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축에너지 관점에서 본 풍납토성 축조의 사회정치적 함의

        허진아(Heo Jina) 한국상고사학회 2018 한국상고사학보 Vol.102 No.102

        본고의 목적은 전쟁으로 인한 급격한 사회변화라는 특수한 조건 속에서 백제 지도자들이 행사한 정치적 리더쉽과 그것의 사회정치적 함의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풍납토성이라는 거대한 기념비적 건축물이 장기간에 걸쳐 조성된 이유를 건축에너지 관점에서 고찰한다. 이를 위해, 먼저 풍납토성의 구체적인 건설 공정과 동원된 노동력의 수준을 살펴보고 당시의 인구 수준을 검토하였다. 한성백제 중앙의 지배층에게는 건설 활동에 수반되는 특정 조직 형태의 노동(즉 건축에너지)을 창출하고 유지하는 사회정치적 권력이 존재하였으며 동원된 노동력의 수준은 새로 편입된 지방사회(멀리 전라지역까지 아우르는)를 포함하는 수준이었음을 밝혀냈다. 그리고 풍납토성 건설 기간 동안 지방사회로 확산된 한성백제양식의 분포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백제 지도자들이 이중적 전략, 즉 차별화와 통합을 동시에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풍납토성 축조가 방어적 기능과 중앙의 권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단일한 정치적 틀 안에서 지방사회를 통합하고자 했던 통치자의 국가운영전략의 일환에 해당한다고 본 것이다. 결과적으로, 풍납토성과 같은 기념비적 건축물은 전쟁 후 인구와 영토가 늘어나면서 새로운 사회조직과 질서를 구축해야 할 과제에 직면한 백제 지배층이 선택한 통치 수단이자 중앙집권화를 이끌어 낸 사회정치적 토대로서 백제가 고대 국가로 발돋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Pungnap-toseong’s rampart construction could reflect a varied political strategy utilizing both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Post-war administration of newly acquired and integrated territory likely required that rulers establish a new order of social relations or new rules to strengthen central authority over local areas, even if elements of local political decision-making and autonomy were left intact to varying degrees. Additionally, while masking any political attempts to deconstruct such local power and autonomy, it would be necessary to devise Sociopolitical mechanisms to build region wide commonality for the new social order. I propose that the construction of Pungnaptoseong, as part of a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social reorganization, ultimately contributed to the legitimacy of new forms of social order and political authority. At the same time, such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efforts would have also served as a tool for integration. Pungnap-toseong may have played a vital role as an integrative focus for different social members forced into alliances through the threat of force and warfare. This case highlights the ways in which a large-scale monumental construction project and the organization of labor are intimately related to leadership strategies during times of state development.

