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英.正朝代 中華繼承意識의 강화와 宋.明 역사서의 편찬

        허태용 조선시대사학회 2007 朝鮮時代史學報 Vol.42 No.-

        The Consolidation of Notion on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and Compilation of historiographies on Chinese Song and Ming Dynasty in King Yeongjo and Jeongjo's reign period攀* Post-doc.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Sungkyunkwan University.攀攀Huh, Tae-yong* 본 글은 영정조대의 사상적 흐름을 ‘중화계승의식’의 강화라는 관점 속에서 살펴본 것이다. 조선후기의 사상적 흐름은 시각에 따라서 다양하게 파악될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는 17세기 이후 조선이 놓여있던 현실적인 조건 위에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병자호란과 명청교체는 기존 명나라 중심의 동아시아 질서를 근본적으로 뒤흔든 사건이었기 때문에 새로운 역사적 상황 속에서 조선의 존립 근거와 위상을 확보하려는 조선 지배층의 사상적인 노력은 다각도로 경주될 수밖에 없었다. 우선 명나라의 멸망으로부터 오래 지나지 않은 17세기 후반까지는 명나라의 회복을 기대하는 ‘중화회복의식’을 통해 기존 질서의 회복을 기대하였지만 명나라의 회복 가능성이 희미해진 17세기 말에 들어서는 정치적인 의미에서의 중화 회복을 기대하기보다는 유교 문화적인 차원에서 조선을 중화문물의 ‘유일하고 정당한 계승자’로 규정하는 인식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정치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명나라가 독점하고 있던 중화의 위상을 문화적인 차원에 국한해서지만 조선에게 부여함으로써 전통적인 화이관에 입각한 동아시아 질서를 관념 속에서나마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그런데 명나라가 멸망한지 한 세기가 지난 18세기 중엽 이후로는 소극적인 회복의식마저 존속하기 어려워졌다. ‘100년의 운세가 없다던 이적’이 100년이 지나도 더 번성하는 현실은 그들이 소극적이나마 중화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던 마지막 근거마저 사라지게 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조선을 ‘중화의 유일한 계승자’로 인식하는 ‘중화계승의식’은 더욱 강화되었고 동시에 ‘문화적 화이관’이 고안되고 있었다. 그들이 생각하기에 이제 천하에는 오직 조선만이 ‘중화의 유풍’을 간직하고 있었지만 종족과 지역과 문화가 함께 평가되는 기존의 관념은 조선이 ‘중화의 정당한 계승자’가 되는데 논리적인 걸림돌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화계승의식’의 강화는 조선을 이제 ‘소중화’가 아닌 ‘대중화’로 여길 수도 있다는 인식으로 일부 확장되거나 조선의 문화에 대한 강한 자부심으로 표현되고 있었는데 그 대표적인 현상이 공적사적으로 다수의 명나라와 송나라의 역사서가 편찬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夷狄’인 원나라와 청나라 대신에 송나라와 명나라의 역사를 편찬할 수 있는 ‘중화의 유일하고 정당한 계승자’가 천하에 조선뿐임을 과시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화계승의식’을 상징적으로 구현한 모습이기도 하였다.이 시기에 편찬된 대표적인 송명 역사서로는 南有容의 明書正綱, 黃景源의 南明紀, 徐命膺의 資治通鑑綱目新編, 그리고 宋史筌 등을 꼽을 수 있는데 이 사서들은 형식이나 다루고 있는 시기에서는 차이를 보이면서도 기본적으로 남송과 남명의 정통성을 크게 강조하고 있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고 더불어서 오직 조선만이 이러한 역사서를 편찬할 수 있는 자격을 갖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리고 지배층의 이러한 역사인식은 史要聚選 같은 대표적인 방각본 서적에도 반영되면서 보다 널리 보급되었다.

