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만성 알코올 처리 쥐에 대한 헛개나무 열매 농축액을 함유한 콩나물 혼합물의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

        허지안(Ji-An Heo),민혜지(Hye-Ji Min),박울림(Wool-Lim Park),김정호(Jeong-Ho Kim),원영선(Yeong-Seon Won),서권일(Kwon-Il Seo)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24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만성 알코올 유도 쥐에 대한 1.5% 헛개나무 열매 농축액이 첨가된 콩나물 혼합물의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헛개나무 열매 농축액을 함유한 콩나물 혼합물군(SHM) 내 ampelopsin 및 L-asparagine의 함량은 10.52, 35.19 ppm으로 확인되었으며, 만성 알코올 급여에 의해 체중 변화량이 감소하고, 간 중량은 증가한 반면 SHM 처리시 유의적으로 체중 변화량이 증가하였으며, 간 중량이 감소하였다. 혈중 alcohol 및 acetaldehyde의 농도는 SHM군에서 2.89, 0.53 g/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간 조직 ADH 및 ALDH의 활성은 SHM군에서 33.11, 102.06 U/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만성 알코올 유도는 ALT, AST 및 GGT와 같은 간 기능 지표 효소들의 활성을 증가시켰지만, SHM 처리시 각각 41.00, 130.83 및 0.47 U/L로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 조직 및 혈중 triglyceride 함량은 SHM군에서 1.45와 33.00 mmol/L로 가장 낮은 값으로 나타났고, 만성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혈중 total cholesterol 및 LDL cholesterol 함량은 SHM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만성 알코올 투여로 인해 감소된 혈중 HDL cholesterol 함량은 SHM 처리시 증가하였다. 간 조직을 형태학적 및 병리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만성 알코올 유도군의 간 조직은 형태학적 관찰에서 황갈색을 띠었고, 병리학적 관찰에서는 지질방울의 크기 및 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SHM 처리시 형태학적으로 관찰한 간 조직의 색은 적갈색으로 나타났고, 병리학적으로 관찰한 간 조직의 지질방울 크기 및 수는 감소하였다. SHM군의 간 조직 및 혈중 지질 과산화 함량은 677.68, 76.26 nmol/g으로 가장 낮은 값으로 확인되었으며, 간 조직 및 혈중 GSH 함량은 SHM군에서 가장 높은 값인 19.93 및 20.08 μmol/kg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콩나물 또는 헛개나무 열매의 단일 섭취보다 혼합하였을 때 ampelopsin 및 asparagine과 같은 유효성분들의 시너지에 의해 SHM군에서 증진된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기능성 식품 소재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soybean sprouts mixture containing 1.5% Hovenia dulcis Thunb. fruit concentrate (SHM) on relieving hangovers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in chronically alcohol-treated rats. The ampelopsin and L-asparagine contents in the SHM were 10.52, 35.19 ppm. When chronic alcohol-induced rats were treated with SHM, the body weight increased and the liver weight decreased. The serum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s were lowest in the SHM group, and the hepatic ADH and ALDH activities were highest in the SHM group. Chronic alcohol induction increased the activity of liver function indicator enzymes such as ALT, AST, and GGT, but the activity wa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SHM treatment. The triglyceride content in hepatic and serum blood samples was lowest in the SHM group. The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contents decreased in the SHM group, and the HDL cholesterol content increased. The color of the hepatic observed morphologically in the SHM group was reddish brown, and the size and number of lipid droplets in the hepatic observed pathologically decreased. The hepatic and serum lipid peroxidation content of the SHM group decreased. The hepatic and serum GSH content increased in the SHM group. Therefore, SHM can be a functional food that can help hangovers and improve liver function.

