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oretical Studies on Selectivity of Dibenzo-18-Crown-6-Ether for Alkaline Earth Divalent Cations

        허지영 대한화학회 2012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3 No.8

        Crown ether is one of well-known host molecules and able to selectively sequester metal cation. We employed M06-2X density functional theory with IEFPCM and SMD continuum solvation models to study selectivity of dibenzo-18-crown-6-ether (DB18C6) for alkaline earth dications, Ba2+, Sr2+, Ca2+, and Mg2+ in the gas phase and in aqueous solution. Mg2+ showed predominantly strong binding affinity in the gas phase because of strong polarization of CO bonds by cation. In aqueous solution, binding free energy differences became smaller among these dications. However, Mg2+ had the best binding, being incompatible with experimental observations in aqueous solution. The enthalpies of the dication exchange reaction between DB18C6 and water cluster molecules were computed as another estimation of selectivity in aqueous solution. These results also demonstrated that Mg2+ bound to DB18C6 better than Ba2+. We speculated that the species determining selectivity in water could be 2:1 complexes of two DB18C6s and one dication.

      • KCI등재

        Clathrin Assembly Lymphoid Myeloid Leukemia-AF10-positive Acute Leukemias: A Report of 2 Case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허지영,정소이,오도연,강명서,엄현석,조은해,한미화,공선영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0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30 No.2

        The translocation t(10;11)(p13;q14q21) has been found to be recurrent in acute lymphoblastic and myeloid leukemias, and results in the fusion of the clathrin assembly lymphoid myeloid leukemia (CALM) gene with the AF10 gene; these genes are present on chromosomes 11 and 10, respectively. Because the CALM-AF10 rearrangement is a rare chromosomal abnormality, it is not included in routine molecular tests for acute leukemia. Here, we describe the cases of 2 patients with the CALM-AF10 fusion gene. The first patient (case 1) was diagnosed with T-cell ALL, and the second patient (case 2) was diagnosed with AML. Both patient samples showed expression of the homeobox A gene cluster and the histone methyltransferase hDOT1L, which suggests that they mediate leukemic transformation in CALM-AF10-positive and mixed-lineage leukemia-AF10-positive leukemias. Both patients achieved complete remission after induction chemotherapy. The first patient (case 1) relapsed after double-unit cord blood transplantation; there was no evidence of relapse in the second patient (case 2) after allogenic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Since CALM-AF10-positive leukemias have been shown to have poor prognosis with conventional therapy, molecular tests for CALM-AF10 rearrangement would be necessary to detect minimal residual disease during follow-up. (Korean J Lab Med 2010;30:117-21)

      • KCI등재

        고질갈등 이론을 통해 살펴본 한반도 갈등과 갈등의 평화적 전환 접근 방안 연구

        허지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1 평화학연구 Vol.22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trans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ractable conflict. Intractable conflicts are a very particular type of conflicts that are prolonged because neither party can win nor is willing to compromise, involving great animosity and vicious cycles of viol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two concepts of intractable conflict are of great significance for the Korean case. First, intractable conflicts are exhausting, demanding, stressful and costly in human as well as material terms. Therefore, it is vital to take into consideration socio-psychological impacts on societies involved in intractable conflicts in the process of conflict transformation. Second, it is also important to make changes on each layer of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conflicts, which is deeply connected, to enter into the stage of conflict transformation. The Korean Peace Process has focused on political processes for a peace agreement or unification, which,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the transformation of conflict culture and conflict supporting narratives that groups and individuals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have developed to cope with the protracted conflictual situation. 본 연구는 고질갈등 이론의 관점에서 한반도 갈등의 특징을 분석하고 한반도 고질갈등의 평화적 전환을 위한 접근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반도 갈등은 국제평화학에서 ‘다루기 어려운 고질적인 갈등(고질갈등)’으로 분류되는데, 고질갈등은 폭력을 동반한 갈등이 갈등 당사자 중 어느 한쪽도 우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종결되지도 못한 채로 장기간 지속되어 그 해결이 매우 까다롭고 다루기 어려운 갈등을 의미한다. 고질갈등 이론은 갈등이 장기화 될수록 갈등을 경험하는 사회의 개인과 집단들이 갈등 상황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적대 감정, 태도, 정체성 등이 사회에 고착화되며 갈등 문화로 발전되는데, 이 갈등 문화가 갈등의 해결을 더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갈등전환의 과정에서 갈등이 해당 사회에 미친 사회심리적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반도 사례에 유의미한 또 다른 고질갈등의 특징은 갈등이 다층적 구조로 형성된다는 점이다. 갈등전환의 과정에서 이 다층적 특성을 인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다층구조의 한 층위에서의 변화만으로는 고질갈등에서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평화협정의 체결과 같은 정치적 과정에 치중하며 갈등의 다층적 측면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남북한 갈등의 궁극적이고 평화적인 전환을 위한 다층적인 접근 방안을 고찰할 것이다.

