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시사 유튜브 콘텐츠가 재현하는 일본/일본인 : 적대적 타자화와 내셔널리즘의 일상화

        현기득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21 東西言路 Vol.50 No.-

        한국/한국인의 우월성을 외국/외국인과 비교해 일방적으로 주장하는 유튜브 콘텐츠가 인기를 얻고 있다. 국내외 언론 보 도를 내셔널리즘의 관점에서 재구성한 이 영상물들은 타국/타민족을 비하하고 이들에 대한 혐오를 조장할 수 있다는 이유 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 글은 이러한 민족주의 성향의 시사 유튜브 콘텐츠가 한일관계 및 일본 사회를 재현하는 방식 을 탐색했다. 먼저 유튜브 영상물들은 여러 국가 중에서 일본을 가장 자주 다루었는데, 이는 대중적 민족주의를 자극해 영리를 추구하는 유튜버들에게 일본이 가장 쉽게 상상하고 소환할 수 있는 비교 국가이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유튜브 영 상물은 또 한국과 일본을 이항대립적으로 대조해 일본을 적대적 타자로 재현하고, 한일관계를 한국의 발전/승리와 일본의 몰락/패배의 이야기로 구성했다. 아울러 유튜브 영상물은 비갈등적인 일본 국내 이슈를 민족주의 관점에서 재맥락화해서 ‘가짜 갈등’을 만들고 반일 감정을 일상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튜브 콘텐츠를 포함한 대중 참여형 미 디어가 국가/국민 간 갈등을 적대적으로 표출하고 확산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Youtube videos arguing the superiority of Korea and Koreans over foreign countries and people are getting popular in Korea. This essay examines how the nationalistic Youtube videos represent Japan and Japanese people. First, Youtubers produce videos related to Japan more than videos about any other countries. To Youtubers seeking profits by appealing to users’ popular nationalism, Japan seems to serves as the convenient other which can be easily recalled and imagined due to historical and current conflicts with Korea. Also, the Youtube videos represent Japan as the antagonistic other through the construction of binary opposi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videos also construct the narrative of conflicts with Korea rising and winning vs. Japan falling and losing. The videos also routinize anti-Japanese sentiments through the nationalistic contextualization of non-conflicting Japanese domestic issues. This observation implies that user-oriented, participatory media, like Youtube, can function as the vehicles of national animosities and conflicts expressed and amplified.

      • The Role of Political Agreement and Disagreement of News and Political Discussion on Social Media for Political Participation

        현기득 사단법인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 2018 분석과 대안 Vol.2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bilizing function of political agreement and disagreement in communition mediated by social media. Analyses of a survey found that reception of news consistent with individual political predispositions through social networking sites (SNS) positively related to political participation, whereas reception of counterattitudinal news was unrelated. Similarly, SNS- based discussion with politically agreeing others predicted political participation, whereas discussion with disagreeing people did not contribute to participation. Moreover, attitude-consistent news reception and agreement in political discussion had interactive influences, as the effects of attitude-consistent news on participation become stronger with increases in discussion with agree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obilizing effects of social media mainly work through political agreement rather than disagreement in communication.

      • KCI우수등재

        한국 정파언론 환경의 특수성은 보수와 진보 수용자의 매체 태도와 이용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가? 적대적 및 우호적 매체에 대한 정파성 지각이 매체 신뢰와 이용에 미치는 영향

        현기득,서미혜 한국언론학회 2019 한국언론학보 Vol.63 No.2

        Partisan media system in Korea is characterized by the predominance of conservative media in media market and public sphere, and according critical media discourse about powerful conservative media. This study examines how this structural and discursive asymmetry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relates to partisan audiences’ perception, trust and use of hostile and friendly partisan news media. The analyses of survey data showed that compared to conservative audiences, progressive audiences perceived stronger disagreeable partisanship and had less trust of hostile media. At the same time, only in the progressive group, stronger disagreeable partisan perception of hostile media was direc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use of hostile media. In addition, agreeable partisan perception and trust of friendly media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friendly media use among progressive audiences. However, the same patterns were not found in the conservative group. The findings imply that the unique partisan media environment of Korea can cause partisan differentiation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audiences in media attitudes and media use. 이 연구는 한국 정파언론 환경의 특징을 진보매체에 대한 보수매체의 구조적 비교우위와 매체비판 담론장에서 보수매체에 집중된 비판으로 보고, 이러한 특수성이 보수적 수용자와 진보적 수용자의 우호적 및 적대적 정파매체에 대한 정파성 지각과 규범적 평가, 정파매체 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했다. 설문조사 자료 분석 결과, 진보적 수용자는 보수적 수용자에 비해 자신의 정치성향에 반하는 적대적 매체의 정파성을 더 크게 인식하고, 신뢰도는 더 낮게 평가했다. 이 두 요인과 적대적 매체 이용 간의 부적 관계 또한 진보적 집단에서 더 크고 일관되게 나타났다. 우호적 매체 태도와 이용에서도 두 집단 사이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진보적 수용자들의 경우 우호적 매체의 정파성을 크게 지각하고 신뢰할수록 우호적 매체를 많이 이용했지만, 보수 집단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의 특수한 정파언론 환경에서 진보-보수 수용자 집단의 언론 태도는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이는 정파매체의 선택적 노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포털 뉴스 신뢰도 지각에 미치는 요인들과 그 영향에 대한 분석

