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법무보호대상자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현문정,공정식,노혜선,권준성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20 법무보호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silience program for ex-offend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by the discussion that resilience is a major factor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ex-offenders. In order to develop a reliable resilience program, it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resilienc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ex-offenders by differentiating them from the general public. In this study, resilience was constructed as factors tha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o the ex-offenders in previous studies. The category of resilie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ositive thinking,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relationship, and each category was composed to include three components. Based on these factors, the program was propos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The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the overall resilience level in 8 sessions, and the activities were selected to treat the components of resilience in each session. As a result, the overall level of resilience of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creased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and the level of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relation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level of resilience within the group of the participants, the overall level of resilience,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rel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resilience of the subjec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did not change. These result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silience program, and the program can be used for the social adaptation. 본 연구는 법무보호대상자의 심리요인 중 회복탄력성이 이들의 사회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에 주목하여, 법무보호대상자용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법무보호 대상자를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법무보호대상자 집단 의 회복탄력성 구성요인을 일반인과 차별화하여 재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법무 보호대상자용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법무보호대상자에게 유의하다고 밝혀진 요인들로 회복탄력성을 구성하였다. 회복탄력성 중범주는 긍정사고, 정서통제, 사회관계로 총 세 범주로 분류되고 각 중범주에는 세 가지의 하위요인이 포함되도록 구성하 였다. 긍정사고에는 자존감, 생활만족도, 자기낙인이 구성되어 있고 정서통제에는 원인분석력, 긍정적 분노대응, 부정적 분노대응이, 사회관계는 소통능력, 공감능 력, 사회적 지지가 구성요인으로 포함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 구성안을 제안하였고, 전문가 집단의 자문 단계를 거쳐 타당성이 검증된 법무보호대상자용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진행하였으며, 각 회기마다 목표한 회복탄력성 구성요인을 다루도록 활동내용을 선정하였다.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경기지부의 남성 법무보호대상자 중 14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제 운영하였고 중도탈락 자를 제외한 10인의 법무보호대상자를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마찬가지로 경 기지부의 남성 법무보호대상자 중 11인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으 로 구성하여 두 집단을 대상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법무보호대상자의 전체 회복탄력성 수준이 참여 하지 않은 법무보호대상자에 비해 증가하였고 정서통제와 사회관계 수준도 유의 하게 증진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 집단의 회복탄력성 변화를 파악한 결과 에서도 프로그램 수료 이전에 비하여 프로그램 수료 이후 전체 회복탄력성 수준 과 정서통제 및 사회관계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법무보호대상자들의 회복탄력성 수준은 모두 변화하 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법무보호대상자의 회복탄 력성 향상에 효과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 추후 공단에서 본 프로그램을 법 무보호대상자의 사회적응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추가 로, 본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방안을 논의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기통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현문정,한영선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5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on the 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 Juvenile Training School in K city. Research purpose is to evaluate how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affects the self-control and aggression of juvenile delinquent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e 60 male middle and high school juvenile delinquents. These students were grouped as “self-regulation training group”, “similar program comparison group” and “non-treated control group". Measuring tool is the Korean version of self-control scale and aggression test, which are reinvented by Ha Chang-sun and Kim Byung-suk (2005) and Seo Su-gyun and Kwon Suk-man. SPSS 19 for WIN had been used for the data analysis of this program and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self-control and aggression through self-regulation skills enhancement program. Results show that self-control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in significant level, and aggression level decreased in a 95% confidence level. 본 연구는 K도 소재의 S소년원 남자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통제력 및 공격성 감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된 자기통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비행청소년들에게 적용하여 본 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들의 자기통제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 참가한 학생들은 송치 명령(9, 10호) 처분을 받은 만 19세 미만 비행청소년 중 남자 중.고등학생로 총 60명이다. 이들을 “자기통제 훈련집단”, “유사프로그램 비교집단”과 “무처치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의 자기통제력과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통제력 척도는 Grasmick 등(1993)이 개발한 척도를 하창순과 김병석(2005)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공격성 척도는 Buss와 Perry(1992)가 개발한 공격성 질문지(Aggression questionnaire)를 서수균과 권석만(200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 19 for Win을 사용하였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 검증을 통하여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자기통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유사프로그램 비교집단, 무처치 통제집단보다 자기통제력이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통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유사프로그램 비교집단과 무처치 통제집단보다 공격성이 유의한 수준에서 감소하였다.

