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사이보그 그리고 생태

        현남숙(Nam Sook Hyun) 한국사회이론학회 2008 사회이론 Vol.- No.33

        기술과학의 이미지가 강한 ‘사이보그’와 자연 상태를 연상하게 하는 ‘생태’는 양립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필자는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 A Cyborg Manifesto: Science, Technology, and Socialist-Feminism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을 생태적 문제의식에서 읽어,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제안된 사이보그는 생태친화적일 수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때 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사이보그화란 성평등과 생태균형을 지향하는 기술문명의 실현을 나타낸다. 물론 가부장적 자본주의가 기술과학을 장악하고 있는 현실에서 기술과학이 성 평등적이고 생태친화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리라 낙관하기만은 힘들다. 하지만 필자는 해러웨이의 ‘기술과학의 민주주의 모델’에 기대를 걸어볼만하다고 생각한다. 기술과학이 구성되는 과정에 비판적으로 관여하면 가부장적이고 반생태적인 기술과학의 관행을 변화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Cyborg" and "ecology" seem to be not compatible. But the cyborg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is possible to be compatible with ecology. The cyborg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means technoscience that helps to resolve gender inequality and ecological disequilibrium. Of course, in current patriarchal technoscientific circumstance, it is uncertain to be able to accomplish both sexual equality and ecological equilibrium. However this partial difficulty is not a principal difficulty. If we endeavor to democratic technoscientific decisions in the way of intervening critically in conventional technoscience, the cybernation of civilization will contribute to sexual equality and ecological equilibrium.

      • KCI등재

        논문 : 감정노동의 상업화와 진정성의 문제

        현남숙 ( Nam Sook Hyu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4 시대와 철학 Vol.25 No.3

        서비스산업의 증가에 따라, 감정노동도 이전보다 시장에서 더 요구된다. 최근 감정노동의 상품화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제시된다. 훅실드(Arlie Russell Hochschild)는 감정노동이 노동의 진정성을 방해한다고 진단하는가 하면, 로페즈(Steven Ropez H.)는 감정노동도 진정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차이는 감정노동 자체의 속성에서 비롯되기 보다는, 감정노동이 교환되는 사회적 구조와 교환 규칙의 해석에서 생겨난다. 감정노동의 조건을 제시하고 그에 맞게 사회적 교환의 조건을 변화시키면, 감정노동은 소외된 노동이 아니라 감정적 보살핌이 될 수 있다. With a change of labor aspects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emotional labor, beyond an individual’s private sphere, comes to be an important work category in the public sphere, particularly in the recent labor market. Moreover, emotional labor has become more requisite than before, along with an increase of service industry. With the advance of the commercialization of emotional labor, however, various evaluations about it are also given. In this respect, Arlie Russell Hochschild makes a diagnosis that emotional labor interferes with a worker’s authenticity. On the other hand, Steven Ropez shows that emotional labor in payment care work can be an authentic form of labor. This difference is derived not from the inherent attributes of emotional labor itself but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social structure and the exchange rules in which emotional labors are traded. Therefore, if we can specify the conditions for the emotional labor and change the conditions for the social exchange, emotional labor could become emotional care work rather than just alienated labor.

      • KCI등재

        상호문화적 사유방식의 함양을 위한 읽기/쓰기 교육

        현남숙 ( Nam Sook Hyun ),김영진 ( Young Jin Kiem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28

