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위험 생산의 불균등한 분포와 환경정의

        허주영(Ju Young Huh),박희제(Hee-Je Bak) 한국환경사회학회 2017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1 No.1

        지금까지 환경정의 논의는 환경위험이 인종적, 계급적, 지역적으로 공정하게 분배되었는지를 묻는 분배적 정의에 초점을 두어왔다. 이 논문은 화학오염물질 배출이 산업별, 사업장별로 어떻게 분포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그동안 환경정의 논의에서 간과되어온 ‘환경위험 생산의 불균등(불평등)’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2008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 제조업에서 소수의 업종과 소수의 사업장에 의해 화학물질이 집중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환경오염물질이 불균등하게 생산되고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가정과 달리 화학물질 배출량과 경제적 기여도(매출액 및 종업원 수) 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니계수와 타일지수를 통해 사업장 수준에서 화학물질 배출량이 불균등하게 분포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국내 제조업의 각 업종 내 배출량의 대부분은 소수의 사업장에 의해 생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업장별 종업원 일인당 화학물질 배출량에 대한 불균등 지수를 측정한 결과, 화학물질 배출이 불균등하게 나타나는 정도는 종업원 수와 큰 관계가 없었으나 업종에 따라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justice has focused on inequality in the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risks across races, classes and regions. By looking at the distribution of chemical pollution emitted by each industrial sector and factory, the present study analyzes inequalities in the production of environmental risks which has been often neglected in the discussion of environmental justice. The result shows that, from 2008 to 2014, a small number of industrial sectors and factories produced most chemical pollution, which led to the strong inequality in the pro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wisdom, the amount of chemical pollution emitted by each industrial sector or factor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ts economic contribution (i.e., the amount of sale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Also, when we measured the extent to which chemical pollution was unequally distributed at the level of factory using Gini coefficient and Theil index, it became evident tha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a small number of factories in each industrial sector produced most chemical pollution. When we measured the amount of chemical pollution per employee in each factory, it turned out that the unequal distribution of chemical pollution was affected by the type of industrial sectors but not related with the number of employee.

      • KCI등재

        누가 기후변화회의론자인가?

        박희제(Hee-Je Bak),허주영(Ju-Young Huh) 한국환경사회학회 201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6 No.1

        이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과 그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단일문항에 의존한 기존의 연구들은 한국인의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과 우려정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보고해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보다 신뢰도가 높은 척도를 이용해 측정했을 때, 응답자의 약 25%만이 기후변화의 옹호론자였고, 약 13%는 회의론자였으며, 절대다수는 중도적인 입장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한국인의 대다수는 기후변화에 대한 내용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지만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낙관적이고 따라서 지나친 산업규제는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다.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획득노력은 회의론을 감소시켰는데, 일반적으로 옹호론자들이 회의론자나 중도적 입장의 응답자에 비해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일반적인 추측과 반대로 과학일반에 대한 신뢰정도는 회의론을 증가시키고 있었는데, 이는 과학에 대한 높은 신뢰가 과학기술을 통해 기후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후변화에 대한 낙관적인 태도를 낳기 때문으로 보인다. 보수적인 정치성향 역시 회의론을 증가시켰다. 이는 기후변화정책에서 논의되어 온 정부의 산업규제나 경제적 희생이 시장자유주의를 강조하는 보수적 정치성향에 반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앞으로 기후변화극복 정책이 본격화될 때 한국사회 역시 기후변화문제가 정치적 쟁점으로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public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and determinants of the perceptions in Korea. Relying on a single question to measure public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Korea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cern about climate change. However, utilizing a more reliable scale, this study reveals that only about 25% of respondents are categorized as proponents of climate change while about 13% as skeptics. The majority of Korean public is in the middle. In general, Korean do not deny the scientific claims on climate change but tend to be optimistic of and prefer modest steps for overcoming the problem. Efforts to seek information decrease the skeptical view of climate change, so proponents tend to actively seek information of climate change compared to the others, including skeptics. Unlike our initial expectation, the level of confidence in science-in general tends to increase the skeptical view. This finding may reflect that the higher level of confidence in science leads people to a belief that climate change can be overcome by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servative political orientation also tends to increase a skeptical view of climate change, because policy efforts for climate change are often perceived as the state regulation over industry and the sacrifice of economy for environment, which are against the conservative political ideology.

      • KCI등재

        연구논문 : 친환경행동의 결정요인과 구조: 친환경행동의 다차원성과 환경의식의 영향을 중심으로

        박희제 ( Hee Je Bak ),허주영 ( Ju Young Huh ) 한국환경정책학회 2010 環境政策 Vol.18 No.1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SEM),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tructure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among Seoul citizens. The levels of environmental concerns turn out to have effects on both the high-burden and low-burden individual environmental behaviors. Unlike the low-cost strategy hypothesis,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oncerns on two types of individual environmental behavior. Also, the younger generation a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is pattern, being contradictory to the expectation of the post-materialism thesis, is consistent with not only individual environmental behaviors but also collective environmental behaviors. In addition to age, income has positive effects on collective environmental behaviors. The levels of environmental concerns, however, do not influence them. The levels of satisfaction to natural environment of residential area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environmental concerns and indicate positive effects on the low-burden environmental behaviors. But they do not have effects on neither high-burden environmental behaviors nor collective environmental behavio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