      • KCI등재

        매실 부탄올 분획물에 의한 혈관 신생 억제 효과

        민혜지(Hye-Ji Min),김정호(Jeong-Ho Kim),허지안(Ji-An Heo),원영선(Yeong-Seon Won),서권일(Kwon-Il Seo)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1

        Prunus mume Sieb. et Zucc는 아시아 전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전통적으로 약과 음식에 사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매실은 각종 유기산, 무기질 및 페놀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의 매실 연구 동향은 항산화, 항암, 항균 등의 연구에만 치중되어 있고 혈관 신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혈관 신생은 전이성 암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이를 통하여 부족한 산소와 영양분을 타 조직에서 가지고 온다. 이 연구에서는 매실 부탄올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VEGF로 유도된 인체 혈관 내피 세포의 증식과 이동성, 침윤 및 모세혈관 형성 억제능을 평가함으로서 혈관신생 억제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매실부탄올 분획물은 높은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는 폴리페놀(12.81 mg GAE/g)과 플라보노이드(28.4 mg QE/g)를 함유하고 있다. 매실 부탄올 분획물은 25-200 μg/ml의 농도에서 인체 혈관 내피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지 않았으며 정상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매실 부탄올 분획물은 인체 혈관 내피 세포에서 VEGF에 의한 이동성, 침윤 및 모세혈관 형성을 억제하였다. 이 결과는 매실 부탄올 분획물이 VEGF에 의해 유도된 인체 혈관 내피 세포의 혈관 신생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매실 부탄올 분획물이 혈관 신생 억제를 위한 잠재적인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Prunus mume Sieb. et Zucc is distributed throughout Asia and has traditionally been used as medicine and food. P. mume is known to contain large amounts of various organic acids, minerals, and phenol components. To date, the trend of P. mume research has focused only on the effects of 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bacterial, with only a few studies have focused on angiogenesis. Angiogenesis is a common characteristic of metastatic cancer through which oxygen and nutrients are delivered to the cells and tissues. In the present study, angiogenesis-inhibiting activity was investigated by evaluating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P. mume butanol fraction (PBF) and their ability to inhibit VEGF-induc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proliferation, migration, invasion, and capillary formation. The polyphenols (12.81 mg GAE/g) and flavonoids (28.4 mg QE/g) of the PBF exhibited high antioxidant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BF did not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HUVECs at concentrations of 25-200 μg/ml and did not exhibit toxicity to normal cells. However, PBF inhibited the VEGF-induced mobility, invasion, and capillary formation of HUVECs. These results show that PBF inhibits the angiogenesis of HUVECs induced by VEGF. Therefore, PBF could serve as a therapeutic agent for the inhibition of angiogenesis.

      • KCI등재

        매실 식초 분말의 항산화 및 유방암 세포주 증식 억제 효과

        박울림(Wool-Lim Park),김정호(Jeong-Ho Kim),허지안(Ji-An Heo),원영선(Yeong-Seon Won),서권일(Kwon-Il Seo)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2

        매실은 주로 한국, 일본, 중국 같은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매실 나무의 열매는 한약재나 식재료로 쓰여왔다. 그러나 매실 열매를 이용한 이전의 연구는 대부분 추출물 형태로 진행하였기에, 많은 식품학적인 활용을 위해 매실열매의 다양한 가공형태에서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선 분무 건조한 매실 식초 분말(SPP)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SPP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당도, pH, 총산도 및 수분 함량은 각각 8.90 °Brix, 3.19, 1.05% 및 3.07%로 확인되었다. SPP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H₂O₂ 소거활성에서 각각 65.55%, 1.48 및 48.07%로 양성 대조군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게 유의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SPP를 농도별로 처리함에 따라 MDA-MB-231 인체 유방암 세포에서 유의적인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다. 형태학적 연구에서 MDA-MB-231 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가 확인되었고, apoptotic body와 핵의 응축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9.58 ㎍/g과 57.56 ㎍/g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분무 건조한 매실 식초 분말은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능이 있는 기능성 식품 및 천연 의약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Prunus mume Sieb. et Zucc is widely distributed in East Asia (Korea, Japan, and China), and its fruit is often used as a medication and food material. However, because most previous studies have only investigated the state of Prunus mume fruit extract, studies on the various ways of processing this extract are still needed to increase its utiliza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pray-dried Prunus mume vinegar powder (SPP). The sugar content, pH, total acidity, and moisture content of the SPP were 8.90 °Brix, 3.19, 1.05%, and 3.07%, respectively. The SPP exhibited significantly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terms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65.55%), reducing power (1.48),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48.07%). In addition, the SPP remarkably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of human breast MDA-MB-231 and human skin cancer SK-MEL-28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morphological results of the treatment of MDA-MB-231 cells with SPP were distorted, shrunken cell masses. Furthermore, apoptotic bodies and nuclear condensation formed in the SPP-treated MDA-MB-231 cells.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SPP were 59.58 ㎍/g (gallic acid equivalent) and 57.56 ㎍/g (quercetin equival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PP, which ha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cancer effects, can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natural medicines and functional food ingredients.