        상호문화적 사유방식은 글로벌 문화역량의 일종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체득 가능하다. 대학 교양과정에서 읽기/쓰기는 그러한 역량 강화에 적절한 방법이다. 상호문화적 사유방식에 부합하는 읽기/쓰기를 위해서 다음 원리들이 중요하다: (i) 적합한 텍스트의 선정, (ii) 공감·성찰·비교에 의한 읽기 방법, (iii) 문화 비교의 기존 기준을 탈중심화하기 위하여 메타적으로 성찰하는 비교 방법, (iv) 상충하는 문화의 모순된 전제들로부터 변증적 결론을 이끌어내는 대화적 논증. 이러한 상호문화적 읽기/쓰기를 위하여 두 문화의 차이, 갈등, 해결을 다루는 영화나 소설 같은 매체를 대학 작문 수업에서 활용해 볼 수 있다. 이를테면 프랑스와 이슬람의 장례 문화의 차이를 다룬 영화 < 이프 유 다이 >는, 자문화 성찰 → 타문화 이해 → 공통점과 차이점 파악 → 문화적 차이에 대처하는 자세를 연습해 볼 만한 사례이다. 상호문화적 읽기/쓰기는 문화적 차이를 다루는 데 간접적이지만 효과적인 수단이다. 하지만 그 방법론의 개발과 역량 기준의 정립은 더 많은 후속 연구를 필요로 한다. 상호문화적 읽기/쓰기 교육의 한 시론으로서 이 연구는 글로벌 시대 작문교육의 영역을 다양화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Intercultural way of thinking is a form of global cultural ability, and the competency in question can be built in various ways. Reading and writing in the general education of the university can be an adequate method for enhancing such competency. When it comes to reading and writing designed to increase the intercultural competency, the following principles are important: (i) choosing a suitable text, (ii) proper reading methods based on empathy, reflection, and comparison, (iii) the method of meta-comparativity aimed at decentralizing the preconceived criteria of comparison, (iv) dialogical arguments that draw a dialectical conclusion from the contradictory premises in conflicting cultures. This form of intercultural reading and writing applies to a university writing class, through the familiar media such as movies dealing with the difference, conflict, and solution between two cultures. Thus considered, the cinema < If you die > which concerns the difference between funeral ceremonies in France and Islam can be an example in which reflecting one`s own culture,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grasp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having a stance toward cultural difference are exercised. Intercultural reading and writing can be an indirect yet effective means for confronting the cultural differences. But the establishment of its methods and competency criteria is in need of further studies. This research, as an introduction to intercultural competency education, has a significance that diversifies writing education in the globalized age.

      • KCI등재

        논문 : 다문화 시민성 확립을 위한 의사소통교육의 중요성

        현남숙 ( Nam Sook Hyu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4

        이 글은 대학에서의 다문화 의사소통교육의 중요성을 쟁점화하여 이를 지구시민사회의 시민교육의 일환으로 그 위상을 정립하고 그 구체적 실천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다문화 의사소통교육의 목적을 다문화 시민성 확립으로 보고, 이러한 맥락에서 내·외국인 학생들이 다문화 의사소통에 익숙해질 수 있는 교육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구시민사회에서의 시민성은 다문화 시민성으로 다원성의 존중, 공공성에 대한 성찰, 동료 시민에 대한 감수성을 특징으로 한다. 필자는 대학에서의 의사소통교육을 시민교육의 하위 범주로 설정하고 다문화 시민성 확립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교육이 중요함을 말하고자 한다. 대학에서의 다문화 의사소통교육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한국의 내·외국인 학생들은 다문화사회에서 발생하는 주요한 문제해결의 역할을 담당할 핵심 인재들로, 이들이 상호문화적 협상능력을 갖출 때만이 민감한 경제, 정치, 사회적 오인들 없이 세계시민적 상황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 의사소통교육의 현재 상황을 점검하면서 다문화 의사소통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기초교육의 일환으로서의 다문화 의사소통의 강화 둘째, 다문화적 관점에서 문화교양을 넓힐 프로그램의 개발 셋째, 내·외국인 학생들이 다문화 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의 마련, 넷째, 언어만이 아닌 다문화 상황에 부합하는 학문적 소통 능력의 육성이 그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issue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University,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and to seek for specific practical devices. In this article, I regard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communication education as establishing multicaltural citizenship. In this context, I try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that both foreign and domestic students in universities in Korean will be able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cultural communication. The citizenship in global civil society is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its characteristics is the respect of pluralism, reflecting on the publicity, sensitivity to fellow citizens. The problem is how the citizenship is implemented. In this paper, I intend to laid the communication education in university on sub-category of civi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particularly in universities is important. Because foreign and domestic students in Korea are human resources who play a key role in solving a major problem in multicultural society. Only the time when they equip themselves with inter-cultural negotiation skills, we will be able to approach to the global civil situation a little bit closer without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mistakes in global civil society. For this, in this paper, I propose the direction that communication education will go, reviewing the current state of multicultural communication education. I offer four suggestions, first, as part of basic education, strengthening of cultural communication, seco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ncrease liberal arts(lectures, books, operational planning, etc.), third, the preparation of programs that are helpful to both foreign and domestic students in developing multi-cultural problem-solving skills and fourth, academic communication skills not only language.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로서의 인문학 글쓰기

