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자립준비와 취업욕구의 관계

        허정윤,최순종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2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youth independence prepar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job desire which is the basis for growth as a healthy economic agent. This study measured the will for independence, job preparation, part-time work experience, and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experience, which are sub-representatives of independence prepar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youth's independence preparation on their job desire, and the job desire measured whether or not there was a job desire for employment.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n independence preparation and desire to get a job.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dependence preparation and job desire of the study subjec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ce will and employment desire for all the subj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ce will and job desires for adolescents with high school and young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adiness and job desi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job desire was very high among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but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ce preparation and job desi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generall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ce preparation and job desir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among sub-variables by class. In Korea,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especially for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s, is practically needed in the field of self-preparation for youth.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ailored to each time and subjec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youth independence and to increase job desire. 본 연구는 급격하게 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청소년 자립준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전한 경제주체로 성장하는데 있어 기본이 되는 취업욕구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청소년의 자립준비가 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자립준비의 하위변인인 자립의지, 직업준비도, 아르바이트 경험, 직업교육훈련경험을 측정하였고 취업욕구는 취업에 대한 욕구 유무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자립준비와 취업욕구에 대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로서, 우선 전체 연구대상자에게서 자립준비와 취업욕구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급별 하위변인들 간의 차이 역시 두드러진다. 특히 고등학교 이하 청소년들에 대한 자립의지와 취업욕구 간의 상관관계, 직업준비도와 취업욕구 간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교 재학 이상 청소년들의 취업욕구는 매우 높은 반면, 이들의 자립준비와 취업욕구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자립준비 영역에서는 특히 후기 청소년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교육훈련이 실질적으로 필요하며 따라서 청소년의 자립준비와 취업욕구 증진을 위해서는 시기별, 대상별 맞춤 직업교육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그림책 캐릭터에 대한 어린이의 반응: 클레이 이미지와 실사 이미지의 비교

        허정윤,서송이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4

        As children's picture books are a form of educational media, with both functions of reading and playing, characters on the book cover are crucial deciding factors when choosing a book. Moreover, book characters are essential for developing derivative cultural goods based on one-source-multi-use (OSMU). As of this moment, very few empir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haracters of children's picture books. This study analyzed children's psychological responses to two type of characters: a clay image of a fantasy picture book and a photographic image of a realistic picture book. The survey sample consists of 142 elementary school students 8-13 years of age. Respondents answered survey questions after being exposed to images of picture book covers and brief cont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Results of the t-test show that a clay image was higher in comprehension, familiarity, interest, attractiveness of the character, preference for the picture book, preference for the derivative cultural goods of the character, when compared to a photographic image. This implies that clay images have stronger psychological effects on children than photographic images. This study provides a fundamental for elaborating consumer behavioral theory based on empirically investigation of the children' psychological responses to character types of children's picture books. This study further provides practitioners with strategies for designing children's picture books and strategic directions for developing derivative cultural goods. 어린이 그림책은 책과 놀이 기능을 가진 교육미디어로서, 표지의 캐릭터는 그림책 선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그림책의 캐릭터는 원 소스 멀티 유즈를 기반으로 한 파생문화상품 개발에 매우 중요한 원천이 되고 있다. 현재 어린이 그림책 캐릭터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캐릭터를 환상동화의 클레이 이미지와 사실동화의 실사 이미지로 선정하여, 이에 대한 어린이들의 심리적 반응을 분석하였다. 조사 샘플은 8-13세의 초등학교 학생 142명으로, 이들은 그림책의 컬러 표지와 그림책의 내용에 노출된 후 설문지에 자신의 의견을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t-검정 결과 이해도, 친숙성, 흥미성, 캐릭터 매력성, 그림책에 대한 선호도, 캐릭터 파생상품에 대한 선호도 모두 환상동화의 클레이 이미지가 사실동화의 실사 이미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클레이 이미지가 실사 이미지보다 어린이들에게 심리적으로 효과가 더 강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그림책 표지의 캐릭터 유형에 따른 어린이의 심리적 반응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비자 행동이론을 정교화 하는데 기초를 제공해 준다. 실무적으로는 어린이 그림책 디자인 개발 전략과 캐릭터의 파생 문화상품 개발에 대한 전략적 지침을 제공해 준다.

      • KCI등재

        그림책 캐릭터가 그림책 선호도와 파생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허정윤,서송이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4

        Characters, as one-source multi-use (OSMU) products, are expanding to various industries such as derivative goods, movies, games, confectionary, and cosmetics. Characters are perceived as cultural content and thus, an important genre of a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characters have on preference for the media and derivative go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42 children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reference for the book and derivative products were used for the scale and consequently, factors affecting preference were found to be comprehension, familiarity, interestingness, character attractiveness.According to the results, interestingness and character attractiveness have an effect on the preference for the book and derivative goods. Furthermore, character attractiveness appeared to have a greater effect compared to interestingness. In terms of the preference for the book, interestingness was more effective for the clay character, while attractiveness was more effective for the actual image character. In terms of the preference for the book, interestingness was more effective for the clay character, while attractiveness was more effective for the actual image character. Regarding to the preference for the derivative goods, interestingness was more effective than attractivenefor both characters.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of consumers' psychological consumption process relating to characters. Moreover, for practitioners, this study provides a development strategy regarding OSMU of characters. 캐릭터는 하나의 문화 상품이 영화나 게임과 같은 미디어나 팬시, 화장품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재생산되는 원 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Use, OSMU)의 핵심적인 문화콘텐츠이다. 캐릭터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중요한 장르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캐릭터가 미디어와 파생상품에 대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총 142명의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다. 척도는 그림책과 파생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활용되었으며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이해도, 친숙성, 흥미성, 캐릭터 매력성이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흥미성과 캐릭터 매력성이 그림책과 캐릭터 파생상품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선호도에서 클레이 캐릭터는 흥미성이 영향력이 더 크며, 실사 캐릭터에서는 캐릭터 매력성이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해석된다. 파생상품 선호도에서는, 클레이와 실사 캐릭터 모두 흥미성이 매력성보다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캐릭터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수용 과정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 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실무자들에게는 캐릭터의 OSMU 개발 전략을 제공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