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급차원의 또래도우미 활동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와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허희선(Heo Heeseon),박승희(Park Seunghe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1

        통합된 장애학생에게 또래지원과 또래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학교에 원만하게 적응하는데 도움을 주며 사회적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급차원의 또래도우미 활동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실시하고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와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경기 A일반 초등학교의 2학년 장애학생 2명과 각 장애학생이 속한 2개 통합학급 학생 60명으로, 1학급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고 실험집단은 9주간 또래도우미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측정도구는 ‘친구관계에 관한 질문지’와 ‘학교생활적응도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도 역시 실험집단 장애학생이 통제집단 장애학생에 비해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이 연구는 통합학교에서 자연적 지원의 주요 자원인 또래지원을 보다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활용하는데 한 지침이 될 수 있는 또래도우미 활동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과 절차를 제시하고 그 긍정적 효과를 입증하는 결과를 산출한 의의가 있다. 끝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a class-wide peer supporter program had an affect on the friendship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elementary inclusive school. The participants from two second grade inclusive classes were divided into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Each group was composed of one child with disability and thirty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Experimental procedures taken were preparation, pre-test,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for 9 weeks, and post-test. The changes in the friendship perceived by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changes in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examined by using a questionnaire on friendships and a questionnaire on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To verify the effects of a class-wide peer supporter program on the friendship perceived by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COVA was employed using the pre-test score as a covariate variab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total scores and the scores of six areas of the friendship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total score and the scores of four areas and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school adjustment of a child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and more positive than those of a child with disabilities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lass-wide peer supporter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friendship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in improving the level of the school adjustment of two children with disabilities.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 자동판매기 기호식품에서의 미생물 분포

        김말남,허희선,서정희 상명대학교 가정문화연구소 1992 가정문화연구 Vol.9 No.-

        1991년 9월부터 11월에 걸쳐 상명여자대학교 서울 캠퍼스의 학생회관 2층, 도서관 2층 및 남관에 설치되어 있는 커피 자동판매기를 대상으로 블랙 커피, 프림 커피, 밀크 커피에서 검출되는 세균의 종류 및 생균수를 조사하였다. 일반 세균으로는 Neisseria lactamica, Acinetobacter calcoaceticus, Flavimonas oryzihabitans, Lactobacillus sp. 및 Pediococcus sp.가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과 살모넬라균에 속하는 세균은 발견되지 않았다. 일반 세균의 생균수는 블랙 커피에서 7.0×10 exp(5)-6.2×10 exp(6)cells/㎖, 프림 커피에서 8.0×10 exp(5)-6.4×10 exp(6)cells/㎖, 밀크 커피에서 1.1×10 exp(6)-7.0×10 exp(6)cells/㎖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교내의 특정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커피 자동판매기의 커피 제품에는 상당수에 달하는 여러 종류의 일반 세균이 검출되어 철저한 위생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Bacteriological infection level was investigated for black coffee, frime coffee and milk coffe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s installed on 2nd floor of the Students' Hall, of the Library and of Namkwan in Seoul campus of Sangmyung Women's University from September till November of 1991. Viable cells such as Neisseria lactamica, Acinetobacter calcoaceticus, Flavimonas oryzihabitans, Lactobacillus sp. and Pediococcus sp. were detected, while bacteria belonging to Coliform or Salmonella group were not isolated. Number of viable cells counted to be 7.0 × 10 exp(5)-6.2 × l0 exp(6) cells/㎖ in black coffee, 8.0 × 10exp(5)-6.4 × 10 exp(6)cells/㎖ in frime coffee and 1.1 × 10 exp(6)-7.0 × l0 exp(6)cells/㎖ in milk coffee.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coffe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s is significantly infected by various viable bacteria and that a thorough hygienic control is needed.

      • KCI등재

        우리나라 과학잡지 분석과 학생 및 과학관련 교사의 인식조사

        김성원,허희선 한국과학교육학회 199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2

        On the premise that it is effective and necessary to make use of science magazines among any other media, the desirable direction of science magazines and, further more and the merits of magazin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good science magazines are suggested. To see the present status of science magazines in Korea, we analyzed the public view on the science magazines by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We also assorted and analyzed the contents through the subjects of the issues of three major magazines published in 1991. Through the interview with the editor staffs of each magaz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gazine and the editers' hopes to present the direction in the future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basic conditions which science magazines should equip and the required conditions to apply the basic conditions to make them better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