      • KCI등재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효과 분석

        현문정,왕세연,공정식 한국교정학회 2021 矯正硏究 Vol.31 No.3

        본 연구는 출소자를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효과성을 검증 하였다. 연구 참여대상자는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경기지부에서 보호 사업을 지원받는 출소자로 선정되었고,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은 ‘보호대상자용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8회기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실시 결과, 회복탄력성의 전체적인 수준이 증가하였고, 중범주 중 정서통제와 사회관계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긍정사고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출소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의 보호요인으로 회복탄력성이 증진되어, 이는 향후 갱생보호를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enhance resilience for ex-prisoners. I selected the study participants from ex-prisoners receiving support from the Gyeonggi branch of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and analyzed the eighth program of the ‘development of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for people subject to protection.’ As a result of the program’s implementation, the overall level of resilience increased, and it indicated significant results at the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relationship levels among the middle categories. However, positive thinking did not demonstrate any significant results. This study discovered that resilience was enhanced as a protective factor for ex-prisoners’ successful return to societ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for empirical basic data for ex-prisoners’ rehabilitation protec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출소자의 가족믿음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존감의 매개효과 검증

        현문정,공정식,김정현 대한범죄학회 2019 한국범죄학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rehensive pathways based on determinants of resilience proved from previous studies. Ex-offenders’ trust within the family has been proved to affect their reentry into the community and prevent recidivism, so this study tries to clarify the path between ex-prisoners’ trust within the family and resilience through multiple mediator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ex-prisoners under the control of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and verified their trust within family,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resilience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uilding up trust in family has a direct effect o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resilience. Second, the increase of social support influences the self-esteem and strengthens resilience. Third, trust within famil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through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This suggests that trust within family,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teract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imed to provide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high recidivism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proven family treatment programs.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검토하여 변인들 간의 종합적인 경로를 밝히고, 출소자들의 회복탄력성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출소자가 사회적응을 하고 재범을 방지하는데 토대가 되는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믿음이 출소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존감에 미치는 상호관계를 밝히고 회복탄력성으로 가는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서 지원을 받고 있는 출소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족믿음, 사회적 지지, 자존감, 회복탄력성의 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간의 신뢰형성이 사회적 지지, 자존감, 회복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증대는 자존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고 회복탄력성을 강화하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자존감을 매개로 가족믿음이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써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향상에는 가족믿음, 사회적 지지, 자존감이 각각의 영향력뿐만 아니라 서로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출소자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변인들의 종합적인 경로를 이해하여 효과성이 입증된 프로그램들의 시행에도 높은 재복역률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증진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현문정(Hyun Mun Jung)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3