      • KCI등재

        주거자료를 통해 본 호남지역 원삼국시대 지역성

        허진아(Heo, jina)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4 No.-

        본고는 호남지역 원삼국시대 편년 수립을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주거 물질문화로 구분지어지는 지역성과 그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자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편년안 작성의 주요 방법인 형식분류-분기설정 대신 '기술체계'라는 시간적 틀을 마련, 이를 토대로 유구–유물의 변화상을 파악하였다. 시루, 장란형토기, 심발형토기 등 대표적인 일상용기를 대상으로 기존 연구에서 충분히 검토된 유의미한 비교 기준속성을 추출하여 속성코드를 부여한 후, 순서배열을 통해 기술체계와 물질문화의 변화상을 관찰한 것이다. 분석결과, 동부산간지역과 서부평야지역에는 기원후 4~5세기까지 각각 2단계와 3단계의 기술체계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다시 그 안에서 5개 단위의 세부 변화를 가진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한 변화가 반드시 동시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닌 듯하며, 사회마다 기술체계의 수용과 지속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이 같은 기술체계 발전이 유구-유물 등 물질문화의 변이와도 상당한 연관성을 보이면서 호남지역 주거문화의 시·공적 차이를 가속화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토기문화에서 보이는 지역 간 차이는 철기의 유입 및 확산, 토광묘-목관묘 등 새로운 묘제의 유행과 같이 철기문화와 연관된 일련의 사회변동과 깊은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새로운 물질문화의 유입이 다각도에서 이루어지던 원삼국시대, 당시 여러 지역정치체들은 각각의 사회 기반과 수준을 고려하여 새로운 기술 도입 여부를 결정하였을 것이다. 새로운 기술요소를 받아들이고 체계화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초기비용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찍이 철기 등 새로운 기술요소에 적극적이었던 호남 서부지역은 연질타날계 일상용기 전문(대량)생산체계를 빠르게 구축시키는 반면, 동부지역의 경우 연질타날계 토기제작 시스템으로의 급격한 전환을 가지지 않고, 재지 기술요소인 경질무문계를 지속시켜나간다. 이러한 차이는 결과적으로 호남동부와 서부지역 주거 물질문화에 시·공적인 차이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필자는 호남지역 편년 수립 시, 경질무문에서 연질타날로의 급격한 변화를 시간적 공백으로 보지 않고 토기문화 자체가 갖는 급진적 변화로 파악하여 지역집단 내지는 단위사회들마다 사회적 요구와 수용 능력에 따라 재지 전통이 오래 지속되거나 신 요소가 빨리 정착되어 토기 기술체계의 패턴이 다양화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suggests the readjustment of the chronicle as an alternative to complement the regionality divided by eastern mountainous region and western plain region existing in the Honam region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gap of time up to 300 or so years resulted from the absence of hard, Kyungjilmumun pottery stage. To attain this goal, this study establishes a new time frame of 'technological system' instead of classifying styles or dividing periods, the chief existing methods to write a chronicle and figures out the changes of relics and remains based on that. Taking as its subjects the typical pots for living such as steamers, egg-shaped pots, and cylinder-shaped pots, this study extracts significant reference properties for comparison fully examined in previous research and provides them with property codes to observe the changes of technological systems and material cultures through orderly arrangement. As a result, the eastern mountainous region and western plain region experienced the 2nd-step and 3rd-step technological system development until A.D. 4~5. Such changes do not seem to have occurred necessarily at the same time, but it is estimated that each society had some difference by the acceptance and maintenance of technological systems. Also, it is thought that such technological system developmen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changes of material cultures like relics and remains and accelerated the time and space differences of the residential culture in the Honam region. A pottery's regionality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Honam area is a result that a series of social transitions related with Iron Culture like prevalence of ancestral rites held before the grave such as Togwang-myo or Mokgwan-myo as well as induction of iron, it is considered that during the first century B.C., the western area of the Honam region established the mass production system of earthenware.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eastern and western areas developed different developmental aspects according to the level of a unit society regarding existing Kyungjilmumun pottery stage and social capacity.