      • KCI등재

        한반도 평화와 통일 담론에 대한 대안적 논의: 안정적 평화

        허지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2 평화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한반도 통일과 평화의 긴장성을 완화하고 불안정한 평화 상태에 있는 한반도에서 통일과 평화 정책을 둘러싸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불필요한 논쟁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최소’의 정책 목표로서 안정적 평화 개념을 탐구하고 한반도 평화에 주는 유의미한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폭력 갈등으로부터 벗어나 불안정한 평화를 거쳐 안정적 평화 상태로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발전하는 과정으로서 평화를 인식하는 안정적 평화는 갈등당사자 간 평화로운 공존의 관계를 형성하는 ‘화해’ 단계로부터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통합의 정도가 깊어지는 ‘안보공동체’와 ‘연방’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불안정한 평화로부터 안정적 평화로 전환하는데 가장 중요한 단계는 상호적대적 정체성의 해체를 바탕으로 전쟁이나 무력의 사용을 외교·안보 정책의 옵션에서 제외하는 인지적 변화와 상호합의를 바탕으로 평화적 관계를 형성하고 제도화하는 것이다. 안정적 평화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한반도에 제공한다. 우선 안정적 평화는 통일의 당위성에 동의하지 않는 국민까지 동의할 수 있는 ‘최소’의 평화·통일 정책의 목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안정적 평화로의 전환에 있어 상호적대적 정체성과 남북한 각 사회의 갈등문화의 해체와 같은 인지적 변화의 중요성이다. 마지막으로 정치·군사적 신뢰 회복이 우선시 될 필요가 있다. 이는 기능주의를 기반으로 경제와 같은 하위영역에서의 협력을 보다 중요시 했던 기존 정책 방향의 전환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y of stable peace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go beyond strained relations between peace and unification discourses in the context of the division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tages of stable peace vary from ‘reconciliation,’ that is coexistence between conflicting parties, to the establishment of a ‘security community’ or ‘union’. A key step to moving out of unstable peace to stable peace is a cognitive change in which hostile identities of conflicting parties are reconstructed so that war or armed conflict can be removed from options for foreign and security policies. The followings are the implications that staple peace provides for the Korean case: 1) stable peace can be a minimalist goal of peace and unification policy on which even those who are opposed to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can agree; 2) in order to deconstruct hostile identities between the two Koreas, it is essential to transform the culture of conflict in each Korean society; and 3) the primary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rust-building in political and security areas, which implies transformation in policies that have put a high priority on economic cooperation.

      • KCI등재

        편측 시야 차단이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허지영,김용권,김영희,Heo, Ji-Young,Kim, Yong-Kwon,Kim, Young-Hee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01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effect of dynamic balance performance in normal adult when obscuring vision in half of the both eye and to prepare the basic data treatment of brain damage patient with visual field deficit. The subject for this study included 40 healthy right-handed and 20 left-handed were dynamic balance performance when obscuring vision in half of the both eye. who age from 20 to 30 years in normal adult without neurosurgical orthopedic, performance balance disability or other medical disorders. Of these individuals 20 right-handed and 20 left-handed were executed dynamic balance performance when obscuring vision in half of the both eye. individuals of right, left-handed were executed dynamic performance when obscuring vision in half of the both eye measure with a Balance Performance Monitor (BPM) Data print Software Version 5.3. In other to determine the statits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 instrumentation was used to t-test, chisquare of the SAS(Strategic Application Software)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that: 1)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S were found right-handed and left-handed subject when dynamic performance without obscuring vision and obscuring vision(p<0.05). 2)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S were founded left-handed when dynamic performance were executed obscuring vision and without obscuring vision(p<0.05). 3)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S were founded right-handed when dynamic performance were executed obscuring vision and without obscuring vision(p<0.05).

      • KCI등재

        VanA형 Vancomycin 내성 장구균의 분자생물학적 역학 연구

        허지영,이위교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2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2 No.3

        배경 : Vancomycin 내성 장구균(VRE)는 병원감염의 주요원인균으로 전세계적으로 분리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저자들은VanA VRE 균주들 간의 유전적 관련성과 함께vanA 내성 유전자의 구조를 비교하여 병원내 및 대륙간 전파양상을 규명하고내성 유전자의 전이력를 평가하고자 하였다.방법 : 미국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에서 수집된 VanA형 VRE 20균주와 아주대학병원에서분리된 VanA형 VRE 17균주를 대상으로 하여 한천희석법으로vancomycin, teicoplanin, ampicillin에 대한 MIC를 측정하였고,multiplex PCR을 이용해 vancomycin 내성 유전자형을 확인하였다. PFGE와 long PCR-RFLP를 시행하여 균주들 간의 유전적 연관성과 내성 유전자의 구조를 분석하고, long PCR 음성인균주의 유전자 분석을 위해 ORF1, vanS-vanH , vanX, vanY-vanZ, vanZ, IS1216에 대한 PCR을 시행하여 내성 유전자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Vancomycin 내성 유전자의 전이력을 평가하기 위해 PFGE와 long PCR-RFLP의 양상이 다른 균주들을공여 균주로, rifampin-resistant, fusidic acid-resistant E. fae-calisJH2-2를 수여 균주로 하여 filter mating법으로 전이 계수를 구 하 였 다 .결과 : PFGE 결과에서 CDC 균주는 4개의 cluster를 포함한15개형으로 나타났고, 아주대학병원 균주는 3개의 cluster를 포함한 6개형으로 나타났다. Long PCR은 CDC 균주 중 18균주(90%),아주대학병원 균주 중 16균주(94%)에서 증폭되었고, RFLP 결과 CDC 균주는 5개군으로 아주대학병원 균주는 2개군으로 분류되었다. CDC 균주와 아주대학병원 균주의 평균 전이 계수는 각각 3.0× 10-8와 4.9× 10-5 transconjugant/donor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