        현기득(Ki Deuk Hyun),채영길(Young-Gil Cha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2 언론과 사회 Vol.30 No.2

        포털 뉴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활발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뉴스 이용자의 포털 뉴스 지각에 미치는 개인적 요인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연구는 포털 뉴스에 대한 신뢰도 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이용자의 정치 및 언론에 대한 태도라는 일반적 요인과 포털 뉴스 생산과 소비에 개입되는 선택성의 지각과 활용이라는 포털 고유 요인으로 나누고,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해 각각의 영향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지지 정도로 측정한 정치성향은 네이버와 다음 뉴스 신뢰도 평가에 상반된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대통령을 지지할수록 네이버 뉴스의 신뢰도는 낮게 평가하고 다음 뉴스의 신뢰도는 높게 평가했다. 또 언론 전체에 대한 신뢰가 클수록 두 포털 뉴스 서비스를 신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포털 뉴스 고유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도 신뢰도 지각과 관계가 있었다. 포털의 뉴스 선택에 대한 신뢰의 지표인 게이트키핑의 중립성을 높게 평가할수록 네이버 뉴스를 신뢰했지만, 다음 뉴스는 덜 신뢰하는 결과가 나왔다. 또 포털 뉴스의 게이트키핑 관련 지식은 두 포털 뉴스 서비스의 신뢰와 부적 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네이버가 제공하는 구독서비스 이용은 네이버 뉴스의 신뢰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이용자 선택권은 포털 뉴스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포털 뉴스에 대한 신뢰는 포탈 뉴스의 특수한 요인보다는 여타 언론 신뢰에도 영향을 주는 일반적 요인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언론 전반에 대한 신뢰도 제고와 이용자의 극화된 정치 태도의 해소 없이, 포털 자체 노력만으로 포털 뉴스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Despite active discuss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portal news, individual factors affecting news users’ perceptions of portal news have not received much scholarly attentions. In order to understand users’ trust of portal news service, we analyzed the effects of four factors─existing attitudes toward politics and media and the perceptions and uses of unique functions of the portal news─on the trust of Naver News and Daum News. We found that, first of all, the political orientations measured as the degree of support for the president influenced Naver and Daum in opposite directions. The more one supported the president, the lower the trust of Naver News and the higher the trust of the Daum News was.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higher the trust in the media as a whole, the more trusting the two portal news services. In regards to the influences relat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ortal news, the higher the perceptions of the neutrality of portal news gatekeeping, the more people trust Naver News but less trust Daum News. Also, the knowledge of portal news gatekeeping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trust of the two portal news services. Finally, the use of subscription services provided by Naver News was found to increase Naver News tr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trust of portal news and news media in general, it is necessary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users’ perceptions toward protal news services along with efforts to improve news quality.

      • KCI우수등재

        포털 뉴스와 댓글에 대한 정파성 지각이 포털 뉴스 신뢰, 영향력 지각 및 선택적 노출에 미치는 영향 : 보수와 진보 이용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현기득(Ki Deuk Hyun),정낙원(Nakwon Jung),서미혜(Mihye Seo) 한국언론학회 2020 한국언론학보 Vol.64 No.4

        It is peculiar in Korea that most news users heavily rely on two portal sites, Naver and Daum, to obtain and discuss the news. The two portal sites remediate news from other professional news organizations without showing open editorial favoritism toward one partisan media group over the other in the highly partisan media setting of Korea. However, the two portal sites are often criticized for partisan bias and lack of fairness in their gatekeeping, and also partisan users reportedly rely on different sites, with Daum attracting more progressive users than Naver. This study attempts to address the factors that cause bias perceptions toward the seemingly neutral news providers and the effects of those perceptions on portal news evaluations and use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hostile media perception and selective exposure, we examine how the perceived partisan slants toward the two portal sites influence evaluation and selective exposure regarding the two sites. We also look at whether the perceived opinion climates of user comments on the two sites exert similar influences on portal news evaluation and use. Given the differential perceptions and use of media between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in Korea,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and uses of portal news between the two groups. Analyzing an online survey of 1060 Korean adults, the results show that conservative users perceived stronger hostile partisan bias toward news and user comments on Daum, whereas progressive users perceived stronger hostile partisan bias to news and comments offered by Naver. The perceived partisan bias of perceptually in-group (friendly) portal news influenced users’ trust and selective use of portal news more strongly among progressive users than among conservative users. The more partisan slants progressive users perceive from their friendly portal news, they were less likely to trust and use the friendly portal news. The same patterns were not found in conservative users. With respect to perceptually out-group(hostile) portal news, the effects of perceived partisan bias of the hostile portal news sites on trust and third person perception of the portal news were found to be stronger among progressive users than among conservative users. Also, the perceived hostile opinions of user comments from portal news sites were associated with trust, third person perception, and use of those sites, but the partisan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mall. In addition, the effect of perceived hostile opinions of user comments from hostile portal news sites on trust in the portal news was stronger among conservative users than among progressive users.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in the highly partisan media setting of Korea, partisan users distinguish between in-group(friendly) and out-group(hostile) portal news sites, although these sites only remediate news from other news organizations, and the distinctions affect partisan users portal news attitudes and 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