        본 연구는 출소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출소자를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 1에서는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개념을 정의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출소자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검토하여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개념 및 요인들을 구성하였으며,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구성요인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요인이 구성되었다. 따라서 연구 1에서는 출소자의 특성을 반영한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구성요인을 3개의 중범주로 긍정사고 ․ 정서통제 ․ 사회관계로 구성하였다. 긍정사고의 하위요인은 자존감 · 생활만족도 · 자기낙인이고, 정서통제의 하위요인은 원인분석력 · 긍정적 분노대응 · 부정적 분노대응이며, 사회관계의 하위요인은 소통능력 · 공감능력 · 사회적 지지로 구성되었다. 연구 2에서는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해 회복탄력성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문헌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구조를 구성하였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14단계의 프로그램 개발모형을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 후, 총 4차의 전문가 자문을 거쳐 프로그램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출소자를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프로그램은 문헌연구와 전문가 자문, 그리고 14단계의 체계적인 개발모형을 적용하여 출소자의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2019년 5월부터 11월까지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연구용역사업으로 수집된 ‘보호대상자용 회복탄력성 증진프로그램 개발 연구용역(Ⅱ)’의 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목적에 맞게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출소자를 위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 개발이 출소자의 성공적인 사회복귀를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이론적 · 실증적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Ex-prisoners’ resilience, developed a program to improve their resilience, and evaluated the program s effectiveness after implementation. In Study 1, the concept of Ex-prisoners’ resilience was defined. The protection and risk factors of the Ex-prisoners were identified, and the concept and factors of the Ex-prisoners’ resilience were compos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dditionally, to determine the components adequacy of the Ex-prisoners’ resilience and to secure its validity, the factors of Ex-prisoners’ resilience consisted through expert advice.` In Study 2, a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Ex-prisoners’ resilience. The program s structure was determin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indings, and a 14-step program development model was used to ensure systematic program development. Moreover, after composing the program s contents, the program s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via a fourth expert consultation. As a result, a program aimed at increasing the resilience of the Ex-prisoners was develop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 data for developing policies and programs for the successful rehabilitation of Ex-prisoners to society.

      • 강력범죄피해자들의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서비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현문정(Hyun Mun Jung)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18 안전문화연구 Vol.- No.3

        본 연구는 강력범죄피해자들의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서비스의 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살인 및 강력범죄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범죄피해 보호·지원 서비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강력범죄 피해자들이 겪고 있는 충격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고 실제로 범죄피해자들이 원하는 욕구 및 수요를 파악해 보고자 강력범죄피해자들이 가장 먼저 접촉하는 경찰 단계에서의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서비스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2차 피해의 우려 등의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힐 수 있어 심층면담도 함께 실시하여 질적 분석도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3년 1월 ~ 2015년 6월까지 발생한 살인 등 범죄사건에 노출 된 강력 범죄 사건이 “피해자 및 유가족”으로 훈련된 상담사들이 재가 방문하여 2015년 7월 ~ 2015년 8월까지 강력범죄피해자 32명의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을 통해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서비스의 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에 따른 결과는 첫째, 형사사법절차 중 피해자 보호·지원에 가장 효과적인 기관이나 단계를 “경찰단계(40.6%)”라고 응답하고 있다. 둘째, 범죄피해사건과 관련하여 피해자에게 지원되는 서비스를 받은 경우는 유일하게“민간단체연계(56.3%)”에서 서비스를 받았다라고 나타나고 있다. 셋째, 피해자 지원서비스 중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서비스로 1순위는 “사건 및 수사관련 정보제공(34.4%)”, 2순위는 “법률자문 및 지원(31.3%)”, 3순위는 “피해회복·보호관련 장기상담”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피해자 지원서비스 중 가장 만족하는 서비스로는 1순위, 2순위, 3순의 모두 “없다”로 응답하고 있다. 다섯째, 경찰단계에서 피해자에 게 가장 긴급하게 지원해야 할 서비스로도 1순위는 “사건 및 수사관련 정보제공(46.9%)”, 2순위는 “법률자문 및 지원(31.3%)”, 3순위는 “재판 및 양형관련 정보제공(18.8%)”로 나타나고 있다. 여섯째, 장기적·지속적으로 지원 받아야 할 서비스로는 1순위는 “법률자문 및 지원(21.9%)”, 2순위는 “심리상담·치료 등 심리지원(21.9%)”, 3순위는 “피해회복·보호관련 장기상담(34.4%)”로 나타나고 있다. 일곱째, 경찰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해야 할 서비스로는 1순위는 “사건 및 수사관련 정보제공”, 2순위는 “법률자문 및 지원(19.8%)”, 3순위는 “민간단체연계(12.5%)”로 나타나고 있다. 여덟째, 경찰의 피해자 지원 서비스의 단계로는 “사건발생시 부터 재판종료 이후까지(75.0%)”의 응답이 가장 많았다. 아홉째, 피해자가 경찰이 제공하는 서비스만족도를 묻는 8가지 항목(편리성, 신속성, 전문성, 효과성, 태도, 공정성, 효율성, 사후관리)에서 모두 “전혀 그렇지 않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열 번째, 피해자 지원서비스에 대해 문제점이나 개선사항에서는 피해자 신변보호, 사건수사의 신속성, 법률지원, 경제적 지원 들을 언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강력범죄피해자들의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서비스의 만족도를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고 실질적으로 피해자들이 원하는 욕구 및 수요가 무엇인지 파악해 볼 수 있었다. The research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 involving quality analysis because of facing with practical problems such as concerns of secondary damage.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victims and the bereaved families”of violent criminal case such as murders from January 2013 ~ June 2015 and the sampling process was that trained counselors visited their housing and investigated satisfaction of protection and support service for crime victims through questionnaire and depths interviews of 32 crime victims from July 2015 to August 2015. The results show following. First, most people responded “police stage(40.6%)” as the most effective institute or stage. Second, in the case of support service for crime victim, they only received the service from private organization(56.3%) third, the service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needed among the victim support services was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incidents and investigation(34.4%)”, and the second was “Legal consultation and support(31.3%)” and the third was “Long-term counseling for recovery and protection.”Fourth, all responded “No”about the most satisfied service among victim support services. Fifth, the most urgent service to be provided to the victim at the police state was “Providing Information on Incidents and Investigations(46.9%)”, the second was “Legal Consultation and Support(31.3%).” The third wa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rial and sentencing(18.8%).”Sixth, in the case of long-term and ongoing support services, the first was “Legal consultation and support(21.9%)”, and the second was “Psychological support such as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treatment(21.9%).” The third was “connection with private organization.”Eighth, in the victim support service of police stage, most people responded “from the start of incidents to end of trial(75%).” Ninth, most people responded “Never”in 8 items about the satisfaction of the service provided by the police(convenience, professionalism, effectiveness, attitude, fairness, efficiency, and follow-up). The tenth, they mentioned victim protection, immediacy of case investigation, legal assistance, and economic support about problems or improvements for victim support services. In this way, the study proposed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of protection and support service for victims of violent crime in various aspects and identify the practical needs and demands of them.