      • KCI우수등재

        호서-호남지역 사주식주거지 등장 과정과 확산 배경

        허진아(Heo, Jina) 한국고고학회 2018 한국고고학보 Vol.0 No.108

        본고는 원삼국-삼국시대 호서-호남지역 사주식주거지 확산을 백제 영역화의 결과로 해석하는 사주식 주거지 남하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사주식주거지 남하설에 주요 근거를 제공해 온 천안 장산리 유적의 시간적 위치에 대한 문제 제기를 시작으로, 사주공 내 면적비와 방사성탄소연대를 이용하여 사주식주거지의 시공간성에 대한 재검토를 실시하였다. 검토 결과는, 사주식주거지가 호남에서 처음 출현한 이후 호서와 호남 두 지역에서 별개의 독자적인 전개과정을 거치다가 3세기대 두 지역 간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 사주식주거지라는 건축양식이 마한 전역으로 급격히 확산되었음을 보여 준다. 특히, 탄소연대상 사주식주거지의 발생지를 천안 일대로 볼 근거는 없었으며, 오히려 이른 단계(1900BP 이전) 사주식주거지는 호서 동부보다 호남 서부지역에 집중되는 양상을 보여 기존 남하설의 주장과 차이를 나타냈다. 이에, 필자는 사주식주거지의 지역적-급진적 확산에 주목하여 대안 모델로서, 지역집단 간 교류의 증가를 제시하고 그 직접적 원인으로 3세기대 마한 정치체들 간 교역/교환망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지역 간 자원 접근성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마한 엘리트들이 네트워크 기반 상호작용 전략을 행사하였음을 논하고, 이것이 마한 정치체들 간 협력적, 평화적 관계망 구축을 가져온 결정적 계기가 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diffusion model for the four-pillars type (Sajusik) house, which has been interpreted as a result of Baekje expansion. I focus on the regional-radical diffusion process of the Sajusik house, suggesting the expansion of the regional trade/exchange network and the diffusion of material culture in Mahan society as an alternative model. Beginning by raising the question of the temporal location of the Jangsan-ri site in Cheonan, I investigate the internal area ratio of the four-pillars and radiocarbon dates.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Sajusik house had a regional-radical diffusion process rather than gradual-sequential proliferation. It seems that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Sajusik house had spread rapidly throughout Mahan as the exchange between the two regions in the third century CE suddenly increased after having undergone a separate and independent development process in Hoseo and Honam areas. The direct cause of this is the expansion of trade/exchange networks among Mahan polities. In order to alleviate the disparity in access to resources between regions, it seems that the Mahan elites exercised a network-based interaction strategy, and based on this, a cooperative and peaceful interaction network would have been established in Mahan society.

      • KCI등재

        정치경제적 관점에서 본 5-6세기 영산강 고분사회의 구슬 교역·유통·소비

        허진아(Jina Heo),송원근(Wongeun Song) 한국고고학회 2022 한국고고학보 Vol.- No.123

        본고의 목적은 5-6세기 영산강유역 고분 출토 구슬의 교역·유통·소비 맥락을 검토하여 영산강 고분사회와 백제 중앙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지역 고유의 정치경제적 위계질서 즉 위신재 경제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권력 창출의 재원으로서 영산강 고분 축조집단들이 참여한 것으로 추정되는 해상교역 네트워크의 범위와 수준을 추정하고, 구슬이 유통된 엘리트 네트워크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한 후, 유구별 부장품 양상을 검토해 영산강 지배층에서 구슬이 소비된 맥락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필자는 영산강 고분사회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있어 5-6세기 엘리트 네트워크의 다양성에 주목할 것을 제안한다. 4세기 중후반 이후 백제의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어 감에 따라 영산강유역에는 외부로부터 다양한 세력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며 새로운 관계망이 형성된다. 백제에 의해 사회질서가 재편되어가는 과정에서 마한 재지세력은 해상교역품 구슬을 위신재로 공유하며 기존 네트워크를 더욱 강화함과 동시에 외부세력을 네트워크 안으로 끌어들여 새로운 교류 관계를 창출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관계망의 형성은 궁극적으로 영산강유역의 다양한 세력이 상호의존적 관계 혹은 동맹 구축의 토대를 마련했음을 의미하며, 나아가 백제 중앙과의 관계가 상호보완적 협력에 기초하였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eongsan River tomb community and central Baekje by examining the context of trad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beads excavated from tomb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Specifically, we examined whether the local political and economic hierarchical order, that is, the prestige-good economy, was in operation at the time. We first estimated the scope and level of the maritime trade network in which the Yeongsan River tomb groups are presumed to have participated as a source to create power. Next,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ite network distributed beads were examined. We then looked at the context in which beads were consumed. Based on this, We propose tha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diversity observed in the elite networks between the 5th and 6th centuries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central Baekje. As Baekje's influence gradually expanded after the mid-tolate 4th century, various forces continued to flow into the Yeongsan River Basin, forming a new network. In the process of the social order being reorganized by Baekje, Mahan’s local forces shared the beads as a prestige good, further strengthening the existing network, and at the same time bringing in external forces into the network to form a new exchange relationship. The formation of such a network ultimately means that the various forc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laid the foundations for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or alliances, and further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with central Baekje was based on complementary cooperation.