      • KCI등재

        陽坡 鄭太和의 人的 連網과 정치적 활동

        허태용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0 한국인물사연구 Vol.14 No.-

        Jeong taehwa was a Jeongseung who played great role in mediate conflicts between political parties of three king's period in 17th century. Because this period was filled with a lot of difficult problems to reorganize state system of Joseon dynasty, several political parties such as Sandang(山黨), Handang(漢黨) and Soron(少論), Noron(老論) asserted their various opinions to reorganize state system according to their own academic background and aim. In this process, there happened some political conflicts between parties, and between king and retainers. Jeong taehwa's outstanding ability to mediate conflict between both sides emitted light in this point. Because he was born in distinguished historic family that produce many famous figures since 15th century, he inherited so many personal connections from his forefathers easily. In addition, his unique sociability helped him to make many personal connections since time of entering the government service. Most of all, his grandfather Jeong changyeon(鄭昌衍) who did not agree with decision that dethrone Inmokdaebi(仁穆大妃) in spite of his bukin(北人) identity gave Jeong taehwa political legitimacy as a mediator between parties. By support of Choe myeonggil(崔鳴吉), Jeong taehwa standed out among men for his brilliant ability in diplomatic matters with Qing. He rose to uuijeong in the King Injo's last year, and maintained his status as Jeongseung for over 20 years without rise and fall. Although the fact that during these period, there were no severe political clash like King Sukjong's reign comes from many elements, Jeong taehwa's effort can not be disregarded.

      • KCI등재

        ‘實學’이라는 틀의 歷史的 鳥瞰

        허태용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3

        서구의 물리력이 비서구를 압도한 이래 서구를 ‘문명’으로, 비서구를 ‘문명 이전’으로 바라보는 시각은 비서구에서도 당연시되었다. 결국 스스로를 서구와 같은 ‘완전태’로 이끌어야 한다는 절박감은 비서구 지식인들 대부분의 정신을 지배하면서 두 가지 정도의 방법적 모색을 낳았다. 첫째는 비서구의 전통 속에서도 서구에 類比될 만한 ‘기능적 등가물’이 존재하므로, 그것을 발굴․계승해서 서구 수준의 문명을 이룩하자는 모색이고, 둘째는 비서구의 전통 속에서는 스스로를 문명으로 이끌 만한 요소가 부재하므로, 철저하게 외부적인 이식 및 전통과의 단절을 통해서 문명을 이룩하자는 모색이다. 한국 역시 이런 두 가지의 모색이 모두 등장해서 역사적으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전자가 학술적으로 발현된 것이 실학이었다고 보인다. 실학은 학계를 넘어서 일반인들에게까지 널리 받아들여졌는데 대부분의 한국인들에게 전자가 후자보다는 거부감을 덜 일으켰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한국인들은 서구와 동등한 문명에 도달하겠다는 현실적인 욕구를 숨기지 않았으며, 실학은 그 욕구가 가능하다는 점을 학문적으로 증명해주는 역할을 감당했다. 이런 욕구 속에서, 실학을 역사적 실체로 간주하는 거대한 ‘先入見’이 한국 사회에 형성되었다.

      • KCI등재

        임진왜란의 경험과 고구려사 인식의 강화

        허태용 역사학회 2006 역사학보 Vol.0 No.190

        The Changing Historical Notion of Goguryeo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Imjin

