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호로서의 기계이미지와 현대적 시각성 -뒤샹과 피카비아의 작품을 중심으로-

        허정아 ( Jung A Huh ) 한국기호학회 2009 기호학연구 Vol.25 No.-

        This paper add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chinery and art. Machine aesthetics which began to spread in the early 20th century is explored from the viewpoint of art history, with a focus on machinery as an expression tool of artistic imagination, not as an artistic expression tool. In this context, the paper identifies the mechanomorphic image that appears in the works of Duchamp and Picabia and conducts an analysis of those images from two different points of view. The first viewpoint is associated with the relationship of mechanomorphic images to the representation system. The mechanomorphic image presented by Duchamp and Picabia is a new visual image having grown out of the conventional picture-representation system. It serves to abolish the distance between an original and its copies and deconstruct the one-to-one relationship between signifiant and signifie. By doing that, the image, only present as a sign, is broken off from every reference and denarrated. This can be considered to reject the rules of perspective that have formed the backbone of the Western representation system.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the mechanomorphic image of Duchamp and Picabia offers a new visuality, destroying the West`s traditional visual system. Second, this paper discusses the androgynous sexuality which is claimed by the mechanomorphic image. The sexuality which is given the greatest weight in the mechanomorphic image throws away the fixed dichotomy of gender and represents androgyny. This androgynous sexuality makes a work an open system of symbols by not fixing its interpretation and meaning. Duchamp and Picabia show the process in which the mechanomorphic image they express in their works is symbolized beyond the object of artistic representation. Further, they preoccupy the paradigm shift of visuality by implying the undecidability or ambivalence of images discussed in postmodernism and poststructuralism. This paper argues that today the symbolic mechanomorphic image in Duchamp and Picabia is being eventually associated with human identity as a symbol and informatio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hybridization of humans and machines which was intensified in the early 20th-century avant-garde movement leads to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machines in the post-human ag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의학과 예술의 융합적 상상력

        허정아 ( Jung A Hu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9 No.2

        현대사회의 복잡계 현상들은 더 이상 근대 이후 각 분야별로 전문화된 지식으로는 파악되기 힘들다. 이런 맥락에서 융합은 21세기 디지털 문명사회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되고 있다. 그런데 모든 분야에서 융합이라는 거대담론을 논하며 그 필요성에 대해 공감은 하고 있으나 융합을 실천하는 구체적 방안들은 아직 적극적으로 모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융합은 단순히 이질적인 분야들이 만나는 것만으로 구현되기는 힘들다. 각 분야들의 만남을 넘어서 구체적으로 화학작용을 일으킬 때 진정한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타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역사적으로 전혀 다른 맥락에서 발전되어 온 의학과 예술 간의 상호교차적 소통을 통해서 융합 문화현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의학이 예술에 미친 영향들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또한 역으로 예술이 의학에 영향을 끼친 구체적인 보기들을 분석하고 있다. 나아가 의학과 예술이 융합된 메디컬아트들에 대한 사례들을 통하여 오늘날 의학과 예술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네트워크 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나아가 의학과 예술의 융합이 어떠한 새로운 담론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며, 그 새로운 담론이 각 분야에 어떠한 상호보완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인지 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Current society`s complex phenomenon can no longer be understood simply through the specialized knowledge of separate fields. Because of this, convergence is the most important keyword of the 21st century`s digital civilization. In all fields, the great discourse on merging is dealt with and its necessity is agreed upon, but the reality is that the specific plan for putting convergence into practice is not found. Convergence cannot simply be expressed by different fields meeting together. Going beyond the meeting of various fields, there should be a chemical reaction for a true merging to take place, and in order to do this, preceding studies and interests must take place.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specifically the converged cultural phenomenon through the mutual intersection of medicine and art, which has developed throughout history in drastically different contexts. For this, the article will examine cases in which medicine has affected art, and those in which art has affected medicine. Moreover, through the cases of medical art, in which medicine and art are converged together, it will examine exactly how today`s medicine and art are networked. In addition, it hopes to discover what discourses can be produced from the convergence of medicine and art, and how that new discourse will be able to affect each field with a mutual supplement.