        현남숙 ( Nam Sook Hyun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9

        인문학 글쓰기가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일 수 있다면, 일반적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 입각한 특수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인문학 글쓰기는 일반적 문제해결과정과 유사하게 관심영역 발견, 자료 발견, 문제 발견, 아이디어 발견, 해결 발견, 수용 발견의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일반적 문제해결과 달리, 인문학 글쓰기 고유의 특성에 따른 문제해결과정과 그에 따른 단계적 지도 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문학 글쓰기 교육은 인문적 창의성을 진작시키는 데 도움이 될뿐더러, 글쓴이의 자기 발견과 나아가 세계변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f writing in the humanities is counted as a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it also requires some proper curriculum that accords with creative problem solving in general. In this respect, the proces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n humanities writing could have a pattern such as mess-finding, data-finding, problem-finding, solution-finding, and acceptance-finding. However, unlike the normal procedure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in general, humanities writing has its own particular characteristics and peculiar ways of approaching the problems. So it is important to specify, at least theoretically, both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e procedural lesson plan for writing in the humanities. From this perspective, the author of the paper attempts to suggest a new general scheme for humanities writing. It is intended for finding a writer`s authentic self and changing the world around writers.

      • KCI등재

        다문화주의와 여성주의의 갈등에 관한 심의민주주의적 접근 -S. 벤하비브의 심의민주주의 다문화 정치학을 중심으로

        현남숙 ( Nam Sook Hyu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시대와 철학 Vol.20 No.3

        이 글은 소수자 운동에서 출발했지만 젠더 문제에서 갈등하는 다문화주의와 여성주의의 관계를 보여주고, 벤하비브의 시의민주주의 다문화 정치학이 이러한 갈등의 해결을 모색하는 방식과 그 현실적 적합성을 논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다문화주의와 여성주의의 갈등`이란 소수 문화 중에 잔존하는 `가부장적` 소수 문화를 둘러싼 논쟁을 말한다. 벤하비브는 이러한 갈등을 심의민주주의 다문화 정치학으로 해소하려 한다. 이는 집단 문화의 권리 주장과 여성주의의 여성 인권의 요구를 모두 포용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 `문화 성원의 평등주의적 상호성`, `자발적 자기 귀속` 그리고 `탈퇴와 결사의 자유`를 규범적 조건으로 한다. 다양한 문화가 중첩된 사회에서 소수 문화 출신의 여성이 자신이 귀속된 집단의 문화에 대해 반추함으로써 자율적 선택을 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벤하비브의 논의는 다문화주의와 여성주의가 가부장적 소수 문화를 둘러싸고 빚는 충돌을 이론적으로 중재하려는 주요한 시도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이 규범적 조건에 머물지 않고 실천적 힘을 발휘하려면, 공론장의 실질적인 탈중심화와 더불어 약자들에게도 공평한 방식으로 소통구조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Benbabib`s deliberative democratic multicultural politics concerning the conflict of multiculturalism and feminism and to discuss the it`s relevance to practice. Feminism conflicts with multiculturalism due to the recognition of minority culture. That is to say, some feminists criticise that sometimes the politics of recognition is indifferent to the oppression of women who are minority of minorities in the patriarchal society. In this situation, Benhabib suggests the deliberative democratic multicultural politics to maintain both minority group`s cultural rights and women`s autonomous decision. The deliberative democratic multicultural politics includes the normative conditions that are egalitarian reciprocity, voluntary self-ascription and the freedom of exit and association. Benhabib`s deliberative democratic politics seems to try to mediate the conflicts between multiculturalism and feminism. However, this project will practically succeed in such of the decentralization of public sphere and the variation of communication not in name but in reality.