      • KCI등재

        매실 분획물에 의한 인체 대장암세포 억제 효과

        김정호(Jeong-Ho Kim),조현동(Hyun-Dong Cho),원영선(Yeong-Seon Won),허지안(Ji-An Heo),김지영(Ji-Young Kim),김휘곤(Hwi-Gon Kim),한심희(Sim-Hee Han),문광덕(Kwang-Deog Moon),서권일(Kwon-Il Seo)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11

        매실은 한국, 일본 및 중국 등지에서 섭취하여온 과실로서 유기산이 풍부하며, 다량의 무기질 및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매실을 이용하여 예로부터 절임이나 청 등으로 가공하여 섭취할 뿐만 아니라 구토, 해독 및 해열에 효능이 있는 한약재로서 사용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매실을 이용하여 분획물을 제조하고 각각의 인체 대장암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colony 형성능, 형태학적 관찰, apoptotic body 형성, 단백질 변화 및 환경호르몬에 대한 방어 효과를 평가하였다. 매실 분획물의 인체 대장암세포 HT-29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는 매실 메탄올 분획물(maesil methanol fraction, MMF) 및 매실 부탄올 분획물(maesil, butanol fraction, MBF)이 가장 뛰어난 효능을 나타내었다. MMF 및 MBF의 처리에 따라 colony 형성능 또한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태학적 변화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핵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125 μg/ml의 MMF 및 MBF 처리에 따라 apoptotic body의 형성 및 핵 응축을 관찰하였다. MMF 및 MBF의 처리에 따른 인체 대장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가 apoptosis 와 관련이 있는지 단백질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pro-apoptotic 단백질은 Bax, caspase-3, PARP의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anti-apoptotic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환경호르몬의 일종은 bisphenol A (BPA)에 의해 성장이 증식된 HT-29세포는 MMF의 처리에 따라 유의적인 성장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매실 분획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화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runus mume, also known as maesil, is a popular fruit consumed in East Asia (Korea, Japan, and China). It contains high amounts of organic acids, minerals, and polyphenols and has been used as a medication for fever, vomiting, and detoxification. In this study, the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maesil were evaluated using sulforhodamine B (SRB) assays, morphological evaluations, Hoechst 33258 staining, and western blotting. Addition of the maesil methanol fraction (MMF) and the maesil butanol fraction (MBF)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Colony-forming assays confirmed that the MMF and MBF treatments decreased colony numbers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cells. Treatment of HT-29 cells with MMF and MBF caused a distortion of the cell morphology to a shrunken cell mass. Treatment with MMF and MBF also dose-dependently increased nuclear condensation and the formation of apoptotic bodies in HT-29 cells. Treatment with MMF and MBF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Bax (a pro-apoptotic protein), caspase-3, and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of Bcl-2 (an anti-apoptotic protein). MMF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duced by bisphenol A, an environmental hormone. Therefore, MMF may have potential use as a functional food and as a possible therapeutic agent for the prevention of colon cancer.

      • KCI등재

        매실(Prunus mume) 메탄올 분획물의 처리에 따른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의 apoptosis 유도 효과