      • The comparative toxicities of BPA, BPS, BPF, and TMBPF on the development, healthspan and aging

        Moonjung Hyun(현문정),Sung min Han(한성민),Jeong-Doo Heo(허정두) 환경독성보건학회 2021 한국독성학회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2021 No.5

        Bisphenol A (BPA) is a widely used substance in daily life and industry. BPA is well known for its adverse health effects. Several alternative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to replace it. Here, we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fficacy of BPA and three substitutes, including bisphenol S (BPS), bisphenol F (BPF), and tetramethyl bisphenol F (TMBPF), on organismal aging, healthspan, and energy homeostasis using an in vivo Caenorhabditis elegans (C. elegans) model animal and two cultured mammalian cell lines. All bisphenols resulted in decreased reproductive ability and lifespan and increased axonal beading, a sign of neuronal aging. BPA resulted in abnormalities in development and growth, such as slow growth rate, short body length, and disorganized vulva tissue morphology. Each substitute also showed detrimental effects on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events. Exposure to all bisphenols except TMBPF, proposed as a relatively safe BPA alternative, caused mitochondrial abnormalities such as decreased oxygen consumption and mitochondria membrane potential. In contrast, organismal ATP level was markedly increased by all bisphenols, including TMBPF. In mammalian cells, BPA increased ATP level and decreased ROS but did not affect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pore (mPTP). Only TMBPF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ROS and mPTP opening. Notably, all of the bisphenols caused a severe decrease in cell viability. Studies using these in vivo animals and cell cultures suggest that the potentially harmful physiological effects of other BPA alternatives, including TMBPF, compared to BPA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