      • KCI등재

        페미니즘과 21 세기 철학 - 차이에서 연대로 , 연대에서 차이로 / 여성 ; 차이와 정체성

        현남숙(Nam Sook Hyun)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0 시대와 철학 Vol.11 No.1

        전통적으로 보편적 인간은 사실상 남성을 의미했고, 여성은 남성의 특성을 결석하거나 그에 못 미치는 존재로 그려졌다. 이러한 결여된 또는 왜곡된 여성상애 도전해서, 낸시 초도 로우와 캐롤 길리건은 모성, 보살핌과 같은 남성과 `차이`를 갖는 여성적 정체성을 발굴해 낸다. 그러나 모성, 보살핌과 같은 초문화적, 초역사적 속성은 여성들간의 다양한-계급적, 인종적, 문화적, 성적 취향에 따른 차이 `들` 을 설명해 내지 못하고 또한 여성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노예의 도덕` 이 될 수도 있다는 비판에 부딪친다. 쥬디스 버틀러는 젠더 이원론이 포괄하지 못하는 여성들간의 차이 `들` 을 지적하면서, 여성 범주의 해체로 나아간다. 단일한 여성적 속성을 가정하는 것은 이성애적 이분법을 강화하는 것이고 나아가 이성애에 기초한 가부장제에 기억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성들간의 차이 `들` 은 간과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여성` 범주의 해체로 나아가는 것은 너무 성급하다. 전세계 여성들이 처한 상황이 서로 다르다 하더라도, `여성` 이라는 범주로 묶을만한 공통된 억압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야트리 스피박의 전략적 본질주의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여성들간의 차이 `들` 은 인정하되, 아직은 전략적으로 여성의 정체성을 가정하고 `여성` 범주를 사용하자는 것이다. 전략적 본질주의는 차이 `들` 을 인정하면서도 연대의 요구를 부정하지 않는-해체적 요구와 실천적 요구 중 어느 하나도 버리지 않는-현재로서는 최선의 입장으로 보인다.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 자아의 경계

        현남숙 ( Hyun¸ Nam-so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2 가톨릭철학 Vol.0 No.19

        이 논문의 목적은 ‘집단문화’와 ‘개인의 자율성’ 사이에서 다문화사회의 자아 개념을 서사적 정체성으로 규명해 보는 데 있다. 다문화사회의 갈등은 다양한 양상으로 드러나지만 갈등의 중핵에는 정체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공동체주의는 자아의 경계를 집단 정체성 내부로 제한하며, 자유주의는 자아의 경계를 집단 정체성 밖으로 밀어낸다. 대표적으로, 테일러는 개인의 행위에는 그가 속한 문화집단의 강한 가치평가가 개입한다고 본다. 한편 킴리카는 개인은 사회고유문화를 공유하지만 자신의 선택에 따라 언제든 집단의 문화를 개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하지만 두 입장 모두 자아의 경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이르지 못한다. 테일러의 경우, 집단문화가 갖는 강한 가치평가 기제는 개인의 자율성의 심급을 조명하지 못한다. 킴리카의 경우, 개인은 언제나 사회고유문화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자아의 경계가 갖는 복잡성을 보여주지 못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벤하비브의 ‘정체성에 관한 서사적 모델’은 자아의 경계 문제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녀는 집단문화의 서사 안에서 개인의 이야기가 도출되는 자기해석의 역동적 과정을 보여준다. 자아의 경계 혼란은 다문화사회에서 문화적 소수자인 이주자들에게서 더욱 심각하다. 다문화사회에서 자아의 경계를 분석해 보는 것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주자들의 정체성 이해와 그들을 위한 정책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pin down the concept of self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while characterizing it as the narrative identity between the group culture and an individual’s autonomy. Conflic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urn up in various ways, but the problem of identity is at the core of the conflicts. Regarding the problem, communitarians tend to confine a self’s boundary to the internal part of collective identity. Whereas liberalists tend to push the self’s boundary out of the collective identity. As a typical example, C. Taylor claims that a cultural group’s strong evaluation system is involved in an individual’s action and behavior. Meanwhile, W. Kymlicka asserts that an individual, although he or she shares its own social culture, can still revise its group culture at his or her own will. But the two positions above cannot come up with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boundaries of self’. For C. Taylor’s case, a collective culture’s strong evaluation commitments cannot illuminate the distinct features of individual’s autonomy. For W. Kymlicka’s case, since an individual can always be free from the societal culture, it cannot cope with the complexities associated with the boundaries of self. Under these circumstances, S. Benhabib’s ‘narrative model for identity’ helps to describe the boundaries of self. She shows us a dynamic process of the self-interpretation in which an individual’s story is drawn from the group culture narrative. Nowadays, confusions about the boundaries of self are becoming more serious in the cultural minoritie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analysis of the boundaries of self helps us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the immigrants with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and to make proper policies toward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