      • KCI등재후보

        잠재적 푸코잔틴 및 오메가-3 지방산 생산자로서 토착 규조류 오돈텔라의 분리 및 배양 특성

        허진아(Jina Heo),조대현(Dae-Hyun Cho),김우림(Urim Kim),김희식(Hee-Sik Kim) 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18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10 No.1

        Fucoxanthin has been reported as bioactive compounds exhibiting strong 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wing to it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and potentials, commercial production of fucoxanthin from algae has been attracted many attentions. Although, most of seaweeds and diatoms contain fucoxanthin as major carotenoid contents, low productivity of fucoxanthin still hinder the industrial application. Here, we newly isolated and identified indigenous marine diatom Odontella sp. BS-003 as a resource of fucoxanthin production. The characterization, optimization and production of the fucoxanthin, along with other bioactive compound omega-3 fatty acid from odontella sp. BS-003 were analyz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represented optimal culture condition (two-fold silicate containing F/2 medium) significantly enhanced the algal biomass productivity. The maximum biomass (1.83 g/L), fucoxanthin (3.88 ㎎/g), along with omega-3 fatty acid (10 %, w/w) were obtained from the 10 L of photobioreactor. Based on the results, it is speculated that the microalga Odontella sp. BS-003 can be a promising natural resource for the production of bioactive compounds.

      • KCI등재

        해상교류를 통해 본 호남지역 마한 성립기 매장문화와 사회변동의 다양성

        허진아 ( Heo Jina ) 호남고고학회 2021 湖南考古學報 Vol.68 No.-

        본고의 목적은 호남지역 마한 성립기 매장문화가 지역권마다 어떻게 그리고 왜 다른지 설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철기문화 유입의 역동성을 살펴 외래문화의 유입이 다원적·다발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논하였다. 다음, 전환기 사회변동의 다양성을 살피기 위해 마한의 해상교역품이자 무덤부장품 가운데 하나인 유리구슬을 검토하여 외래문화 유입 단계를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성립기 무덤의 종류와 부장품을 분석하여 크게 4개 지역권에서 2단계에 걸친 사회변동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해상교류망의 변화와 접근성에 따라 사회변동의 과정과 그 결과물인 매장문화에서 동시기 지역권마다 세부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궁극적으로, 필자는 호남지역 마한사회 성립이 해상교류를 통해 다양한 철기문화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다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전개과정 또한 지역에 따라 속도와 내용면에서 다양하므로, 마한의 사회정치적 발전을 이끌어낸 원동력 역시 다원적일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how and why the burial culture of the Honam region during the establishment of Mahan was different at the local level. First, I discussed that the influx of foreign cultures was pluralistic and multiplicative by examining the dynamics of the influx of iron culture in the early Iron Age and Proto-Three Kingdoms period. Next, in order to examine the diversity of social chang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he influx of foreign cultures was set by examining the glass beads, one of maritime trade items and burial items of Mahan. Based on this, I analyzed the types and burials of tombs, and confirmed that social changes took place over two stages in four local areas. The process of social change and burial culture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change, and the accessibility of the maritime exchange network showed differences in each local area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the Mahan society in the Honam region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various iron cultures through maritime exchanges,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also varied in terms of speed and content depending on the local society. Therefore, I propose that the driving force behind Mahan’s socio-political development can also be pluralistic.

