic scale to foster infrastructure bond market and policy measures in the forms of credit enhancement would facilitate issuance of infrastructure bonds.

      • KCI등재

        Assessing the Impact of the Asian Bond Markets Initiative on Bond Market Development in Asia: Evidence from A DID Analysis

        현석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2 국제학논총 Vol.36 No.-

        본 연구는 지난 수십년 동안 금융위기와 신용 불안정을 경험한 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ABMI가 아시아 채권시장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차분법(DID)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SEAN+3 경제는 지역 이니셔티브(ABMI) 하에 채권시장을 발전시키고 통합하는 집합적 방식으로 접근하였으나, 라틴아메리카 경제는 외국인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해 개별 채권시장을 발전시키며 주변 경제와 경쟁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채권시장 발전의 주요 결정요인을 통제한 후 ABMI가 아시아 채권시장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는 나타났다. Mizen et al(2014)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회사채 발행을 촉진함으로써 회사채시장 발전에는 기여했으나 국채시장 발전에 대한 기여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거주자와의 현지통화 거래에 대해서는 여전히 엄격한 규제와 현지 통화에 대한 정부 당국의 비국제화 정책으로 인해서 ABMI가 통화 불일치는 완화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