      • KCI등재
      • KCI등재

        북학론에서 도출되는새로운 역사해석의 가능성

        허태용 한국역사민속학회 2013 역사민속학 Vol.0 No.43

        After passing about sixty years from the time of collapse of Ming dynasty, the possibility of restoration of Ming dynasty was almost completely disappeared, and Qing regime was more stabilized. In this changed condition, most Joseon dynasty's ruling class had to accept the situation that Chinese turned to Barbarian. So they began to consider Joseon dynasty as the only proper successor of Chinese confucian culture instead of Ming dynasty which did not exist any more. On the other hand, this changed situation made most ruling class people of Joseon dynasty try to find the reason why Qing could lasted over a century despite their barbarian attribute. In this process, some figures who visited peking as a member of official envoy of Joseon, such as Hong Daeyong and Bak Jiwon came to know the Chinese people under Qing regime willingly admitted that Qing had no responsibility for collapse of Ming dynasty, and Qing had a sufficient qualification to rule China. Disconnection between the collapse of Ming dynasty and Qing regime could gave a suggestion to Hong Daeyong and Bak Jiwon to explain the reason why Qing could lasted over a century in China. They gradually accept the explanation of the Chinese people under Qing regime, and gave up the revengeful thought toward Qing. In the next step, they began to explain the reason of Qing dynasty's stability and prosperity was not because of Barbarian Qing attribute, but because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which Barbarian Qing stole from Chinese Ming dynasty. Some ruling class figures of Joseon dynasty such as Bak Jega, Bak Jiwon began to separate culture of Chinese and Qing itself, and they did not felt any difficult to accept culture of Qing because it was not Barbarian Qing's but Chinese. Bukhak thought could be originated from this notion, and in this context a little possibility of new interpretation on the event that happened in 1644 at China. 백년을 넘기기 힘들다는 이적이 장구하게 번성하는 현실은 18세기 후반 조선 지배층 일각의 인물들로 하여금 청나라의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의문을 품게 하였다. 그런데 바로 이 시점에서 홍대용과 박지원은 청나라의 중국 장악 과정이 공명정대하였기에 유감이 없을 뿐 아니라 명나라의 원수를 갚고 천하의 백성을 구해내려 하였기에 하늘과 백성의 마음이 한결같이 귀순하였다는 한인 지식인들의 인식을 연행 과정에서 직접 접하게 되었다. 이런 한인들의 인식은 홍대용과 박지원을 비롯한 조선인들에게 꽤 중요한 시사를 주었다고 보인다. 왜냐하면 명나라의 멸망과 청나라의 중국 장악이 직접적 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면 청나라에 대한 적개심이 약화되는 동시에, 스스로 멸망한 명나라 대신에 청나라가 중국에서 장구하게 번성을 누리고 있는 현실을 설명할 수 있는 논리적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이해 위에서 이적인 청나라와 중국의 문물을 분리한 후에 청나라가 중국의 문물을 빼앗아 가지고 있기에 장구하게 번성할 수 있었다는 논리를 도출해내었다. 이렇게 되면 청나라가 빼앗아 가지고 있는 문물은 예부터 전해지던 중국의 문물이기 때문에 조선이 그것을 수용하고 배우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고 필요한 일이 될 수 있었다. 하지만 특히 박제가에서는 청나라가 중국문물의 실질을 빼앗아 가지고 웅거하였던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중국문물과 청나라는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의 덩어리가 되면서 이적과 중국문물의 구분은 결과적으로 모호하게 되어 버리고 말았다. 이제 논리적으로만 보면 이적인 청나라가 중국이 되었다는 정반대의 해석도 성립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 것이다. 다만 아직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등에게서는 이적이 중국이 되는 데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 전제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정약용 단계에서는 이미 명청교체 시점부터 중화적 가치를 보유한 존재로서 이해될 수도 있었다. 이 정도에까지 이르면 청나라 치하 한인들이 청나라의 중국 장악을 이해하는 방식과 거의 흡사해지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북학을 하는 데 논리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는 이제 이들에게서는 없는 것일 뿐 아니라 나아가면 명청교체에 대한 새로운 역사해석까지도 가능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규장각의 『日省錄』 편찬과 正祖의 정통성 강화

        허태용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 한국문화 Vol.- No.103

        As King Jeongjo overcame the obstacles of various political forces that denied his legitimacy, he had prepared the Jonhyeongak Diary from an early age as a means to consolidate his legitimacy as a king and create a justification to politically remove those who opposed him. Yeongjosillok and Yeongmyobogam also served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King Jeongjo. However, the Yeongjosillok contained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Imohwabyeon, and the Yeongmyobogam did not contain the circumstances of the Imohwabyeon, but it was difficult to compare to the Yeongjosillok in terms of status and quantity as a chronicle of government. At this point, there was room for the following alternatives. In other words, it is the creation of a chronicle of government that excludes records related to the Imohwabyeon while having enough information to reproduce the era of the King Jeongjo’s era through daily records. This is how Ilseongnok was born. When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 of Gyujanggak were reorganized in his early reign period, King Jeongjo officially ordered the compilation of Ilseongnok, saying that he would deliver the diary that he recorded to future generations. Therefore, King Jeongjo was able to create the following narrative through Ilseongnok. First, the succession of royal authority from King Yeongjo to King Jeongjo was very ‘beautiful and just’. Second, the ‘heinous conspiracy’ of the ‘those who interfered with the succession of royal authority’ completely failed. Ilseongnok pursued not only the creation of such a specific narrative but also the deletion of facts at the same time. All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Imohwabyeon that occurred during the Yeongjo period were completely deleted. This is because it was an incident that did not help consolidate his legitimacy. In short,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creation of a new official chronicle called Ilseongnok was a product for political purposes to consolidate King Jeongjo's legitim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