      • KCI등재

        증거물연계성 (Chain of Custody)의 중요성과 범죄현장 증거물의 연계관리 확보방안

        서장원(Seo, Jang-Won),허진아(Heo, Jina)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1

        과학수사에 있어, 전문적인 증거채취 및 감정만큼 법적 증거물의 관리 또한 중요하다. 과학수사를 통해 채취한 증거물은 법적 증거물의 요건을 갖추어야 증거물로서 활용이 가능한데, 엄격해져가는 사법 환경에서의 실무적 개선을 위해 체계적으로 증거물을 관리하고 증거물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수사에 있어 증거물연계성(Chain of Custody)의 중요성과 범죄현장 증거물의 연계관리 확보방안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증거물연계성의 개념 및 중요성을 논의하고, 관련된 법률의 개정과 판례의 입장 및 대표사례를 살펴보았으며, 과학수사를 함에 있어 현재 증거물 관리의 절차 및 연계현황을 통해 범죄현장 증거물 관리의 연계성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을 강구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범죄현장 증거물 연계관리 확보를 위하여 첫째, 범죄현장 증거물 취급상의 증거물연계성 확보방안으로 ① 범죄현장 증거물 번호판의 효율적 적용, ② 이동과정에 대한 표준 가이드라인 및 보안성 확보, ③ 인수인계 절차 시 기록화작업, ④ 경찰・국과수 증거물 프로그램의 연계를 통한 통일성 확보, ⑤ 미제사건 증거물 관리 강화 등을 제시하였으며, 둘째, 조직적 운영방안으로 ① 과학수사요원의 확충, ② 증거 대응팀의 조직 및 운영, ③ 증거관리를 위한 교육 실시를 제안하였다. 과학수사에 있어 증거물연계성(COC) 확보는 초동수사에서부터 재판까지 증거물의 증명력과 증거능력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것처럼 증거물 연계관리 확보방안은 변화하는 사법 환경에 맞춰 계속해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되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Regarding scientific investigation, the most important matter is management of the evidence in accordance with collecting evidences. The evidences collected by scientific investigation should follow legal requirements. So organized and systematic managements of evidence in crime scenes are needed to improve practical affairs. We discussed concept and importance of Chain of Custody. Also we checked precedents and revised of laws to conclude improvement plans for current management and Chain of Custody of evidences. First, we suggest to improve evidence handling as below. - Efficient numbering of evidences - Standardize moving guide lines and security guaranteed at evidences - Accurate recording data at evidence transition - The consistency between the Police organization and National Forensic Service - The improved management for evidence of unsolved crime cases Second, we suggest to below group managements. - Expansion of scientific investigators - Improvement of systemic forensic team - Training for evidence management According to scientific investigation, COC is overall process from primary investigation to the trial. So organized and systematic managements of evidence in crime scenes are needed to improve practical affairs.

      • KCI등재후보

        오메가-3 지방산 및 푸코잔틴 고함량 토착 규조류 아크난티디움 균주의 분리 및 특성

        김우림(Urim Kim),조대현(Dae-Hyun Cho),허진아(Jina Heo),김희식(Hee-Sik Kim) 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19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11 No.1

        Omega-3 fatty acids and carotenoids, which are known as representative high-value substances derived from microalgae, are being studied from various diatoms. Most of the diatoms contain fucoxanthin and omega-3 fatty acid. Fucoxanthin produced by diatom has been reported as bioactive compounds exhibiting strong 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However, the low growth rate and fucoxanthin content of diatoms are one of the big obstacles to the industrial application. In this study, indigenous marine diatom Achnanthidium sp. BS-001 was isolated for a candidate of fucoxanthin producer. Light intensity and temperature for the culture of Achnanthidium sp. BS-001 were optimized on PhotoBiobox. Optimization of silicate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BS-001 biomass productivity was confirmed in F/2 medium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sodium silicate. As a result, condition of light intensity, temperature, and silicate concentration for optimal cultivation were 150 μmol·m<SUP>-2</SUP>·s<SUP>-1</SUP>, 18℃ and 0.106 mM, respectively. Maximum biomass productivity reaches to 154.3 mg·L<SUP>-1</SUP>·day<SUP>-1</SUP>, and then the content of omega-3 fatty acids and fucoxanthin were 19.4 mg·g<SUP>-1</SUP>, 9.05 mg·g<SUP>-1</SUP>,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chnanthidium sp. BS-001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source of omega-3 fatty acids and fucoxanth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