        김휘곤(Hwi-gon Kim),김정호(Jeong-Ho Kim),허지안(Ji-An Heo),원영선(Yeong-Seon Won),서권일(Kwon-Il Seo)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매실 메탄올 추출물(maesil methanol fraction, MMF)을 제조하여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 RC-58T 및 PC-3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인체 전립선암세포인 PC-3 및 RC-58T와 비교해보았을 때, LNCaP은 MMF의 처리에 따른 증식억제 효과에 가장 민감했다. LNCaP의 형태학적 관찰과 apoptotic body 형성을 관찰해보았으며, MMF의 처리로 인한 형태의 변화, 핵 손상 및 응축을 확인했다. MMF의 처리로 인한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에서 성장억제 효과가 내인성 apoptosis 경로와 관련 있는지 확인한 결과,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 caspase-3, caspase-9, PARP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anti-apoptotic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MMF와 AIF inhibitor인 N-phenylmalemide (N-PM)의 병용처리군에 비해 MMF 단독처리군의 증식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AIF 및 Endo G의 발현 증가를 통해 외인성 apoptosis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PI3K inhibitor인 LY294002와 MMF의 병용처리군에 비해 MMF 단독처리군의 증식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PI3K, p-Akt, p-mTOR의 발현 감소를 통해 PI3K/Akt/mTOR 신호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인체 전립선암세포 LNCaP에서 MMF의 증식억제 효과는 천연물 유래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the methanol fraction of maesil (Prunus mume) extract (MMF) on LNCaP, PC-3, and RC-58T human prostate cancer cell lines. Among these cell lines, LNCaP was the most sensitive to the inhibitory effects of MMF. Observation of the morphology and apoptotic body formation in the LNCaP cells revealed morphological changes, nuclear damage, and condensation in response to MMF treatment. The suppressive effect of MMF was related to the intrinsic apoptosis pathway, as indicated by increased expression of the pro-apoptotic proteins Bax, capase-3, capase-9, and PARP and decreased expression of the anti-apoptotic protein Bcl-2. Combined treatment with MMF and the AIF inhibitor N-phenylmalemide (N-PM) indicated that MMF treatment alone had a significant growth suppression effect. The involvement of the extrinsic apoptosis pathway was also confirmed by increased expression of AIF and Endo G. The growth suppression effect of MMF was also significant when compared to the effects of a combination of the PI3K inhibitor LY294002 and MMF. The reduced expression of PI3K, p-Akt, and p-mTOR confirmed the involvement of the PI3K/Akt/ mTOR signaling pathway in regulating the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of MMF. In conclusion, the growth suppression effect of MMF in the LNCaP human prostate cancer cell line shows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natural product in functional foods.

      • KCI등재후보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한 조기 위암 환자의 예후 인자 분석

        도영록 ( Do Yeong Log ),김용진 ( Kim Yong Jin ),김진영 ( Kim Jin Yeong ),조주연 ( Jo Ju Yeon ),허지안 ( Heo Ji An ),송홍석 ( Song Hong Seog ),김인호 ( Kim In Ho ),손수상 ( Son Su Sang )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2

        Background : Gastric cancer is the most frequent cancer and second leading cause of death from cancer in Korea. The prognosis of early gastric cancer (EGC) is generally excellent and the proportion of EGC cases is steadily increasing nowadays. We need to

      • KCI등재후보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다발성 화농성 근염 1예

        전준한,이경환,김윤정,김상일,김양리,위성헌,허지안,강문원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6

        화농성 근염은 골격근의 급성 세균성 감염 질환으로서 당뇨, 인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 항암 치료중인 종양 환자 등 처럼 면역력이 떨어진 환자가 아닌 경우라면 온대 기후 지방에서는 드문 질환이다. 한국에서 보고된 화농성 근염의 경우 단발성 혹은 1-2개정도의 근육에만 국한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증례는 흥부, 복부, 골반 부위 등의 다발성 근육을 침범하였다. 병변에서 흡인한 농에서 황색 포도알균이 분리되었다. 진단과 치료의 지연은 황색포도알균의 다발성 화농성 근염을 악화시켰다. 세파졸린 항생제의 투여 및 적절한 배농술을 통해 약 1개월 이후 환자는 완전히 회복되었다. Pyomyositis, the suppurative infection of skeletal muscle, is rarely found in areas of temperate climates unless the patients have immune suppressing conditions such as diabetes, human immunodeficiency viral infection, or chemotherapy. Most reported pyomyositis cases in Korea showed localized involvement in only one or two muscles, Previously, no case of pyomyositis with multifocal metastatic dissemination has been reported in Korea. This case of pyomyositis in 51 year old man involved multiple muscles including the chest wall muscles, abdominal muscles and pelvic muscles. Pus culture results revealed Staphylococcus aureus as the causative organism. Delayed diagnosis and prior treatment of two months before visiting our hospital were considered as the causes for the metastatic dissemination of the organism. After 1 month of treatment with aggressive surgical drainage and intravenous cefazolin the patient fully recov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