      • KCI등재

        논문 : 디지털 생태계와 넷아트

        허정아 ( Jung A Hu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9 No.4

        본 논문은 인터넷상의 네트워크와 소통 자체를 예술 창작의 재료이자 창작의 원천으로 삼고 있는 넷 아트를 중심으로 현대 예술에서 나타나는 소통의 문제를 논하고 있다. 그를 위해 본 논문은 컴퓨터가 만드는 디지털 공간에서 비트라는‘이진수 DNA’가 번식과 선택, 변이라는 진화의 과정을 겪으면서‘디지털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전제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넷아트는 인터넷상의 정보를 수집, 가공, 재조직하여 소통시키는‘정보의 예술’이다. 넷아트에서 중요한 것은 물질적인 구조가 아니라 연결능력이다. 넷아트는 정보의 소통을 그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소통의 과정을 시각화하는 것이 관건이다. 정보는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은 것이며 디지털 세계에서는 자연세계와 마찬가지로 적자생존, 돌연변이, 번식과 같은 진화의 법칙을 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넷아트의 작품은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 속에서 상호작용적 소통을 거치는 진화의 과정으로서 존재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s of communication in modern art by focusing on Net art, which utilizes the internet-based network and communication as creative source. For this, this paper begins from the underlying assumption that the evolution through reproduction, selection, and variation of “bit DNA”constructs the digital ecosystem. Net art is an "information art" that gathers, shapes, and restructures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e important thing in Net art is not its physical structure, but its connective capacity. Net art is targeted for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the essence is to visualiz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is an organism that follows the rules of evolution such as the survival of the fittest, mutation, and reproduction. Therefore, the bit is ‘information’ that is immaterial, and can be reproduced as communication genes. Net art exists as a process of evolution in the mutual communicatory environment of digital network.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상상의 과학 나노와 시각패러다임의 전환

        허정아 ( Jung A Hu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09 디자인융복합연구 Vol.8 No.2

        본 논문은 오늘날 문명의 대전환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나노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이다. 나노는 자연을 객관적으로 탐구하는 과학의 개념을 넘어 상상력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시각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나노기술의 특징을 주사형터널링현미경 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e)이 원자를 다루는 방식을 통하여 고찰하고, 이것이 어떻게 시각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오고 있는지를 밝힌다. STM 은 원자의 구조를 파악하고 개별적 조작을 가능하게 해준다. STM 의 특징은 감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이미지로 원자세계를 볼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이처럼 현미경을 통해 감각으로 느끼며 원자를 조작한다는 것은 보는 것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말해준다. 즉 ‘봄’으로부터 ‘센싱’으로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감각적 센싱으로부터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원자의 지형도 topograhphy 를 처음으로 볼 수 있게 되었고, 원자의 개별적 이미지를 보고, 이 원자들의 배열을 조작할 수 있음으로써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낼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 것이다. 나노기술에서는 보는 것과 아는 것을 동일시했던 서구의 전통적 시각중심주의가 만지고 느끼는 것이 곧 아는 것이라는 감각중심주의로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나노기술은 결국 물질과 비물질, 실재와 상상의 이분법적 경계를 해체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적 문화를 열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offers a humanistic reflection on the nano technology that plays a central role in the great shift in civilization today. Nano incorporates features that are based on both imagination and creativity beyond the concept of science, which is to explore nature in an objective manner and lead a shift in the visual paradigm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s the features of nano technology through the method used by a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STM) in dealing with atoms, and discusses how it brings about a shift in the visual paradigm. The STM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atoms and manipulate the individual atoms. It also allows us to see the world of atoms in a set of images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sensation. In this way, it indicates a shift in the paradigm of seeing in that we can sense an object and manipulate individual atoms through the microscope. In other words, this represents a paradigm shift from "seeing" to "sensing." As a result of such sensing, we are now able to see for the first time the topography of atoms that we had not been able to until now. As we can manipulate a sequence of atoms while viewing their individual images, it also has become possible to create a new substance. With the advent of nano technology, a great paradigm shift is taking place from the idea of traditional Western visualism that "to see is to know," to the idea of sensualism that "to touch and feel is to k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