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례 : 감염 ; Streptococcus dysgalactiae의 침습적 감염 2예와 emm 유전자형 분석

        허주연 ( Joo Yeun Hu ),김은희 ( Eun Hee Kim ),이혜원 ( Hye Won Lee ),차선아 ( Seon Ah Cha ),최준영 ( Joo Young Choi ),김윤정 ( Youn Jeong Kim ),김상일 ( Sang Il Kim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7 No.5

        Streptococcus dysgalactiae Subspeciesequisimilis는 인후염, 봉와직염을 일으키지만, 심내막염, 균혈증과 같은 침습적인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의 병원성에는 emm유전자에 의해 발현된 M단백질이 큰 역할을 하며 emm유전자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저자들은 Streptococcus dysgalactiae Subspecies equisimilis에 의한 심내막염와 봉와직염으로 인한 균혈증이 발생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한 증례 2예와 균주의 emm유전자 염기 서열 분석 결과를 보고한다. 최근 국내에서Streptococcus dysgalactiae에 의한 침습성 감염이 출현하는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주의 및 추후 이 균에 대한 유전자형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Recently, invasive infections with the human pathogen Streptococcus dysgalactiae subspeciesequisimilis (SDSE) have increased around the globe. Typing of the emm gene of SDSE, which encodes a virulence factor (M protein), has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Here, we report two cases of invasive SDSE infection that presented with endocarditis and bacteremia, and their emm gene types. (Korean J Med 2014;87:630-635)

      • KCI등재

        증례 : 신장 ; 뇌하수체 침범 뇌수막종 환자에서 고나트륨혈증에 의한 횡문근 융해증

        이혜원 ( Hye Won Lee ),윤종민 ( Jong Min Yun ),허주연 ( Joo Yeun Hu ),김지은 ( Ji Eun Kim ),김영주 ( Young Joo Kim ),서경진 ( Kyung Jin Seo ),김영옥 ( Young Ok Kim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8 No.3

        횡문근 융해증의 원인에 고나트륨혈증이 속해 있지만 보고된 증례는 드물다. 본 저자들은 뇌하수체를 침범하는 거대 뇌수막종 환자에서 중추성 요붕증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나트륨혈증에 의해 횡문근 융해증이 발생한 환자를 경험했다. 데스모프레신 투여 후에 고나트륨혈증 및 횡문근 융해증이 함께 호전되는 임상경과를 보인 증례를 경험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ypernatremia is a rare cause of rhabdomyolysis. Here, we report a case of hypernatremia-induced rhabdomyolysis in a with meningioma involving the pituitary gland. A 61-year-old male was admitted for decreased mentality and poor oral intake. had undergone an operation for meningioma 10 years prior. At admission, he appeared lethargic and severely dehydrated with initial sodium level of 178 mEq/L. Hypernatremia remained persistent despite massive hydration and the serum creatine phosphokinase level was 18,047 U/L after 3 days. Bone scintigraphy also showed findings consistent with rhabdomyolysi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extensive masses involving the pituitary gland and an intranasal biopsy confirmed meningioma. Polyuria, and low anti-diuretic hormone levels supported the diagnosis of central diabetes insipidus-induced hypernatremia. Desmopressin was administered intranasally and the patient`s serum sodium and muscle enzyme levels were normalized. (Korean J Med 2015;88:324-329)

      • KCI등재

        즐례 : 대장내시경 시행 중 회장 삽관을 통해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의 소장 림프종

        김은희 ( Eun Hee Kim ),이래석 ( Rae Seok Lee ),허주연 ( Joo Yeun Hu ),최윤석 ( Yoon Seok Choi ),김교희 ( Gyo Hui Kim ),오정환 ( Jung Hwan Oh ),노상영 ( Sang Young Roh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1

        원발성 위장관 림프종은 흔하지 않으며 특히 소장 림프종 의 경우는 드문 질병이다. 낮은 질병 빈도로 인하여 충분한 연구 결과가 부족한 실정이고 이로 인해 확실하게 정립된 치료 방법이 없다. 비특이적인 임상 증상으로 인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흔하며 즉시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합병증 이 발생하여 진단되기도 한다. 대장 내시경을 시행하면서 통상적 회장 삽관으로 소장 림프종이 진단되는 경우들이 보고 되었고 이번 증례처럼 특이한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도 통상 적 회장 삽관으로 진단되기도 하여 대장 내시경 검사에서 회장 삽관을 고려해야 한다. 저자들은 통상적 회장 삽관을 통해 우연히 무증상의 소장 림프종을 진단한 1예를 경험하 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rimary lymphoma of the small intestine is commonly diagnosed after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bowel perforation and bleeding. It results from vague symptoms and the lack of routine screening programs due to low prevalence. Ileal intubation can be used for screening and diagnosis of various small intestinal diseases. However, the value of routine terminal ileum intubation during colonoscopy remains controversial because of its low diagnostic yield. In Korea, there has been no report of asymptomatic primary lymphoma of the small intestine discovered through ileal intubation during colonoscopy. Thus, we report a case of asymptomatic primary lymphoma of the small intestine diagnosed incidentally through terminal ileum intubation during screening colonoscopy, and we review the literature on small intestinal lymphoma and the value of routine ileal intubation. (Korean J Med 2014;86:49-53)

      • KCI등재

        증례 : 감염 ; Hypervirulent Klebsiella pneumoniae에 의한 괴사근막염과 요근 농양

        진수신 ( Su Sin Jin ),김윤정 ( Youn Jeong Kim ),김상일 ( Sang Il Kim ),허주연 ( Joo Yeun Hu ),김유승 ( Yu Seung Kim ),조성연 ( Sung Yeon Cho ),강문원 ( Moon Won Kang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5 No.5

        Hypervirulent K. pneumoniae (hvKP)는 아시아에서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으로 주로 원발성 간농양과 전이성 감염을 일으킨다. 괴사근막염은 드물게 발생하는 hvKP의 감염증상으로, 빠르고 심한 질환의 경과를 보이므로 적절한 항생제와 빠른 수술적 치료가 환자의 예후에 중요하다. 저자들은 당뇨 환자에서 상처를 통해서 침입한 hypermucoviscous phenotype을 가진 hvKP에 의해 발생한 괴사근막염과 요근 농양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62-year-old diabetic female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with fever and pain in both legs. Computed tomography scans of the abdomen revealed necrotizing fasciitis of the right thigh extending into the abdominal wall, and abscesses on the right psoas muscle.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increased T2 signal intensity along the peroneus muscle and fascia of the lower left leg. The patient received antibiotics and underwent debridement of the infected and necrotic tissue. Intra-abdominal abscesses were drained. Blood and pus cultures showed growth of Klebsiella pneumoniae, as had been suspected due to string test results showing hypermucoviscosity. Free-skin grafts were performed to repair tissue loss and the patient was subsequently discharged 82 days after admission. This represents the first reported case of necrotizing fasciitis and psoas muscle abscess caused by a hypervirulent strain of K. pneumoniae in Korea. (Korean J Med 2013;85:540-54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